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언어의 호칭어 사용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ddress terms used in broadcasting languages and clarify the usage and features of them. For this, we classify the address terms into location relation and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nd un...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ddress terms used in broadcasting languages and clarify the usage and features of them. For this, we classify the address terms into location relation and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nd understands the features for each type through analysis of examples researched in broadcasting language and statistical analysis. To summarize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type of address term in part of the grammar type, conceptual type, program type is as follows:
First, we can classify the grammar type of address terms as nouns, pronouns, exclamations. The noun form can be sub-divided into name, title of a position, kin, general noun. The name form is most used amongst noun types and the usage of name form is ordered from most used to least used; ‘Name/suffix’, ‘Name’ independently, ‘Name/particle’, ‘nickname’, ‘Name/general noun’. The ‘Name/suffix’ form is used most because due to the publicity of broadcasting, the respect suffix ‘-nim’ or ‘-ssi’ was used a lot. ‘Name’ independent form is used a lot due to the introduction of entertainers in an entertainment program.
As for title terms of address, the ‘Name/title’ form is used frequently and in dramas independent forms of ‘title’ often appears. In kin terms of address, substitute kin address terms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kinship address terms. This can be seen due to the fact that kinship address terms that are called in family units have decreased, while the substitute kin address terms that are established in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have increased. The general noun form is relatively less used compared to the variety of forms.
The usage rate of pronoun form is ordered from most to least used ‘Neo> Yeoroboon> Dangshin> Jagi(ya)> Jane> Inom(a)> Ijashik(a)’. ‘Neo’ can [±solidarity] be used by all and is used most because it forms appear with ‘Name’. ‘Yeoroboon’ is frequently used by news program or entertainment program hosts to the actors or guests, so it shows a high usage rate.
In exclamation form, there is ‘ya, yeobo, yeoboseyo, jeogiyo, inma, ibwa(yo), yae(ya/dula), aga(ya)’ and ‘gyeseyo’, ‘jamkkanmanyo’ is also used as a address terms.
Second, if we classify address terms as conceptual forms, we can divide it into the original address term and the diverted address term, where the designation is diverted and used as an address term. The original address term only appears in exclamation forms. The diverted address term is used in all noun forms, pronoun forms, exclamation forms. Amongst diverted address terms, the marked address term which combines with the vocative ‘a/ya/yeo’ is used in name, kin, general noun and pronoun form, exclamation form. The unmarked address terms appear in all types of address terms.
Third, in the analysis result of each program type, most of the address terms that appear on news programs are used in peer relations or social relations. In social issue programs address terms that appear in social relations mostly appear. In entertainment programs, address terms within peer relations appear the most and in dramas, address terms of family, friends, peers, social relations are widely used.

연구방송언어에 쓰인 호칭어를 분석하여 그 사용 양상과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자와 청자 간의 위치 관계와 거리 관계로 호칭어를 분류하고, 방송언어에서 조사 ...

연구는 방송언어에 쓰인 호칭어를 분석하여 그 사용 양상과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자와 청자 간의 위치 관계와 거리 관계로 호칭어를 분류하고, 방송언어에서 조사 된 사례 분석과 통계 분석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호칭어의 품사 유형별, 개념적 유형별, 방송 프로그램 유형별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칭어의 품사별 유형을 크게 명사형, 대명사형, 감탄사형으로 분류하고 명사형은 다시 이름 호칭어, 직함 호칭어, 친족 호칭어, 일반명사 호칭어로 나누었다. 명사형 중에서 이름 호칭어가 가장 많이 쓰이며 이름 호칭어 사용 비율은 ‘이름/접미사’, ‘이름’ 단독형, ‘이름/조사’, ‘별명’, ‘이름/일반명사’ 순으로 나타난다. ‘이름/접미사’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방송의 공영성으로 인한 높임의 접미사 ‘-님’ 또는 ‘-씨’의 사용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름’ 단독형은 상대방의 주의를 환기 시킬 때 사용되고 거리감을 나타낼 수 있어 일반적으로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출연자 소개 등의 이유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직함 호칭어는 ‘이름/직함’ 형태가 많이 쓰이고 드라마에서는 ‘직함’ 단독형도 많이 나타난다. 친족 호칭어는 대용친족어가 친족어보다 더 많은 사용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사회 구조가 핵가족 형태로 변모하면서 가족 단위에서 부를 수 있는 친족 호칭어가 줄어들고, 화자와 청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에서 성립된 대용친족어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명사형 호칭어는 ‘사모님, 선배님, 어르신, 부인, 막내, 가시나, 여편네, 마누라’ 등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그 쓰임은 적은 편이다.
