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수업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성 능력 향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에서는 현재 언어 교육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육 방안의 하나인 스토리텔링을 한국어 교육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언어 교육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육 방안의 하나인 스토리텔링을 한국어 교육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구성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성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모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의 이야기 구성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모국어 화자 12명과 한국어 학습자 12명을 대상으로 세 종류의 스토리텔링 과제를 제시하였다. 참여자들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한 이야기는 과제별로 각각 녹음, 전사한 후 이야기 구성 요소와 에피소드 구성력 등급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학습자에게 친숙한 주제나 그림 등의 시각적 자료가 제시된 과제의 이야기 구성은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없이 한 문장을 시작으로 하나의 이야기를 자율적으로 구성하도록 한 과제의 경우, 모국어 화자의 이야기 구성이 더욱 다양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이야기에 포함된 주요 정보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정보를 국지적으로 표현하는 특징도 보였다.
다음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 집단을 10명씩 두 그룹으로 구성하여 위의 실험과 동일한 세 종류의 스토리텔링 과제 해결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전 인터뷰 후 실험집단에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말하기 수업을,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말하기 수업을 4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그리고 수업 후에 사전 인터뷰와 똑같은 방식으로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이야기 구성 평균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모국어 화자와 학습자 간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학습자에게 친숙한 내용으로 구성하거나 그림 등을 통해 시각적 자료가 제시된 과제의 경우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가 크지 않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자율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한 과제의 경우 실험집단의 이야기 구성 평균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을 위한 처치 기간이 짧았고, 실험 참여자의 수가 적었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그동안 관련 연구가 대부분 영어 교육에서만 진행되어 이야기 구성 샘플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이 한국어 이야기 구성에 적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는 부분이 있거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에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새로운 교육 방안 모색과 함께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oposes introduction of story-telling, which is a way of education using a lot at this present in language education, into Korean language lesson. Thus, this study has the objec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compared story composition of...

This study proposes introduction of story-telling, which is a way of education using a lot at this present in language education, into Korean language lesson. Thus, this study has the objec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compared story composition of Korean language native speakers with the on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tory-telling applied lesson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tory composing ability.
First, for the examination of story composition in Korean language as the native language and the one in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it presented three kinds of story-telling task performance interview of 12 Korean language native speakers and 12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requested them to compose a story. The stories composed by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elements in the story composition and the grade of episode composing ability after recording and transcribing, respectively, by each task and as the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tory composition of the task presented with visual materials as subjects or pictures familiar to the learne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task requested to compose a story on their own starting from a sentence without an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learners,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tory composition by native speakers was made in much more variety. Also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Korean language native speakers expressed the importa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tory not only about the direct one but also about the related information partially as well.
Second, based on above result, two group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made with ten members each to perform the three kinds of story-telling task performance interview same as above test. After a pre-interview, it offered speaking lessons applied by story-telling to the test group and general speaking lessons to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rough four weeks. And then, post-interview made after the lessons by the exactly same method as the one of pre-interview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 As the result, the test group's average score of story composition showe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like the test result between the native speakers and the learners, it did not know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o big in case of the task presented with the contents familiar to the learners or visual materials such as pictures and so on. However, in case of the test requested to compose a story on their own, the test group's average score of story composition showed higher, which was signigicant.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s of short processing period for the test as well as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to the test. Also since most related studies have been made focusing on English education only so far, there may be some parts unsuitable for the application to the composition of story in Korean language or some differences regarding the standard for analysis of story composition sample. Howev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sought for a new way of education applied by story-telling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ed the effect as well.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