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연결어미와 연결어구의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한국어에서 문장을 연결할 때는 연결어미와 연결어구...
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연결어미와 연결어구의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한국어에서 문장을 연결할 때는 연결어미와 연결어구를 사용할 수 있는데 비슷한 의미를 가진 연결어미와 연결어구 사이에서 알맞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인과관계를 표현하는 연결어미와 연결어구는 종류도 다양하며 의미 영역 자체도 다르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텍스트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연결어미와 연결어구의 개념, 범위, 오류 양상을 살피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과관계 연결 표현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내용을 간략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서 제기한다. 또한 본고의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을 제시한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결어미와 연결어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도 함께 알아본다.
2장에서는 대학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들의 인과관계 연결 표현들을 어떻게 제시하여 설명하고 있는지를 살핀다. 그리고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와 연결어구들의 목록들을 검토해보고, 그 연결 표현들의 의미ㆍ통사적인 특징들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대상인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텍스트를 직접 분석하여 목록, 빈도수, 오류 양상을 제시한다. 연결어미와 연결어구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어 학습자는 매우 한정된 연결어미와 연결어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인과관계를 표현하는 연결어미와 연결어구의 사용 양상을 살피고 오류 문장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앞에서 살핀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연결어미와 연결어미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본다. 먼저 한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를 바탕으로 연결어미와 연결어구의 교육 방안을 적용해 본다. 그리고 인과관계를 표현하는 연결어미와 연결어구를 ‘도입, 제시, 연습, 활용, 마무리’의 단계로 초급 단계와 중급 단계에서의 수업 모형을 제시해 본다.
5장에서는 본고의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확인한다. 또한 연구에서의 부족한 부분과 연결어미와 연결어구의 연구 방향을 제언해 본다.
This was written based on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 connective endings plays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for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It is hard to choose suitable connective endings which can be used for...
This was written based on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 connective endings plays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for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It is hard to choose suitable connective endings which can be used for connecting sentences in Korean and also have a lot of similar meanings. Especially there are many connective endings that describe casual relationship and located in totally different area. This chose Korean language leaners' spoken language text to find out the notion, range and aspect of errors of connective endings and to make effective educational suggestions.
Chapter 1 suggested the object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also suggested how to make this study and what this study for. I also searched pre-study related with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examined the notions of existing connective endings and their system by meaning. After this I found out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ir meaning is a little bit different they can be used same way according to s and professors. Also I dealt with the general trait and meaning of connective endings that can represent casual relationship.
Chapter 3 found out the aspects of errors, frequency, contents after analyzing Korean language leaners' spoken language text. They use limited connective endings by far. I also analyzed the way of using connective endings when it comes to present casual relationship.
Chapter 4 tried to find a solution of effective way to educate connective ending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Chapter1,2,3.
First I tried to find the way of connective endings education based on the system of principle of Korean language grammar education. And then I suggested the answer divided by Wrap-up, Presentation, Practice, Use and Follow-up respectively.
Chapter 5 made summary and based on that I confirmed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I also made a proposal of a way of study of connective endings to make compensation of weak point of this study.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