대명사형 호칭어는 드라마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사용 비율은 ‘너> 여러분> 당신> 자기(야)> 자네> 이놈(아)> 이자식(아)’ 순으로 나타난다. ‘너’는 [±친밀]의 경우 모두 사용 가능하며 ‘이름’과 공기 관계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비율이 가장 높다. 일상 언어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 ‘여러분’은 주로 보도 프로그램에서 앵커가 시청자에게, 예능 프로그램의 진행자가 출연자나 시청자에게 많이 사용하고 있어 높은 사용 비율을 보인다.
감탄사형 호칭어에는 ‘야, 여보, 여보세요, 저기요, 인마, 이봐(요), 얘(야/들아), 아가(야)’가 있고, 이밖에 ‘계세요’와 ‘잠깐만요’도 호칭어로 쓰이고 있다. 상대의 주의를 화자 쪽으로 환기하는 기능이 있는 이들 호칭어는 서로의 관계 설정이 불분명하거나 낯선 관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호칭어로 그 쓰임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호칭어는 개념적으로 처음부터 호칭어로만 사용되는 본래적 호칭어와 지칭어가 호칭어로 전용되어 사용되는 전용적 호칭어로 나눌 수 있다. 본래적 호칭어는 감탄사형만 나타나고, 전용적 호칭어는 명사형, 대명사형, 감탄사형 모두 나타난다. 전용적 호칭어 중에서 호격조사 ‘아/야/여’와 결합하는 유표적 호칭어는 명사형 중에 이름, 친족, 일반명사 그리고 대명사형과 감탄사형에 쓰이고, 무표적 호칭어는 모든 형태의 호칭어에 나타난다. 방송언어에 쓰인 호칭어는 대부분 무표적 호칭어이며, 전체 사용 비율은 ‘전용적/무표적 호칭어> 본래적 호칭어> 전용적/유표적 호칭어’ 순이다.
방송 프로그램 유형별 분석 결과는, 보도 프로그램에 나타난 호칭어 대부분이 동료 관계나 사회 관계에서 쓰이고, 시사 교양 프로그램은 사회 관계에서 나타난 호칭어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예능 프로그램은 동료 관계의 호칭어가 가장 많으며 드라마는 가족, 친구, 동료, 사회 관계의 호칭어가 두루 쓰이고 있다. 이러한 방송언어에 나타난 호칭어 사용 양상을 보면 다양한 위치 관계의 호칭어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표준 화법’에서는 가족 관계에서 쓰이는 호칭어를 주로 다루고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복잡하고 규정짓기 어려운 한국어의 호칭어 체계를 제한적인 방송언어 자료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이 조심스러운 일이 될 수 있겠으나, 호칭어 연구가 지금까지 개념 정의나 특정 호칭어 형태의 기술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점을 볼 때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방송 매체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방송 매체의 가장 중요한 전달수단인 방송언어가 우리의 일상 언어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그만큼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다룬 방송언어의 호칭어 연구는 호칭어가 나타나는 문맥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살필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그동안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방송언어를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장기적인 연구 대상 자료 확보가 필수적임을 확인하고, 자료 분석과 통계에 의존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설문과 면접 조사 등 사회언어학의 다양한 연구 방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