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es in adjustment process, their use of service and social welfare needs in a bid to provide them with customized servi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emale 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es in adjustment process, their use of service and social welfare needs in a bid to provide them with customized servi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resided in the city of Wonju, Gangwon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101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Korean skills, the largest number of the immigrants investigated couldn't speak Korean at all when they came to Korea. As to marriage route, the largest group got married through the agency of religious bodies, followed by marriage brokers. Concerning motiv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 greatest group cited religious reasons, and the second largest group wanted to live in economically growing Korea. It showed that the majority couldn't speak Korean at all except Korean-Chinese people and put the circumstances of spouses above love when they got married.
Secon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life involving difficulties in child rearing, they had the most difficulties in academic guidance due to their poor Korean proficiency. As to difficulties in marriage life, they cited economic troubles the most, followed by child rearing, sociocultural gap and conflicts with their families-in-law.
Third, in relation to the use of programs,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were most popular, followed by cultural experience, cooking and computer. Legal counseling and 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were used by them the least, which indicated a shortage of publicity efforts. As for what kind of support was most necessary for them to participate in programs, child caring was most emphasized. In regard to what sort of education was most required for successful adjustm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ost stressed, followed by childbirth/ child rearing, family counsel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of them intended to get a job, and as for the reason, the largest group needed more money for child education,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hoped to send money to their families of origin. The third largest group wanted to help get a living. As to difficulties in the use of medical institutions, the largest group found it hard to understand what doctors said,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was burdened with medical fee. In regard to life satisfaction level in Korea, the satisfied immigrants made up the largest group. The unsatisfied immigrants cited conjugal conflicts as the most common cause for their dissatisfaction, followed by conflicts with families-in-law and economic difficultie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ack up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help them lead a better life:
First, in terms of education,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nd there should b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fessional visiting service suppliers. Female immigrants should legally be required to receive preliminary education when they come to Korea to get married.
Second, in terms of institutional service, the government should take legal measures to ban a supply of false information and to raise the legal status of marriage immigrants.
Third, in terms of employment service, job-seek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view of the talents and aptitud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y should be trained to be specialized in a particular field.
Fourth, in terms of health care service, compulsory health car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them free of charge in collaboration with large-sized hospitals.
Fifth, in terms of social welfare service, local governments and welfare centers should help them form a self-supporting gathering or hold an event for them. 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communica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assist them to fare well with their spouses and parents-in-law, and there should be separate facilities or spaces where their children can spend time.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생활 적응과정에서 일어나는 생활 실태와 서비스 이용실태, 사회복지 욕구를 알아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들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지원하...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생활 적응과정에서 일어나는 생활 실태와 서비스 이용실태, 사회복지 욕구를 알아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들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실시한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한 자료 수집은 강원도 원주시에 거주하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101부의 설문조사하여 조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입국 시 한국어 이해는 ‘전혀 못함’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결혼 경로는 ‘종교단체를 통하여’, ‘결혼중매업자를 통해서’ 순으로 조사되었고 결혼 동기로는 ‘종교적 이유’가 가장 많이 답하였으며 다음으로 ‘경제적으로 발전 된 한국에서 살기 위해서’ 로 답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이민자 대부분이 한국 입국 시 중국동포를 제외하면 한국어를 전혀 못하며 사랑보다는 조건을 중심으로 결혼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결혼 생활 특성으로는 자녀양육의 어려움 점으로는 한국어 실력부족으로 인한 학습지도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답하였다. 결혼 생활의 어려움으로는 경제적인 문제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자녀양육, 사회 문화적 차이, 시댁과의 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의 이용도에 있어서는 한국어 교육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문화체험, 요리, 컴퓨터 순이고 법률상담과 취업교육은 가장 낮은 수치를 차지했다.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 참여시 필요 지원으로는 교육 중 자녀 돌봄이 가장 많이 답하였고 한국적응 시 가장 필요한 교육으로는 한국어 교육이라고 답하였으며 출산지도 및 자녀양육, 부부 가족 상담 및 다문화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의향은 대부분이 ‘있다’로 답하였고 그 이유는 자녀교육비 충당, 본국 가족에게 송금, 가족의 생계유지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이용 시 어려운 점은 진찰내용의 어려움이 가장 많이 말하였으며 그 다음이 의료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응답하였다.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도로는 만족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불만족 이유는 남편과의 갈등이 가장 많이 답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시댁과의 갈등, 경제적인 어려움이라고 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원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인 측면으로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조성과 찾아가는 방문 서비스 전문 인력 증가, 결혼 입국 시 사전교육을 의무화하여야 한다.
둘째, 제도적(정책적) 서비스 측면으로 정부에서는 결혼에 대한 허위 정보 등 법적제도 장치와 결혼이민자의 법적 지위를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취업서비스 측면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취업프로그램 개발과 결혼 이민자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야 한다.
넷째, 보건 의료서비스 측면으로 대형병원과 연계된 방문 무료 보건의료 시스템 의무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 서비스 측면으로 지자제나 복지관에서는 이들을 위한 자조모임이나 이민자 행사를 계획해야 하며 배우자와 시부모와의 원만한 관계형성을 위해 ‘문화 감성 교육프로그램’과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고 자녀교육에 있어서도 이들 자녀를 위한 시설이나 공간 확충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