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급과정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중심 현장학습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eaching the beginner a language education is very difficul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same, too. So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search and study is demanded. The research of the various field for course rudiments is actively increasing. ...

Teaching the beginner a language education is very difficul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same, too. So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search and study is demanded. The research of the various field for course rudiments is actively increasing. But field experience cases of the middle class and high class is plentiful. Therefore the field experience study which targets the first class is necessary. Teachers overlook the first class student and exclude them from the activities because the teachers may think it is too difficult. But when we apply the language which is simple enough for the students, we can teach them effectively. From the field experience plan and performing the tasks, it will help us understand the need of the first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field experience plan on task base for the first class Korean language student.
In chapter 2, it contains research on how a study of the field experience is actual run and manag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universities in Pusan. Through questionnaires, Korean language teachers express what they think of the field experience and suggests improvements. The result are as follows:
a. The field experience is not engaging and does not provide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language.
b. The field experience preparation is insufficient.
c. The field experience is composed of 5~10 people. Each team is executed 2~3 times.
Chapter 3 presents an investigation on the field experience method. The development direction is as follow:
a. The plans for the field training needs to fit the first class.
b. The student must participate in all of the phases of the field experience.
c. The teacher role must be clear.
d. The evaluation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Phases 3 reflects the model which is presented. The focus of this study centers around the preparation of the field experience. It is presented in the example 2 of the task base lesson plan.
This study is reliable because the facts presented in the lesson plan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But the application is necessary. Consequently I hope in the future many applications will be developed from this lesson plan.

언어 교육에 있어서 초급자들을 가르치는 것이 가장 힘든 일이라는 것은 어느 정도 공감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초급과정 학습자들을 위한 교수·학습의 어려움으...

언어 교육에 있어서 초급자들을 가르치는 것이 가장 힘든 일이라는 것은 어느 정도 공감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초급과정 학습자들을 위한 교수·학습의 어려움으로 인해 교사지도서 및 여러 연구, 관련 도서 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현장에 있는 한국어 교사들의 경력과 경험이 다른 학문의 교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그 필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요구에 맞게 한국어 교육계에서도 여러 분야에 걸쳐 초급과정 학습자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문화 교육의 하나로 실시되고 있는 현장학습은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초급에게 맞는 현장학습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위한 현장학습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지만 초급과정 학습자는 수동적인 견학 형태 외의 시도가 어렵다는 인식이 많다. 하지만 학생들이 압도되지 않을 정도의 단순한 단위의 언어자료를 활용한 활동이라면 충분히 학습자중심의 다양한 과제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의도가 본 연구의 계기가 되었다. 본고는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과제를 수행하는 형태의 현장학습 방안 연구이다. 여기에서 과제는 초급과정 학습자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 상의 학습 표현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실시형태와 방향은 부산지역 한국어 교육기관의 현장학습 현황 조사가 토대를 이룬다.
한국어 교육기관의 현장학습 실태 조사를 위해 부산 소재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 6곳을 선정하여, 한국어 교사 총 4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나타난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동적 형태의 현장학습이 보편화 되어 있다는 것이다. 초급과정 학습자들에게 문화 교육에 중점을 두고 언어 교육과의 연계가 크지 않은 일회성의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정 안에서 학습내용과 연계를 가진 체계적인 지도방안을 통해 학습자들이 선택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둘째, 현장학습의 전체 준비 과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간단한 계획서만을 작성하거나 현장의 담당자에게 일임하게 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언어 교육과의 통합성을 높인 교육과정에 맞는 교수·학습안을 작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교수·학습안이 교사와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생각은 67.4% 교사들의 응답에서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2개의 현장학습 교수·학습안을 구안하였다.
셋째, 실시회수는 2~3회 정도로 인솔자 1인당 5~10명을 한 모둠으로 하는 형태가 이상적이라고 봤다. 중요 고려사항으로는 학습자의 흥미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과의 연계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사들이 제시한 과제의 예와 위의 방향을 참고하여 초급과정 학습자를 위한 과제중심 교수·학습안을 개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기관의 현장학습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과제중심 현장학습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교수·학습 모형과 그에 따른 교수·학습안을 구안하였다. 현장학습 개발 방향은 다음의 네 가지로 제의할 수 있다.
첫째, 초급수준의 한국어 교육목표에 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현장학습의 계획, 수행, 평가 단계에 학생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셋째, 인솔교사의 역할을 분명히 해야 한다.
넷째, 평가는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사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는 다음 교육과정계획에 반영해야 한다.
이를 반영한 현장학습 모형은 ‘계획·준비-수행-평가’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초급과정 학습자라는 점의 특성을 고려해 계획·준비 단계를 중점으로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현장학습 모형의 적용 교재인 부산외대 ‘쉽게 배우는 한국어-초급(듣기·말하기)’를 살펴보고 두 단원을 선정하여 초급과정 학습자를 위한 과제중심 교수·학습안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소재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의 초급과정 학습자를 위한 현장학습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 및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현장의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한 체계적인 교수·학습안 틀을 구안한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적용 결과를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한계이며 따라서 앞으로 이 틀의 활용을 통한 좀 더 구체적인 교수·학습안이 제작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