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국인한국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서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데 ...
본 연구는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국인한국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서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중국인한국어학습자와 한국어모국어화자의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중국인한국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를 주어진 문맥에서 화자나 주어의 시간적인 위치와 공간적인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가에 대하여 그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 대상과 범위를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국어학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 ‘가다’, ‘오다’가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보조용언 ‘-아/어 가다’, ‘-아/어 오다’의 구성과 합성동사 ‘V/아/어/가다’, ‘V/아/어/오다’의 구성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중국인한국어학습자와 한국어모국어화자의 ‘-아/어 가다’, ‘-아/어 오다’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예비 실험과 본실험에 대한 방법과 절차를 소개하였다. 예비 실험에서는 실험대상자, 실험도구 및 절차, 실험결과를 제시하고, 본실험에서는 실험대상자, 예비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한 실험도구, 자료 분석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절차에 따라 얻은 결과를 기반으로 중국인한국어학습자가 ‘가다’, ‘오다’가 하나의 성분으로 구성된 보조용언 ‘-아/어 가다’, ‘-아/어 오다’와 합성동사 ‘V/아/어/가다’, ‘V/아/어/오다’의 습득 양상을 분석하고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결론 부분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서 의의 및 한계점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한국어교육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중국인한국어학습자의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의 사용 양상을 밝혔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또한 앞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중국인한국어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 교수·학습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험대상자를 중국인한국어학습자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언어와 대조분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험 도구에서 각 유형별 문항 수와 실험대상자의 인원수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전체 중국인한국어학습자에 대하여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본 연구의 해당 문형이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외국어 환경인가 제2언어 환경인가)에 따른 영향이 있는지, 그 외의 다른 요인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술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외국인한국어학습자의 한국어 ‘-아/어 가다’, ‘-아/어 오다’ 습득 양상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s Korean ‘-a/ə kada’, ‘-a/ə oda’. For this purpose, Chinese learners' use of Korean ‘-a/ə kada’, ‘-a/ə oda’ is examined in two ways: we first examined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s Korean ‘-a/ə kada’, ‘-a/ə oda’. For this purpose, Chinese learners' use of Korean ‘-a/ə kada’, ‘-a/ə oda’ is examined in two ways: we first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use of Korean ‘-a/ə kada’, ‘-a/ə oda’. Secondly, we examined whether the Chinese learners' used the Korean ‘-a/ə kada’, ‘-a/ə oda’ properly.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like followings below.
In Chapter 1, it identifies the aim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reviews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a/ə kada’, ‘-a/ə oda’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functions of Korean ‘-a/ə kada’, ‘-a/ə oda’ in Korean linguistics, then analyzes the content of Korean ‘-a/ə kada’, ‘-a/ə oda’ which are presented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Chapter 2, it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learners' interlanguage and make categories of the concept and features of the auxiliary predicates and the compound verb. Through such a process, it sets categories of the function of Korean ‘-a/ə kada’, ‘-a/ə oda’ to be used in this study.
In Chapter 3, it describes research methods. It gives a concrete illustration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articipants and the test items for examining subjects' use of Korean ‘-a/ə kada’, ‘-a/ə oda’ in the study. In addition, it shows the research process of the preliminary and main experiments with the analytic methods of the collected data.
In Chapter 4, it presents research results. First, the range of auxiliary predicates and the Korean ‘-a/ə kada’, ‘-a/ə oda’ functions that the Chinese leaners acquired was very limited to the Situational auxiliary predicates and the compound verb which was according to the physical distance and to the textual auxiliary predicates and the compound verb which was about the above-mentioned function and so was not comparable to the wider range of functions that the Korean native speakers acquired. Second, there were proficiency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a/ə kada’, ‘-a/ə oda’ functions of Chinese learners.
Finally, in Chapter 5, it identifies research results and shows its meanings and limitations.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that it explore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n the functions of Korean ‘-a/ə kada’, ‘-a/ə oda’ which have not been previously studied in gained mainstream atten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for the future Korean ‘-a/ə kada’, ‘-a/ə oda’ education in that it explored Korean learners' development of Korean ‘-a/ə kada’, ‘-a/ə oda’. However, as all of the tests of this study were controlled, it has a limitation that there may be different from learners' use of Korean ‘-a/ə kada’, ‘-a/ə oda’ in real life. What's more, this study has another limitation in that it just only examined Korean leaners who were from one school and the number of experiment subjects was not enough.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hard to be a generalization for all of Chinese learners.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on acquisition of Korean learners' Korean ‘-a/ə kada’, ‘-a/ə oda’ who are from different schools based on their utterance in the actual communications.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