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부터 급증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학교 내 부적응과 진학 실패에 따른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지적능력...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부터 급증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학교 내 부적응과 진학 실패에 따른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지적능력과 무관하게 언어능력에 난항을 겪고 있는데, 이들에게 부족한 것은 생활만을 위한 의사소통능력이 아닌 학습을 위한 언어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기존 연구와 통계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이들에게 필요한 학습언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에게 필요한 학습언어란 초등학교 진학 이후 교실환경에서 수업에 적극참여하며 교사의 설명을 이해하고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언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언어는 교과서 언어, 교사 언어, 학습자 언어(구어/문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에게 제공할 언어교육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첫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기관의 교재 내의 학습활동의 특성과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반응을 비교하였다. 둘째, 교과서 학습활동 내의 어휘를 조사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어휘를 제시하는지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사언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두기관의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두기관의 가장 큰 특징인 ‘문어’에 대한 준비도를 유치원의 일반 내국인 가정 자녀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쓰기 검사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첫째, 두기관의 언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목표는 이들의 연령 차이에 비해 급격한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교육 목표와 내용체계에 의해 구현된 교재는 유치원의 경우 구어와 신체 놀이에 의존적인 반면 초등학교는 문어적인 반응과 정확한 사용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실언어 중 교사 발화는 유치원에서는 구어적이며, 시범을 통해 내용을 제시하는 반면 초등학교에서는 문어적 표현과 개념어 사용을 통해 내용 제시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습자 발화는 유치원의 경우 발언권의 개방으로 인해 자연스러운 반응과 단어에서부터 단문까지 다양한 발화를 실시할 수 있었던 반면 초등학교 학습자의 경우 발언권 확보와 격식체 발표 등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언어적 부담감이 유치원에 비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문어능력의 경우 언어자극의 기회가 높은 내국인 자녀에 비해 언어자극의 기회가 적은 다문화가정 자녀가 맞춤법과 문장 구성력에 있어 부족함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본고에서는 교육과정의 세분화와 학습언어 배양을 위한 교재 개발, 교사 발화의 조절, 국가 수준의 적응 프로그램 등을 제언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