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중의성 문장 발화 시 신경언어장애인의 운율 실현에서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운율이 의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의성 어휘와 중의성 문장을 이...
이 연구의 목적은 중의성 문장 발화 시 신경언어장애인의 운율 실현에서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운율이 의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의성 어휘와 중의성 문장을 이용하며 어휘 수준과 문장 수준에서 운율의 실현을 조사하였다. 좌·우반구 손상 신경언어장애인의 운율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성조의 특성과, 지속시간, 피치 및 강도를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경언어장애인들이 가지고 있는 운율의 특성을 이해하고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하였다.
좌·우반구 병변의 신경언어장애 집단의 구어에서 나타나는 운율의 특성과 정상 집단에서 나타나는 운율의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신경언어장애인들의 운율 특성을 알아보고자 지속시간, 피치, 성조를 종속변수로 하는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적 중의성 문장에서 집단 간 운율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정어의 영향권에 따른 중의성 문장에서 집단 간 운율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구조적 중의성 문장에서 집단 간 운율의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는 신경언어장애인의 좌·우반구 병변이 언어학적 운율의 실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지와 정상 집단과 언어학적 운율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 목적에 따라 좌반구 병변 집단, 우반구 병변 집단, 정상 집단으로 전체 3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은 8명으로 구성하였다. 좌·우반구 손상 대상자들은 병원에서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CVA)으로 진단을 받고 현저한 조음 문제와 정신과적 문제가 없는 대상자로 구성하였다. 병변 집단의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서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Korean-Western aphasic battery: K-WAB)을 실시하였으며 검사과정은 비디오로 녹화되고 이 비디오 자료와 모든 집단의 대상자들이 검사과정에서 수행한 자료들은 2 명의 박사과정 연구자들이 평가하여 100% 일치하는 연구 대상자들을 이 연구를 위해 선정하였다. 대구 경북권의 4 곳의 준종합병원 이상에서 52명의 뇌졸중 환자에게 K-WAB을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토대로 좌반구 병변 대상자 8명, 우반구 병변 대상자 8명, 통제 집단 8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실험 방법은 동형-동음 이의어인 어휘적 중의성 문장 3 가지 유형과 부정어의 영향권에 따른 중의성 문장, 구조적 중의성 문장 등을 준비하였다. 실험 방법은 주로 읽기로 진행되며, 읽기는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실험자와 대상자가 대화를 하는 방식으로 읽기가 진행되며 두 번째는 대상자가 단독으로 읽는 것이다.
모든 실험 항목들은 Praat 4.3.14(Boersma & Weenink, 2005)를 이용하여 녹음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음에 앞서 2 번의 연습을 실시하고 세 번의 발화를 녹취하였다. 녹음시 표본 추출률은 22,050Hz로 설정하였으며, 주파수 대역이 20-20,000 Hz의 마이크로폰(Philips SBC HG 100)을 이용하여 녹음하였다. 마이크로폰과 입과의 거리는 약 10-15cm로 유지하였다.
스펙트럼에서 구간을 선택할 시 구어 샘플을 5 번 이상 청취한 후 음향학적 요인과 청지각적 판단을 같이 고려하여 구간을 설정하였다. 어휘적 중의성 문장을 분석할 시 각 단어의 음절의 지속시간과 F0, 성조를 구하였다. 부정어의 영향권으로 인한 중의성 문장의 운율을 분석하기 위해서 부정어의 영향을 받는 동사를 중심으로 동사, 동사 앞 단어와 부정어의 F0와 지속시간, 성조를 비교하였다.
각 검사 항목의 25%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음향학적으로 분석하고 분석자 간 및 분석자 내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분석자 간 신뢰도는 각각의 음향학적 변수에 대하여 F0와 지속시간, 성조에 대한 크론바하 알파 계수는 .9959, .9929, .9934이며 분석자 내 신뢰도는 .829였다. 이 연구의 실험 기간은 2007년 12월 1일부터 2008년 5월 1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각 대상자들은 2 ~ 3 회기에 걸쳐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 과정은 Praat 4.3.14에 직접 녹음하고 Sony 비디오 카메라(DCR-SR200)에 녹화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일변량, 이변량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적 중의성 문장에서 중의성 어휘는 장단에 따라 모음 지속시간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음 지속시간은 의미 변화와 집단 간 상호작용이 나타났고 사후검정 결과 좌반구 병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맥으로 해소된 중의성 어휘의 음절 지속시간은 집단 간 차이가 있었지만 의미변화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어휘적 중의성 문장에서 중의성 어휘는 피치 변화에 대하여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의미변화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정 결과 우반구 병변 집단이 다른 집단과 차이에서 유의하였다. 성조의 분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부정어의 영향권에서 선행절말 음절과 동사말 음절 지속시간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후검정 결과 좌반구 병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문장전체를 부정할 때 동사말음절과 부정어의 피치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는 우반구 병변 집단과 정상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구조적 중의성 문장에서 지속시간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피치 변화에서 좁은 범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후검정 결과 지속시간은 좌반구 병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피치 변화에서는 병변 집단이 정상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의미 변화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에서 어휘적 중의성 즉, 동음이의어는 장단이 남아 있으며 장단에 따른 지속시간은 좌반구 병변 집단이 가장 길고 시간적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우반구 병변 집단은 피치의 변화에서 제한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부정어 영향권에 따른 문장에서 동사말음절의 지속시간은 중의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며 좌반구 병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길고 시간적 측면에서 결함이 나타났다. 반면, 우반구 병변 집단은 피치의 변화의 역동성에서 제한이 있었다.
셋째, 구조적 중의성 문장에서 경계 전/후 음절의 지속시간에서 좌반구 병변 집단은 시간적 결함이 있음을 보였고 피치의 변화에서 병변 집단은 정상 집단과 구별되었다.
이 연구들에서 많은 음향학적 매개 변수 중에서 운율의 초분절적 특성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속시간과 피치를 고려하였지만 운율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음향학적 변수들이 채택과 그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들 통해 도출된 결과를 고려하여 신경언어장애인들에 대한 이해가 더욱 확장되고 치료중재 시 언어학적 운율에 대한 고려 및 치료 시 언어학적 운율과 관련한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하는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