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토글로스 수업이 한국어의 이해와 산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Dictogloss is a task-based teaching method which consists of asking learners to dictate a paragraph as they listen to it and reconstruct the original text.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text with their small group members, learners, by focusing...

Dictogloss is a task-based teaching method which consists of asking learners to dictate a paragraph as they listen to it and reconstruct the original text.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text with their small group members, learners, by focusing on writing and speaking of their interlanguage, have become able to hav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its contents as well as to study the line of communication and its several functions. The Dictogloss method is predominantly accepted in English education, yet it hasn't been fully appreciated when it comes to teaching Korean. Moreover, even in English education, there is lacking of case studies that focus on specific communication skills, formative approach, purposes non-related to entering exams, or purely adult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Dictogloss on the integrated task-based Korean teaching class in terms of comprehension and output (of the acquirement.) In this study, twenty-seven intermediate level of Korean learners were participated in two separate classes. The controlled group was given a class which lacks of Dictogloss involvement such as reconstructing an original text and small group activity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Dictogloss classes over three times. Both groups were then diagnosed their level of understand, fluency and precision of grammar and vocabul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re improved in fairly all areas, and deviations of participants' performances were small so as to draw a meaningful outcome. In detail, learners' improvement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s particularly higher than that of other areas. On after individual interview,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swered that Dictogloss classes had encouraged more active study. When it comes to cooperative study, most of participants gave a positive review although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tudy was varied in accordance with participants' linguistic background. In addition, this study introduces various ways to use Dictogloss from Jacobs(2003) and adds some suggestions which can use in Korean teaching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n order to use Dictogloss in Korean teaching class, it is crucial to precedently analyze learners' linguistic background or affective factor, and it isn't necessary to offer precise explanation of core vocabulary and grammar which can potentially prevent learners from challenging. In addition, reference to formal schema, strategy of note-taking and feedback from a teacher will be certainly helpful for learner to seize fluency and preci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not only that Dictoglos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eaching Korean but also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useful in more integrated areas rather than just a specific one. However, more extensive study with more diverse language background participants for longer period will be needed to develop the application of Dictogloss to Korean education.

딕토글로스(Dictogloss)는 문단 이상의 글을 들으며 간단한 메모를 하는 받아쓰기 활동을 한 후에 자신의 노트를 토대로 팀원과 함께 원문을 재구성해나가는 과제 중심의 교육 기법이다. 소그...

딕토글로스(Dictogloss)는 문단 이상의 글을 들으며 간단한 메모를 하는 받아쓰기 활동을 한 후에 자신의 노트를 토대로 팀원과 함께 원문을 재구성해나가는 과제 중심의 교육 기법이다. 소그룹에서 텍스트를 재구성해내는 창조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중간 언어 발화와 쓰기에 주목하여 내용과 언어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과 의사소통 영역을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딕토글로스 활동은 영어 교육에서는 활발하게 논의되었지만, 아직 한국어교육에서는 본격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또한, 영어교육에서도 특정 의사소통 영역이나 형태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거나, 입시 외의 환경, 혹은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딕토글로스가 한국어 통합 과제 수업으로서 이해와 출력 면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급 한국어 학습자 27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했다. 통제집단에는 딕토글로스의 핵심인 들은 내용 재구성하기와 소그룹활동이 배제된 수업으로 설계하고 실험집단에는 딕토글로스 수업을 3차시에 걸쳐 진행한 후 사후 평가를 통해 집단 별 이해도, 유창성, 문법과 어휘의 정확성을 진단했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성적이 향상되었고, 학습자 간 성적 편차도 줄어들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세부 영역에서는 이해도의 향상의 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후 개별 인터뷰에서는 학습자들이 딕토글로스 수업이 능동적인 학습을 도모한다고 응답했다. 협력적 학습에 대한 응답에서는 대부분이 유용하다고 응답했으나 그 비중에 대해서는 언어권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본고에서는 Jacobs(2003)의 다양한 딕토글로스 활용 방안에 대해 소개하고, 본 실험 결과의 해석을 바탕으로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을 위해 단계 별로 몇 가지 제언을 덧붙였다. 한국어 수업에서 딕토글로스를 활용할 때는 학습자의 언어권이나 정의적인 요소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핵심 어휘 및 문법에 대한 명시적 설명은 학습자가 도전할 만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모두 제공할 필요는 없다. 또한 형식적 스키마에 대한 언급이나 노트 필기 전략, 교사의 피드백이 더해진다면 학습자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딕토글로스를 한국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마련하고, 특정 영역이 아닌 통합 과제로서의 가능성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험에 사용된 학습자의 언어권이 다양하지 못했고, 비교적 단기간에 진행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남겼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