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the rate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Korean man with foreign woman has increased rapidly. As a result, delivery rate in immigrant women increases. Immigrant women experienc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they als...
Recently, the rate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Korean man with foreign woman has increased rapidly. As a result, delivery rate in immigrant women increases. Immigrant women experienc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they also feel emotional constraint after delivery. These have negative effects on postpartal adaptation and child car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ernal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on their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and on their newborn infants's growth.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y to August in 2008.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3 general hospital and 1 university hospital in G city. The subjects were 30 primiparas and their babies: Fifteen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and the remaining 15 for experimental group were enrolled in the maternal education program.
The maternal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individual lectures, demonstrations using a booklet before discharge, one home visiting and 4 times of telephone counselings after discharg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C^(/)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aternal role confid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Z = 4.50, p = .001).
2. The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Z = 3.36, p = .001).
3. The newborn infant's weight(Z = 2.18, p = .076), length(Z = .06, p = .061), head circumference(Z = .95, p = .167), and chest circumference(Z = .44, p = .487)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maternal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decrease the parenting stress. Therefore, the maternal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최근 우리나라에서 한국남성과 외국여성의 국제결혼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주여성에서의 출산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주여성들은 의사소통과 문화적 차이에서 혼란...
최근 우리나라에서 한국남성과 외국여성의 국제결혼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주여성에서의 출산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주여성들은 의사소통과 문화적 차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출산 후 심리 정서적 불안정으로 가중되어 산후 적응과 아기 양육에 부적절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이 이주여성의 모성역할자신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이를 지역사회 아동간호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08년 5월부터 8월까지 G광역시 C대학병원과 3곳의 산부인과병원 분만실에서 분만한 이주여성 30명과 그들의 신생아이다. 실험군(15명)의 실험처치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대조군(15명)의 자료를 먼저 수집하였다.
사전조사로는 출산 후 3일 이내 이주여성의 모성역할자신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신생아의 체중과 신장, 두위, 흉위를 측정하였다. 실험군에게 실시된 이주여성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은 이주여성의 출산 후 2~3일에 병원방문과 퇴원 1주일 후 가정방문 및 주 1회의 전화방문을 통해 신생아돌보기와 신생아 마사지에 대해 교육하고 가정에서 실제 양육과 마사지를 2회/일 실천하도록 하였다. 사후조사는 이주여성의 출산 후 1개월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²-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및 Wilcoxon rank sum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주여성은 참여하지 않은 이주여성보다 모성역할자신감이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Z = 4.50, p = .001).
2) 제 2가설.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주여성은 참여하지 않은 이주여성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Z = 3.36, p = .001)
3) 제 3가설.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주여성의 신생아는 참여하지 않은 이주여성 신생아보다 성장이 빠를 것이다’
부가설 1.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체중의 증가가 클 것이다’는 지지받지 못하였다(Z = 2.18, p = .076).
부가설 2.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신장의 증가가 클 것이다’는 지지받지 못하였다(Z = .06, p = .061).
부가설 3.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두위의 증가가 클 것이다’는 지지받지 못하였다(Z = .95, p = .167).
부가설 4.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흉위의 증가가 클 것이다’는 지지받지 못하였다(Z = .44, p = .48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신생아기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은 이주여성의 모성역할자신감을 증진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은 이주여성의 모성역할자신감을 증진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