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제약 활용형과 특수 활용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휘 교육의 관점에서 용언에 대한 일반적인 형태․의미론적 특성이 아니라 규칙적인 활용 패러다임을 골고루 갖지 못한 용언의 경우에 주목하...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휘 교육의 관점에서 용언에 대한 일반적인 형태․의미론적 특성이 아니라 규칙적인 활용 패러다임을 골고루 갖지 못한 용언의 경우에 주목하여 그 세부적인 교수 내용 구축에 목적을 두었다. 즉, 용언이 특정한 활용형으로만 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약 활용형’이라 칭하고 용언이 여러 가지 활용형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그중 특정 활용형으로 나타날 때, 일반적인 활용형을 두루 가질 때의 의미와 달라지는 경우에 대해서는 ‘특수 활용형’이라 칭하여 이 두 가지 유형의 활용의 구체적인 형태론적 특성 및 의미론적 특성을 기술한 것이다.
용언의 제약 활용형과 특수 활용형은 모두 218개 항목으로 한국어 전체 용언의 수에 비하면 미미한 숫자이지만, 이 218개 항목 중에는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의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제약 활용형과 특수 활용형의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제약 활용형 및 특수 활용형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제약 활용형과 특수 활용형의 용어를 정의하였다.
2장에서는 형용사와 동사의 제약 활용형으로 나타나는 어미의 빈도 순위에 따라 그 구체적인 형태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형용사의 제약 활용형에 나타나는 어미의 빈도 순위는 ‘-(으)ㄴ/는/-(으)ㄹ, -게, -어(서)/-어야, -고, -면’의 순서이며 동사의 제약 활용형에 나타나는 어미의 빈도 순위는 ‘-어/-어도/-어야, -(으)ㄴ/는/-(으)ㄹ, -고, -아서, -지’의 순서이다.
3장에서도 2장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용사와 동사의 특수 활용형으로 나타나는 어미의 빈도 순위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형용사의 특수 활용형에 나타나는 어미의 빈도 순위는 ‘-게/-게나/-게는, -(으)ㄴ, -(으)면, -아서는’이며, 동사의 특수 활용형에 나타나는 어미의 빈도수 순위는 ‘-어(서)(는), -(으)ㄴ/는/-(으)ㄹ, -고, -게, -면’의 순이다.
일반적으로 동사의 경우가 형용사의 경우보다 어미가 더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수 활용형은 제약 활용형에 비하여 기초 어휘의 비중도 높고 어미도 더 다양하게 나타나고 의미 면에서는 다의어적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엇보다 같은 형태의 활용형이 일반 활용형으로 나타나는 경우와 특수 활용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공존하여 의미 해석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활용형 대치 방법과 유의어 대치 방법 등을 통해 특수 활용형을 식별해 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제약 활용형과 특수 활용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어 관계를 정의하였으며, 총 74개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목적과 한계점을 짚어 보았으며, 제약 활용형과 특수 활용형 그리고 해당하는 연어 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In this study, it takes note not of general morphological or semantic characteristics about predicate but of the case predicate does not have regular conjugational paradigm all around and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teaching contents from th...

In this study, it takes note not of general morphological or semantic characteristics about predicate but of the case predicate does not have regular conjugational paradigm all around and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teaching contents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of Korean vocabulary for foreign learners. That is, it calls 'restricted conjugation' for the case of predicate when is mainly used only as specific conjugation and also calls 'special conjugation' for the case of predicate when the meaning changes from the one having general conjugation all around, while predicate can be used as various conjugations, so to describe the concrete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conjugation in these two types.
There are total 218 items of restricted conjugation and special conjugation for predicate, which is an insignificant numb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Korean predicates, but it has an importance as these 218 items take a large portion of basic vocabulary for learning of Korean language.
In Chapter 1, it explains the object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then, introduces the method of study for restricted conjugation and special conjugatio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lso it reviews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restricted conjugation and special conjugation and based on the result, it defines the term of restricted conjugation and special conjugation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In Chapter 2, it examines the concrete form and mean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order of ending shown as restricted conjugation of adjective and verb. The frequency order of ending shown as restricted conjugation of adjective is '-(eu)n/neun/-(eu)l, -ge, -eo(seo)/-eoya, -go, -myeon' in the order and the same one of verb is '-eo/-eodo/-eoya, -(eu)n/neun/-(eu)l, -go, -aseo, -ji' in the order.
In Chapter 3, it also presents the same things concretel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rder of ending shown as restricted conjugation of adjective and verb like the method of Chapter 2. The frequency order of ending shown as special conjugation of adjective is '-ge/-gena/-geneun, -(eu)n, -(eu)myeon, -aseoneun' in the order and the same one of verb is '-eo(seo)(neun), -(eu)n/neun/-(eu)l, -go, -ge, -myeon' in the order.
It finds that, In general, ending is shown in much more variety for the case of verb than adjective, and special conjugation takes larger portion of basic vocabulary and shows ending in much more variety than the ones of restricted conjugation, while it shows the aspect of polysemy in the meaning. Also, most of all, there coexists the case to show both cases of general conjugation and special conjugation in the same form of conjugation, by which it causes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meaning and for them,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to identify special conjugation through methods of conjugation replacement and synonym replacement.
In Chapter 4, it defines the relation with continuous words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restricted conjugation and special conjugation, which presents a list in total 74 ones.
In Chapter 5, it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to review the object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n, emphasizes that much more concrete and practical education will have to be done about restricted conjugation and special conjugation as well as the relevant relation with continuous word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