한국어와 한어의 합성어 대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ory process of the formation of compound words between Korean agglutinativelanguage and Chinese isolated language, further to discover the differences by means of comparing the compound words sarictures. Generally, word...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ory process of the formation of compound words between Korean agglutinativelanguage and Chinese isolated language, further to discover the differences by means of comparing the compound words sarictures. Generally, words can be divided into complex words and simple words. Simple words are consaricted from an essential morpheme, such as a simple word of "sea", "cloud" and "sky" etc. And complex words can be divided into derived words that are composed of an essential morpheme with affix, and compound words that are composed of plural essential morpheme.
Korean and Chinese are languages that have a strong language formative ability. Hence, they involve many compound words comparing with other languages. Especially in the modern age which develops along with social culture vicissitudes, changes with each passing day of concepts and constant stream of source materials, the formation of compound words grow up greatly. Based on this reason, the necessities of related specific study of compound words were mentioned numerously.
There are many Korean and Chinese scholars who published various 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combination of compound words. On the basis of their data, my goal is to study the formation of compound words in these two countries. Meanwhile, the main study is the compound words that have high portions among the complex words. As mentioned above, the Korean and Chinese patterns belong to different fields.
This i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mpound words form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se two languages, also it flexibly applies the system rules of word character formation, phonemics, morphemics, semantics and syntactic. As a personal effort on this study, I wish my studycould provide benefits on performance and combining word forms of these two countries languages, if there is any research intended to study or teach Korean or Chinese.

하나의 외국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은 그 언어의 단어들이다. 우리는 한 언어의 단어를 통하여 그 나라의 문화와 언어생활 방식, 심지어 이를 구사하는 민족의 특성과 사고방...

하나의 외국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은 그 언어의 단어들이다. 우리는 한 언어의 단어를 통하여 그 나라의 문화와 언어생활 방식, 심지어 이를 구사하는 민족의 특성과 사고방식까지 짐작할 수 있다. 이는 단어에 언어생활의 역사가 녹아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으로서 가장 빠른 시일 내에 한국어의 언어적 중심을 찾아내고 파악하기 위하여 합성어를 연구하게 되었다. 한국어와 한어가 각각의 독특한 언어적 특색을 가진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두 언어에 대한 연구는 한자어와 한자의 대비․비교에 목적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고, 순 한국어와 한어의 언어적 구조 비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필자는 한국어에 있는 한자어를 배제하고 순 한국어의 합성어와 한어 합성어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한어의 단어 분류와 합성어의 개념을 분명히 하고, 그 생성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단어는 크게 단일어와 복합어, 그 중 복합어는 다시 합성어와 파생어로 나뉜다. 단일어란 가장 기본어휘에 속하는 언어단위이다. ‘물’, ‘불’, ‘구름’, ‘바람’ 등이 이에 속하며, 이러한 단일어는 일상생활에서 기초 의사소통의 역할을 맡는다. 단일어는 언어적 요구에 따라 다른 언어단위와 결합하여 더 설득력 있고 활발한 형식을 지니는 언어구성단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단어가 합성어와 파생어이다. 파생어는 결합 양식에 따라 고정된 접사와 결합해서 이루어지는 언어 단위이므로 한정적인데 반해, 합성어는 더 폭넓고 자유롭게 결합이 가능하여 언어생활에서 많이 사용해 왔다. 예를 들면 ‘물’이란 기본어휘로 ‘바닷물’, ‘눈물’, ‘물거미’, ‘물거품’ 등과 같은 다양한 합성어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는 모든 사물이나 사건, 어떤 상황에 대한 적절한 묘사방식으로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합성어는 합성명사, 합성동사, 합성형용사, 합성부사 등 4가지의 결합범주를 포함한다. 합성명사는 기본어휘에 속하는 단어(어휘)들로 시작해서 결합순서, 단어배열법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 두 언어의 합성동사와 합성형용사, 합성부사의 결합구조와는 다르다. 한국어의 경우는 여러 가지의 문법기능이 삽입되어 만들어지지만, 한어의 경우는 형태적 변화 없이 결합되고 단어 자체의 품사전환이 합성어의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어떤 언어구성단위에 대하여 그것이 합성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음운적,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으로 검토해봐야 하는데, 두 언어의 ‘강세’, ‘내외적 분포관계’, ‘형태소 참여’ 등의 방법으로 변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기준을 세워 두 언어의 합성어를 고찰하고, 각각의 결합구조를 대비하는 것에 무게 중심을 두었다.
한국어의 통사적 합성어는 한국어의 일반적 단어배열과 같은 유형으로 만들어져 한국어 문장 짜임새와 구별하기 어려운 단어이다. 이에 반해 일반적인 한국어 통사적 구성 방법과 어긋나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언어구성단위는 비통사적 합성어라 부른다. 한어의 합성어는 통어관계를 지니는 ‘주술식’, ‘대등식’, ‘종속식’, ‘술목식’, ‘보충식’ 등 5가지로 나뉜다.
두 언어의 합성어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한국어 합성어의 경우 ‘일반명사/ {[일반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잠재형 파생명사]}’, ‘잠재형명사/{[일반명사], [잠재형명사]}, 명사형 관형사/[수사]’, 동사/{[일반명사], [동사],}’, ‘동사 관형화/[일반명사], ‘형용사 /{[일반명사], [동사], [형용사]}’, ‘형용사 관형화/[일반명사]’, ‘부사/{[일반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관형사]}’, ‘불완전어근/{[일반명사], [동사], [형용사], [불완전어근]}’, ‘관형사/[일반명사]’ 등의 결합 유형이 있고 이와는 달리, 한어 합성어의 경우는 ‘일반명사/{[일반명사], [동사], [형용사], [양사]}’, ‘수사/{[수사], [일반명사], [양사], [부사]}’, ‘동사/{[일반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형용사/{[일반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부사/ {[일반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수사]}’, ‘양사/[일반명사]’ 등의 유형이 있다.
전반적인 한국어와 한어의 합성어 결합구조를 통해서 두 언어의 차이점을 밝혀내어 언어 습득에 작은 보탬이 되고자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른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