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조용언 교육 방안 연구 : '-어 주다', '-어 보다', '-고 있다'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논문에서는 초급 한국학습자를 위한 보조용언 ‘-어 주다’, ‘-어 보다’, ‘-고 있다’의 통사 · 의미 기능과 교재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 제시 양상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

이 논문에서는 초급 한국학습자를 위한 보조용언 ‘-어 주다’, ‘-어 보다’, ‘-고 있다’의 통사 · 의미 기능과 교재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 제시 양상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의 실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어학 분야에서는 보조용언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는 보조용언에 대한 논의가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한국인의 언어생활에서 보조용언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보조용언의 교육 내용과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가 초급 단계에서 배우게 되는 보조용언은 매우 기본적인 문법 항목으로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 빈도와 활용도가 높다.
1장에서는 상황에 알맞은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해 한국어 학습자에게도 보조용언 교육이 필요함을 밝히고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보조용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국어학 분야에서 논의되어 온 보조용언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조용언 목록과 사용 빈도 자료, 7개 대학 부속 언어 교육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보조용언 목록을 토대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조용언을 선정하였다. 그중 ‘-어 주다’, ‘-어 보다’, ‘-고 있다’를 연구 대상 보조용언으로 선정하고 통사 ·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6개 대학 부속 언어 교육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 주다’, ‘-어 보다’, ‘-고 있다’의 제시 양상 특징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재에서는 2장에서 살펴본 보조용언의 주요한 의미 기능 중 일부만이 다루어지고 단순한 형태의 구조적 연습만이 주로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어 주다’, ‘-어 보다’, ‘-고 있다’의 교재 제시 양상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의 실제 모형을 ‘도입-제시-연습-활용-정리’로 나누어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보조용언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중급과 고급 단계에서의 보조용언에 대한 교육 방안은 다음 연구 과제로 남긴다.

In this , the researcher investigated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 of the auxiliary verbs; ‘-eo juda’, ‘-eo boda’, and ‘-go itda’, for beginner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as well as the modality of presentation of teaching materi...

In this , the researcher investigated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 of the auxiliary verbs; ‘-eo juda’, ‘-eo boda’, and ‘-go itda’, for beginner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as well as the modality of presentation of teaching materials, also aimed to propose a practical model with regard to instruction method, with which the problems that may be discovered in presentation modality can be complemented.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bout auxiliary verb, however,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topics related to auxiliary verb have not been yet discussed in a lively manner. When considering frequent use of auxiliary verbs in linguistic life of Koreans, research activities for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auxiliary verb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instruction method thereof as well ought to get into high gear. In particular, those auxiliary verb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need to learn in the beginning stage are very basic grammatical item, so then, in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 the frequency and degree of using these auxiliary verbs are very high.
In Chapter 1, the necessity of teaching auxiliary verb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order for fluent communication to fit into situations was made clear, and the researcher investigated precedent researches.
In Chapter 2, for basic understanding of auxiliary verb,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s of auxiliary verb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the area of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based on the auxiliary verb list having been presented by the research circl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auxiliary verb list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s compiled by the seven university affiliated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er selected the auxiliary verbs for beginners in Korean language learning.Among them, the researcher selected, ‘-eo juda’, ‘-eo boda’, and ‘-go itda’ as the subject auxiliary verbs of this research, and its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were examined carefully.
In Chapter 3,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esentation modality of ‘-eo juda’, ‘-eo boda’, and ‘-go itda’ that appeared in the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education published by the six university affiliated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these analyses, the researcher could have learned that only a part of major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those auxiliary verbs that investigated in Chapter 2 was dealt with in the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at structural exercises only in a simple fashion were mostly implemented.
In Chapter 4, a practical model of instruction method that enables instructors to complement problems that may be found in presentation modality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auxiliary verbs; ‘-eo juda’, ‘-eo boda’, and ‘-go itda’, which have been examined in the Chapter 3, was divided into the five phases, such as ‘introduction-presentation-exercise-use-wrap up’, and, the researcher presented it according to each phase.
In this ,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auxiliary verbs in education for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sought specific instruction methods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may be found in such a work. Method for instruction of auxiliary verbs for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rses shall be the subject for researcher’s next research project.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