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연변지역의 한국어’ 종결어미에 의해 실현되는 상대높임법을 4등급 체계로 세우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상대높임법의 체계를 주로 3등급(하대, 평...
본고는 ‘연변지역의 한국어’ 종결어미에 의해 실현되는 상대높임법을 4등급 체계로 세우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상대높임법의 체계를 주로 3등급(하대, 평대, 존대)으로 분류해 왔지만, 하나의 종결어미 형태가 여러 등급을 아우르고 있거나 높임의 정도가 확연히 구분되는 여러 종결어미들이 하나의 등급 안에 섞여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고는 ‘-더라’, ‘-더구마’, ‘-ㅂ데/습데’, ‘-ㅂ더구마/습더구마’의 등급 계열, ‘-지’의 쓰임, 그리고 ‘-네’, ‘-게’, ‘-세’, ‘-구먼/구만’의 쓰임 등을 근거로 연변지역의 한국어 종결어미를 4등급 체계로 분류하고, 이것들의 등급 명칭을 각각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합소체로 명명한다. 또한 상대높임법에는 ‘낮춤’이 존재할 수 없으므로 본고는 ‘높임법’과 ‘안높임법’의 대립 체계를 따른다.
필자는 연변지역의 초기의 종결어미 형태뿐만 아니라 현재의 변화된 형태까지 폭넓게 조사하기 위하여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수도인 연길시를 방문하여 현지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치환식 방법(conversion questions)’을 이용한 서면작성 방식, ‘현장녹음 방식’과 ‘대화녹음 방식’을 이용한 녹음 방식, 그리고 제보자의 음성을 기록하는 ‘전사(transcription)’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연변지역의 한국어 종결어미는 함북 지역어가 그 기층을 이루는 가운데, 주변 지역의 방언과 한국어의 영향까지 더해져서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이것은 연변지역의 한국어 종결어미가 주변 지역과 지속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또한 노년층들이 주로 쓰던 ‘-슴두’, ‘-ㅂ세/습세’, ‘-십세’ 등은 점차 사라져가는 반면 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습데까’, ‘-습니까’, ‘-십시오’ 등의 쓰임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젊은층들은 한국어 흉내를 내려고 ‘-요’를 더러 사용하고, ‘-습니다’와 ‘-습니까’의 줄임말인 ‘-슴다’와 ‘-슴까’ 등을 즐겨 쓰고 있다.
학업이나 취업 등으로 한국을 경험한 조선족들의 증가, 10년이 넘게 계속된 한국어 방송, 일상생활에서의 한국어 중시 경향, 그리고 한국과 연변지역 간 공동 학술 연구 등의 영향으로 이러한 변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연구는 이 지역의 한국어 연구를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deals with Korean sentence ending elements of Yanbian area.
Yanbian Area is adjacent to Hamkyeongbuk-do in North Korea and is the large autonomous communities of Korean Chinese(‘the Joseonjok’) in the northeastern provinces, China. In ...
This deals with Korean sentence ending elements of Yanbian area.
Yanbian Area is adjacent to Hamkyeongbuk-do in North Korea and is the large autonomous communities of Korean Chinese(‘the Joseonjok’) in the northeastern provinces, China. In this area, they have been using Korean for more than one hundred years.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classified Korean addressee honorific systems of Yanbian area into three grades(‘low-level, horizontal-level, high-level’), but this will classify it into four ones on the basis of ‘-gumeon/guman’, ‘-ji’, ‘-ne’, ‘-ge’, ‘-se’ and so on. In this , four grades of addressee honorific systems are named by ‘herache’, ‘hageche’, ‘haoche’, ‘hapsoche’. By the way this will not deal with low-level but do one horizontal-level(‘herache’) and three high-levels(‘hageche’, ‘haoche’, ‘hapsoche’) in Korean addressee honorific systems of Yanbian area, because we can’t set up low-level in addressee honorific systems.
Korean sentence ending elements of this area were built on Hamkyeongbuk-do dialect, which are ‘-seukkuma’, ‘-seupdeoguma’, ‘-seumdu’, ‘-seupso’, ‘-seupseda’, ‘-gepso’, ‘-gipso’ and so on. On the other hand, ‘-seupnida’, ‘-seupnikka’, ‘-sipsio’, ‘-yo’, ‘-deoguman’, ‘-gumeon’ and ‘-guryeo’ are being used in Korea as well as this area. Moreover, ‘-seupse’ and ‘-sipse’ of this area were spread from Yanbian's surrounding regions. These are to establish the fact that Korean sentence ending elements of Yanbian area not only have been built on Hamkyeongbuk-do dialect but also have maintained continuing and close relation with surrounding regions so far.
In this area, ‘-seumdu’, ‘-seupse’ and ‘-sipse’, which the old often use, have been a steady decrease. Otherwise, lots of people have used ‘-seupdekka’, ‘-seupnikka’ and ‘-sipsio’ more frequently than before. And the youth sometimes use ‘-yo’ to mimic Korean and often do ‘-seumda’ and ‘-seumkka’, which are abbreviations for ‘-seumnida’ and ‘-seumnikka’. Besides, the old have used mostly ‘-seumdu’, ‘-seupse’ and ‘-sipse’ in the past, but they nowadays have done ‘-seumda’ and ‘-seumkka’ every now and then.
These changes will accelerate as time goes by, therefore future researches will develop more and more Korean study of this area.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