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focuses on acculturation stress of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of the language. The difficulties which foreign learners face begin from sociocultural level. Generally, language learners studying aborad experience various pr...
This study focuses on acculturation stress of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of the language. The difficulties which foreign learners face begin from sociocultural level. Generally, language learners studying aborad experience various problems such as troubl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adequate communication skills, poor progress in learning, cultural shock caused by differences in living habits and culture patterns, difficulties in personal relationship, and Korean's prejudice on foreigners or misunderstandings of Korean's attitude towards foreig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about `Acculturation stress of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 language proficiency'.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purpose and needs of the study, and presents previous literatur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garding acculturation stress classified by countries and reviewed.
The second chapter defines the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theory. The acculturation concept is also provided and it looks closely on the background of how the acculturation concept came out. There are specific types of acculturation process presented in order to find out steps in which learners face difficulty. Moreover, the concept of stress appearing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is also considered. The chapter specifically discuss the factors affecting acculturation stress.
The third chapter designs the survey for the study of the acculturation stres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of learners. The subject and tools of the study are selected first. The study tools are scales of acculturation stress, demographic variables, social support and Korean proficiency. Then, study model and hypotheses are established. Research on acculturation stress conducts according to these study tools. The research results are analyzed and understood through accurate data.
The fourth chapter presents, analyzes, and discusses results of the survey on acculturation stress. First of all, needs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acculturation stress category for acquiring accurate results. After the needs analysis, the comparison of acculturation stress and other variables is performed. First, the acculturation stress is compared with demographical variables and it is then compared with social support. Next, the acculturation stress and Korean proficiency is compared. The learners are divided into beginning, intermediate, advanced learner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for comparing and presenting the differences of acculturation stress and other variables.
Finally, the fifth chapter provides a synthetic summary of the acculturation stress according to the Korean proficiency. After considering the meanings and limi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presents along with some suggestion of further study.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한 한국어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은 사회문화적인 차원에서 시작된다. 신체적·...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한 한국어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은 사회문화적인 차원에서 시작된다. 신체적·정신적 건강 문제부터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 학습 부진에 대한 문제, 생활 습관과 문화 양식의 차이로 인한 문화 충격 문제, 대인관계 문제, 한국 사람들의 편견이나 외국인을 대하는 태도에서 오는 오해까지 다양하게 겪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문화 적응 스트레스' 에 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한국어 교육의 선행 연구들을 국가별로 분류하여 검토한다.
2장에서는 문화 적응과 문화 적응 스트레스 이론을 정의한다. 문화 적응 개념을 정의하고 문화 적응 개념이 나타나게 된 배경들을 살펴본다. 실제로 학습자가 어떤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지 알기 위해 문화 적응 과정의 구체적인 유형을 살펴본다. 그리고 문화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의 개념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를 설계한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과 연구 도구를 정한다. 연구 도구는 문화 적응 스트레스 척도와 인구학적 변수, 사회적 지지, 한국어 숙달도이다. 그리고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을 설정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에 따라서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다. 이 후에 조사 결과를 정확한 데이터로 분석하고 파악하기로 한다.
4장에서는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정확한 결과 제시를 위하여 문화 적응 스트레스 항목에 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요구분석 후에는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다른 변수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제시한다. 우선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인구학적 변수와의 차이를 비교하고 사회적 지지와의 차이를 비교한다. 다음으로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한국어 숙달도의 차이를 비교한다. 숙달도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로 나누어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다른 변수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제시하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