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한 결혼이민자 어머니들과 내국인 어머니들이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고 비교 분석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사회복...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한 결혼이민자 어머니들과 내국인 어머니들이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고 비교 분석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적 양육지원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내국인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이 차이는 어떠한가 ?
2. 결혼이민자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는 어떠한가 ?
3. 내국인 어머니와 결혼이민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는 있는가 ?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10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내국인 어머니 109명, 재원생중 결혼이민자 어머니와 다문화가정지원센터 등의 교육생 85명으로 총 194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질문지 조사법으로 Abidain(1983)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축소, 개정한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한국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고 우리 문화에 맞게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개발한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처리는 SPSS/WIN 12.0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간의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사용하였고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국인 어머니는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낮고 소득이 낮을수록 양육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민자 어머니는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이 가장 높았으며 학력이나 소득이 낮을수록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민자 어머니가 내국인 어머니보다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이민자 어머니의 한국 생활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것으로 부족한 한국어 실력에서 오는 의사소통의 문제와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과 낮은 나이와 소득, 양육지식의 부족 등이 원인이라 할 것이다.
자녀는 가족, 가정에서 떼어 놓을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자녀들에게 가족과 사회와 국가는 짐이 아니라 든든한 힘이라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이제 당면한 문제를 풀면서도 예방을 함께 접목해야하는 시점이라는 것을 깊이 자각하면서 시대의 표정을 잘 읽고 ‘사업을 위한 사업’이 아니라 참으로 결혼이민자 가족과 자녀들이 혜택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국가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결혼이민자 가족에 대해 사회는 이들을 교육하고, 가족은 사랑으로 품어주는 삼위일체적 노력이 가시화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ative and immigrant mothers’ degree of getting stress in raising children,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to make legal policy that relieve the stress and support mothers by the social welfare. T...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ative and immigrant mothers’ degree of getting stress in raising children,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to make legal policy that relieve the stress and support mothers by the social welfare. The topic of the study for the purpose of it is as follows :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native mothers with infants having stress depending on variable of sociology of population?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stress of immigrant mothers who raise children depending on the variable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native and immigrant mothers in raising children?
The object of the study is 194 mothers in total. They are 109 native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unggi area and 85 mothers who are registered in organization that supports multicultural families.
The tool used in the study is questionnaire method, PSI(Parenting Stress Index, Abidain,1983), minimized and revised by Ki Hyun Kim and Hee Kyung Kang in 1997 that considers Korea’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o analyze the data, SPSS/WIN 12.0 was used, and to see the difference of the object’s characteristic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 two groups were cross-analyzed. Lastly, to see the object’s difference between having stress in raising children and the characteristic of sociology of population, one-way Anova, and to see the difference in degree of having stress between native and immigrant mothers, t-test was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ative mothers had the highest degree of having stress in performing proper parents. Also, when mother was young or was living on low income, degree of having stress in raising kids increased.
Second, the immigrant mothers had the highest degree of guilty and if they had low education level or income, they seemed to have more stress in raising children.
Third, it is concluded that immigrant mothers get more stress than native mothers in raising children
This is due to immigrant mothers’ hardship in adapting into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ir poor linguistic ability, conflicts in cultural difference, low age and income and lack of knowledge in raising children. Children are not something that cannot be taken away from either the family or home. The children must realize that family, society, and nation are not a burden but a support to them.
Now, the government must make a policy that prevents and solves the problem we face now. The policy also has to directly support the immigrant family’s difficulties and needs. Lastly, the policy has to reflect the time we are living now. If the society educates the family and the family cares about its members, then the immigrant family will have the better tomorrow.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