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variation of English intonation by adults with different beginning age of English learning.
In 1997, an English subject was adopted to the elementary school by introducing the 7th curriculum in Korea. Tha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variation of English intonation by adults with different beginning age of English learning.
In 1997, an English subject was adopted to the elementary school by introducing the 7th curriculum in Korea. That's why, in this thesis, the changes between adults who did learn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and adults who did not learn English in their elementary years were analyzed. Since there is a critical period between age and language acquisition, especially when it comes to pronunciation.
The analysis methods were carried out in three ways.
The first wa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English intonation between native speakers and Koreans, whi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ight types of sentences.
The second way is another comparative analysis of English intonation but the subjects were different. The subjects are people who had english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otherwise the others are people who didn't have english classes in the school. With regard to the informants who had not english classes, the intonation figures were extracted from two different theses.
The last way is to analysis intonation according to the focus. The material of the experiment is a dialogue which is connected to the mean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ns, the range between the pitch of the stressed syllable and the pitch of the non-stressed syllable is significantly narrow, compared with the pitch range of native speakers.
Second, Korean speakers identify the structure of intonation in indirect question, statement, yes-no question, wh-question, and command, which shows very similar intonation movements with native speakers. Likewise, the utterances of alternative question and exclamatory sentence have large differences from native speakers.
Third,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informants who didn't have english classes is that the two types of sentences. The intonation shapes and movements of tag question and wh-question has been improved from the previous data.
First, in respect of focus, Koreans speakers do not realize pitch accent to the focused items.
Consequently, two different groups- who had english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s are people who had not english classes in the school- samely had a trouble in aquisition of English distinguishable prosodic features and the earlier English learning does not guarantee the better English utterances and into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glish teachers instruct intonation in the context of English discourse to students and expose them to various pattern of intonation.
나이와 언어습득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많은 학자들은 언어습득 중에서 특히 발음이 나이와 더욱 뚜렷한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1990년대 후반 초등교육과정에 영어과목이 ...
나이와 언어습득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많은 학자들은 언어습득 중에서 특히 발음이 나이와 더욱 뚜렷한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1990년대 후반 초등교육과정에 영어과목이 정규과목으로 편성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이수한 학생들과 그전 영어과목이 없었던 때의 학생들 간에 영어 억양에는 분명히 차이점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 하에 연구를 시작하였고 이러한 비교분석을 위해 1998년 이전 선행연구 두 가지를 참조하였다. 두 가지 선행연구는 구희산(1991)의 한국인의 영어억양에 관한 음성학적 연구와 유영애(1998)의 한국인의 영어억양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실험 분석은 Praat이라는 음향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선행연구와 실험 자료를 동일하게 하였고 초점별 억양분석을 위하여 대화문을 이용 하였다. 대상은 한국인 영어전공 대학 1학년생 남자 4명과 여자 4명이고 원어민 피험자는 현재 초등학교 영어교사인 20대의 남성 1명과 여성 1명이다.
분석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문장의 8가지 유형별 원어민과 한국인 피험자의 분석이다. 여덟 가지 문장유형은 간접의문문, 평서문, 가부의문문, 부가의문문, 의문사 의문문, 선택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이다. 선행연구와의 비교 분석을 위해 앞의 세 가지 문장 유형은 구희산(1991)의 연구와 동일한 문장으로 하였고 뒤에 4가지 문장은 유영애(1998)의 연구와 동일하게 하였다. 간접의문문의 문장은 선행연구에 자료가 없어 이에 대한 분석은 원어민과 한국인 피험자의 분석으로 대체하였다.
둘째는 위의 원어민과 한국인 피험자의 억양분석을 통하여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는 각각 문장유형별로 상세히 다루어 보았다.
셋째는 초점별 억양분석이다. 선행연구들의 기존 억양분석은 문장유형별 분석이 주를 이룬다. 억양은 문장유형뿐만 아니라 화제나 초점에 따라 다른 유형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명의 화자의 대화문을 만들어 단문의 문장유형별 억양곡선과 다른 점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그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과 한국인 피험자의 문장유형별 분석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피치의 높낮이가 매우 작아 단조로운 억양곡선을 보여주었다. 이는 음절박자 언어인 한국어의 간섭현상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그리고 간접의문문, 평서문, 가부의문문, 부가의문문, 의문사 의문문, 선택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촉 8가지 문장 유형 중 6가지 문장유형인 간접의문문, 평서문, 가부의문문, 부가의문문, 의문사 의문문, 명령문은 원어민과 억양곡선의 패턴이 거의 유사하였다. 악센트를 받는 단어 및 문두 및 문미의 모습이 비슷하였다. 하지만 선택의문문에서는 문미의 억양곡선을 잘못 발화하고 있었고 감탄문의 피치의 고저는 유독 변화가 없어 교정되어야 할 부분임을 나타내었다.
둘째, 초등교육영어과정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과의 비교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사 의문문과 부가의문문에 대해서는 발전된 억양곡선을 보였다. 의문사 의문문의 경우에는 선행연구 곡선은 문두 오름조 현상을 보였으나 본 실험의 피험자들은 모두 정확하게 내림조 곡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부가의문문은 선행연구의 자료에서는 문두에서 오르-내림조의 형태를 볼 수 없었으나 본 실험 연구에서는 발견된 부분이다.
셋째, 초점별 억양분석에서는 대화문의 초점에 따른 음의 고저를 두는 부분이 원어민과 달라 한국인 피험자들이 문맥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초점에 대한 피치 악센트를 주는 부분의 인지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결론적으로 영어 학습 시작연령이 낮았던 학생들과 많았던 학생들의 영어 억양 변화연구에 대해서 음성언어로서의 영어에 일찍 노출된 학생들이나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게도 모두 영어의 운율적 특성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음성언어로서 영어에의 조기 노출이 영어의 운율적 특성의 습득에 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는 결과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의미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억양을 포함한 초분절적 요소의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대화 맥락을 고려하여 음성의 강약과 고저를 문장 내 어느 부분에 더욱 두드러지게 발화해야하는 지에 대한 연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생들의 억양 및 강세 구현을 더욱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관련 교과서 및 교재 집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교사들의 적극적인 지도와 끊임없는 개발 한 병행되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