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의 구조에 따른 세부 전략과 담화표지 교수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증명하여 보다 효과적인 쓰기 교육방법을 고안해 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재 텍...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의 구조에 따른 세부 전략과 담화표지 교수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증명하여 보다 효과적인 쓰기 교육방법을 고안해 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재 텍스트를 분석하여 구조에 따른 전략을 분석하고 담화표지를 추출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실제 작문을 분석하여 담화표지의 사용 및 오류 양상을 살핀 후 과제기반형태집중 활동을 활용한 담화표지 실험 수업을 통해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교재 텍스트와 학습자 작문의 구조 및 세부 전략 그리고 그에 따른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학습자의 작문에서는 주장하는 글의 구조적인 특징이 잘 드러나지 않은 글이 많았으며 교재 텍스트에 비해 학습자의 작문에서는 전체적으로 세부 전략 사용의 빈도가 낮고 담화표지의 사용도 다양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오류 측면을 살펴본 결과 우선 최상위구조 측면에서 볼 때 주장하는 글의 구조가 전혀 없거나 서론, 본론, 결론 구성이 없는 글이 발견되기도 하였으며, 담화표지를 잘못 사용하거나 누락 시키는 오류를 범하여 글의 응집성과 결속성을 매우 떨어뜨리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고에서는 담화표지 교육 방안 및 전략의 하나로 과제기반형태집중 활동을 활용하였다. 우선 집단을 통제집단, 실험집단 1, 실험집단 2 세 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 1에는 입력강화를 활용한 과제를 부여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실험집단 2에는 의식고양과제를 부여하여 주장하는 글쓰기의 구조 및 담화표지 교수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별 수업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전과 실험 후의 각 집단별 성취도를 비교해 본 결과 가장 높은 향상도를 보인 집단은 의식고양과제를 실시한 실험집단 2가 사전점수 60.55에서 76.90으로 약 16점 향상했고 사전 점수 대비 약 23%의 향상을 보였다. 이는 상당히 높은 값으로 일원분산분석 통계 결과 유의확률 0.000으로 통제집단의 실험 결과가 매우 유의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입력강화과제를 실시하였던 실험집단 1의 경우는 유의확률 0.001로 역시 유의미하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사전 점수 59.2에서 68.1로 약 13점의 점수 상승으로 19% 점수 향상을 보였다. 이로써 과제기반형태중심 활동을 통해 구조와 담화표지를 학습한 후 글의 조직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무런 과제를 주지 않았던 통제 집단 역시 사전 점수 59.2에서 사후 점수 78.1로 약 9점의 점수 향상과 약 15%의 향상을 보였는데 이는 목표 형태에 집중하게 도와주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의식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업의 효과를 얻는 특별한 과제를 부여하지 않더라도 쓰기의 구조에 따른 담화표지의 일반적인 수업만으로도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중 조직성에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중 구조적인 측면에 있어 글의 구조에 따른 담화표지의 교육이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과제를 활용한 집단에서 점수 향상이 크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의식고양과제의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입력강화과제 역시 그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과제를 부여하지 않았던 통제집단도 수업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글의 구조에 따른 담화표지 교육의 효과를 다시 한 번 증명한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실험에 있어 연구 대상의 대표성 및 피실험자 수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지만 앞으로 연구 범위를 넓히고 풍부한 분석 자료 및 충분한 피실험자 수의 확보로 보다 체계적인 향후 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course markers experimental teaching and writing substrategies focusing on text structure in an attempt to devise a more efficient writing education method. A textbook of the Korean language 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course markers experimental teaching and writing substrategies focusing on text structure in an attempt to devise a more efficient writing education method. A textbook of the Korean language was analyzed to extract discourse markers and analyze what strategies were used in view of the structure of writing, and the writing of selected learners was analyzed to find out discourse markers used by them and their errors. And then experimental teaching was provided about discourse markers, and its effect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 of the textbook, the structure of the writing of the learners and their use of substrategies and discourse markers, their writing couldn't explicitly be said to be assertive in many cases. Their writing used substrategies less often than the textbook, and the former used less diverse discourse markers than the latter.
As for their errors, some pieces of writing could never be said to be assertive in terms of key structure, and didn't draw a line between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And the wrong use or omission of discourse markers resulted in detracting from the cohesion and unity of their writing.
Focus on form in task-based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o conduct teaching discours markers. After three different groups were organized involving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1 were assigned tasks by input enhancement, and Experimental Group 2 were given consciousness-raising tasks when experimental teaching was offered about assertive writing structure and discourse markers. Each group's achievement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grasp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al teach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eaching discourse markers focusing on writing structure had an effect on the writing structure of the learners, part of writing ability. Specifically, the groups that resolved the given tasks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The assignment of the consciousness-raising tasks produced the best effects, and that of the input enhancement tasks had significant effects as well.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group to which no tasks were given made a significant progress, which lent credibility to the effects of teaching discours markers focusing on writing structure.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representativeness and number of the subjects, and more systematic and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by examining more materials and a larger number of subject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