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Korean collocations according to subject and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em.
Korean vocabulary teaching using collocations is useful for accuracy and fluency. That is, studying collocations cla...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Korean collocations according to subject and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em.
Korean vocabulary teaching using collocations is useful for accuracy and fluency. That is, studying collocations classified according to subject can help individuals to memorize collocations systematically and use the memorized collocations easily in real situation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designed before teaching methods were suggested, and then the collocations were selected. Standards of deciding the object (were made by using information gathered from) previously mentioned problems in preceding studies and then modifying them. For this study, the subjects in Korean textbooks used at Korean teaching institutes now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As a result, there are some subjects used (that are found) in a high frequency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following; 'living', 'place', 'festival days', 'school', 'residing', 'travel', 'traffic', 'feeling and thinking', 'buying', 'food', 'occupation', 'information'. After selecting subjects, collocations were chosen in each subject. The choice of collocations were based on Korean language text books used now. In addition, some dictionaries have been referred for this study, such as Learning Korean Dictionary and Korean Collocation Dictionary, which includes collocations on TOPIK(korean fluency test) and a Korean language (as a mother tongue) vocabulary list for an intermediate level.
After that, (a) teaching method model has been suggested for the presentation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collocations. Finally, the method has been applied to teaching collocations of 'weather‘. This study develops Observation-Hypothesis-Experiment mothodology; it is more effective than PPP mothodology.
The teaching method can be changed to fit another teaching method depends on learner's factor and studying environment. Personally, the fact that the teaching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has not been proved is very sorry (unfortunate). However, apart from some limits of this study, I hope this study can be devoted to effective collocation teaching, and I believe more studies in this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주제별 연어의 선정과 그 교육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어(Collocation, 連語)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은 한국어 학습자가 자연스러운 한국말을 ...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주제별 연어의 선정과 그 교육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어(Collocation, 連語)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은 한국어 학습자가 자연스러운 한국말을 할 수 있도록 그 정확성과 유창성을 높여 줄 수 있다. 또한 주제중심으로 연어를 학습하는 것은 주제와 관련된 연어를 체계적으로 기억하여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학습한 표현을 더욱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방안 제시에 앞서 먼저 연구대상 주제를 선정하고 그 주제별 연어를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주제 선정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선행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것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현재 국내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이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의 각 단원의 주제를 그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결과 ‘생활’, ‘장소’, ‘명절’, ‘학교’, ‘주거’, ‘여행’, ‘교통’, ‘감정과 생각’, ‘물건사기’, ‘음식’, ‘직업’, ‘정보’ 등이 한국어 교재에서 자주 나타나는 주제로 선정되었다. 주제를 선정한 후에는 주제별 연어를 선정을 하였는데 이 연구의 주제별 연어는 현행 교재에 나타나고 있는 연어 표현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었다. 그 외에 의미로 분류한 현대한국어학습사전과 연어사전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등장한 연어 표현 및 등급별 국어 교육용 어휘 중 중급 수준에 해당하는 어휘 중 주로 연어의 형태로 이용되는 어휘를 포함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선정한 주제별 연어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제시를 위하여 그 교육방안 모형(teaching method model)을 먼저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실제적으로 ‘날씨’의 주제별 연어를 그 모형에 대입하여 구체적인 주제중심 연어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PPP교수방법론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중심의 수업에 더욱 효율적인 OHE 교수방법을 선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은 여러 가지 학습자 요인 및 학습 환경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방안은 무엇보다도 실제적인 실험 과정을 거치지 못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과정을 거치지 못 했다는 데 큰 아쉬움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제한점에 있으나 이 연구가 효율적인 연어교육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바이며 후행되는 연구에서도 더욱 다양하고 효율적인 연어 교육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