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 언어의 음절구조에 따른 모음 지속시간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일 양 언어음절구조따른 모음 지속시간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대상으로 운율단위의 차이가 주변 분절음의 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한․일 양 언어의 ...

한․일 양 언어의 음절구조따른 모음 지속시간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대상으로 운율단위의 차이가 주변 분절음의 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한․일 양 언어의 음절구조에 따른 모음 지속시간의 변화 현상을 중심으로 그 차이점을 분석하고, 그 지각적 실재성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의 운율단위는 음절이고 일본어의 운율단위는 모라이며, 양 언어의 운율단위의 차이에 따라서 각 분절음의 지속시간 제어 메커니즘에 이질적인 특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다. 이 논문은 그러한 메커니즘을 해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양 언어의 음절구조와 모음 지속시간의 관계를 음향 분석과 지각 실험을 통해서 밝히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는 후속음절 두자음의 환경에 관계없이 음절말 자음이 있는 폐음절의 모음 지속시간이 개음절에 비해서 단축되는 폐음절내 모음 지속시간 단축 현상(CSVS : Closed Syllable Vowel Shortening)이 관찰되며 모음 지속시간의 단축이 폐음절의 지각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한편 일본어에서는 폐음절의 모음 지속시간이 개음절에 비해서 증대되는 폐음절내 모음 지속시간 증대 현상(CSVL : Closed Syllable Vowel Lengthening)이 관찰되며 이러한 모음 지속시간의 증대가 폐음절의 지각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즉 일본어는 한국어의 경우와는 반대로 모음 지속시간의 단축이 폐음절의 지각을 억제한다고 하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한․일 양 언어에서 관찰되는 지속시간 제어 메커니즘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밝히기 위해서는 연구범위를 확대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악센트 방언과 무악센트 방언, 일본어의 모라형 방언과 음절형 방언을 상호 대조 분석하여 모음 지속시간의 변화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음절말 자음의 종류를 확대하여 음절구조에 따른 모음 지속시간의 차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일반화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범위 및 연구 자료의 확대를 통한 면밀한 검토는 한․일 양 언어에서 관찰되는 각 분절음의 지속시간 제어 메커니즘의 차이 및 그 특징을 명확하게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韓․日両言語の音節構造による母音持続時間 本研究では、韓国語と日本語における音節構造の相違が母音の持続時間に及ぼす影響を略论し、その知覚的実...

韓․日両言語の音節構造による母音持続時間

本研究では、韓国語と日本語における音節構造の相違が母音の持続時間に及ぼす影響を略论し、その知覚的実際性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韓国語の韻律単位は音節で、日本語の韻律単位はモーラであり、両言語における韻律単位の相違が文節音の持続時間の制御メカニズムにおいて異質な特性を持つことが指摘されている。本稿は両言語に見られる持続時間制御メカニズムの相違を明らかにするための初歩的段階として、両言語の音節構造による母音の持続時間の相違を略论する一方、合成音声による知覚実験を行い、その知覚的実際性を明らかにした。その結果をまとめると以下の通りである。
 韓国では後続音節の頭子音の環境に関係なく、単語発話でも文章発話でも音節末子音がある閉音節内の母音持続時間が開音節より短縮された。しかし、日本語は単語発話でも文章発話でも、閉音節内の母音持続時間が開音節より伸長された。
 また知覚実験を実施した結果、韓国語は音節末鼻音の種類に関係なく、母音持続時間の短縮が閉音節の知覚を促進し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た。従って、閉音節の母音長の短縮における知覚実際性が認められ、韓国語のCSVS(Closed Syllable Vowel Shortening)が確認された。しがし、日本語は後続音節の頭子音の環境に関係なく、母音持続時間の伸長が閉音節の知覚を促進し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た。従って、閉音節の母音長の増大における知覚実際性が認められCSVL(Closed Syllable Vowel Lengthening)が確認された。
 今後は研究範囲を拡大し、韓国語と日本語の有アクセント方言と無アクセント方言、日本語のモーラ型方言と音節型方言を区別し、母音持続時間の違いについて調べたい。また。韓国語と日本語の音節末子音の多様性を考慮した綿密な検討を行い、韓․日両言語の音節構造の母音持続時間についてを明らかにしたい。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