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관찰중심의 원예활동이 취학 전 아동의 정서 및 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식물관찰중심의 원예활동이 취학 전 아동정서집중향상미치영향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장소는 경북 칠곡군 중리동에 위치한 아람유치원에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식물관찰중심의 원예활동이 취학 전 아동정서집중향상미치영향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장소는 경북 칠곡군 중리동에 위치한 아람유치원에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취학 전 아동으로 대조군은 아람유치원 7세 아동 남녀 8명이며 실험군은 아람유치원 7세 아동 남녀 8명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집중력 부족, 정서불안, 주의산만, 자신감 결여 등과 같은 문제를 나타내는 아동으로 2009년 9월1일부터 2009년 10월30일까지 주 2회 총 16회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는 초기에는 주로 흥미를 유발해주어 집중력에 중점을 두어 꽃다발 만들기를 통한 꽃의 역할 알기, 테이블 장식을 통한 꽃의 구조관찰, 꽃바구니 만들기를 통한 꽃의 모양 관찰하기 등으로 실시하였으며, 중기에는 주로 집중력과 관찰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유리병 꽃꽂이를 통한 줄기의 역할 알기, 나뭇가지 다발 묶기를 통한 줄기의 구조관찰하기, 콜라주를 통한 씨앗 관찰하기 등으로 실시하였다. 후기에는 주로 집중력과 관찰하기, 새로운 지식습득과 함께 표현하기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으로는 모아 꽂기와 함께한 잎의 역할 알기, 리스 만들기와 함께한 덩굴실물 관찰하기, 신체장식과 압화카드 만들기를 하였다.
평가도구로는 한국어판 FAIR 주의집중력 검사, 정서발달 평가도구, 원예치료평가표(KHY식)를 사용하였다.
주의집중력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예치료 실시 전․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선택적 주의집중력의 결과 대조군의 경우 실시 전 3.13에서 실시 후 2.25로 오히려 0.88로 낮아졌으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실험군의 경우 실시 전 2.62에서 실시 후 4.50로 1.88개로 높아지면서 P<0.05수준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원예치료 실시 전․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자기통제력 변화의 통계결과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실시 전 4.88에서 실시 후 2.38로 2.50으로 낮아지면서 P<0.05 수준으로 오히려 유의하게 나빠졌으나 실험군의 경우 실시 전 2.75에서 실시 후 3.62로 0.87 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의차는 없었다. 원예치료 실시 전․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지속적 주의력의 결과는 대조군의 경우 실시 전 3.38에서 실시 후 2.25로 오히려 1.13으로 낮아졌으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실험군의 경우 실시 전 2.50에서 실시 후 4.50으로 2.00으로 높게 나타나 P<0.05 수준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정서발달 평가의 전체통계결과 대조군의 경우 실시 전 3.75에서 실시 후 3.87로 0.12로 높아지긴 하였으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실험군의 경우 실시 전 4.00에서 실시 후 9.50으로 5.50으로 높아지면서 P<0.05 수준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원예치료평가표(KHY식)에 한 결과는 정서적 발달, 사회적 발달 모든 항목에서 P<0.05 수준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정서적 발달에서는 활동의욕, 적극성, 인내력, 집중력, 성취감, 감정표현, 표정 모든 항목에서 P<0.05 수준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사회적 발달에서는 사교성, 도덕성에서는 P<0.05 수준의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지도성에서는 P<0.01 수준의 고도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협조성과 참여도에서도 P<0.05 수준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식물관찰을 이용한 원예활동이 취학 전 아동의 정서 및 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원예활동프로그램이 좀 더 전문적으로 개발되고 프로그램이 체계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plant observation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 and concentration.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OO Kindergarten at Jungni-dong, Chilgok-gun, Gy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plant observation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 and concentration.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OO Kindergarten at Jungni-dong, Chilgok-gun, Gyeongsangbukdo. The control group was 8 seven‐year‐old male and female childre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nother 8 seven‐year‐old ones. The children showed same problems such as lack of concentration, emotional instability, distraction, and lack of confidence, and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0 in 2009, two sessions a week and a total of 16 sessions. In the early stag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focused on improvement in concentration by stimulating the children’s interest through activities such as learning the role of flowers through bouquet making, observing the structure of flowers through table decoration, and observing the shape of flowers through flower basket making. In the middle stage, the program focused on concentration and observation by activities such as learning the role of stems through flower arrangement in a glass vase, observing the structure of stems through bunching twigs, and observing seeds through collages. In the late stage, the program aimed mainly at concentration and observation, acquiring new knowledge, and expressing together, and included activities such as aggregated arrangement, learning the role of leaves clustering together, observing liana through wreath making, and making body decorations and pressed flower card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Korean‐version FAIR attention concentration test, an emotional development scale, and a horticultural therapy assessment table (KHY type).
Assessment results related to attention concentration were as follows. With regard to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rather a decrease by 0.88 from 3.13 before the experiment to 2.25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On the contrar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ncrease by 1.88 from 2.62 before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to 4.50 after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With regard to self‐control, the control group showed a decrease by 2.50 from 4.88 before the experiment to 2.38 after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05),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ncrease by 0.87 from 2.75 before the program to 3.62 after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With regard to continuous concentra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rather a decrease by 1.13 from 3.38 before the experiment to 2.25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On the contrar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by 2.00 from 2.50 before the program to 4.50 after (p<0.05).
In the statistical results on emotional development, the control group showed an increase by 0.12 from 3.75 before the experiment to 3.87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On the contrar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by 5.50 from 4.00 before the program to 9.50 after (p<0.05).
In the results from the horticultural therapy assessment table (KHY typ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the sub‐factors of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p<0.05). In emotional development, all of desire for activities, activeness, patience, concentration, achievement, emotional expression, and facial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social development, sociability and mora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nd leadership show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Cooperativeness and particip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plant observ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eschool children’s emotion and concentration.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more advanced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and systematize such program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