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자녀교육의 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Recently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by foreign brides especially coming from Southeast Asia, for example Philippines, Thailand and China. Most of them are coming to get married to old bachelors in rural areas. The governmen...

Recently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by foreign brides especially coming from Southeast Asia, for example Philippines, Thailand and China. Most of them are coming to get married to old bachelors in rural areas. The government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m as one of the ways to resolve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 becoming an important issue nowadays. Above, mass communications are also treating them as an important matter of social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survey the current conditions of educational environm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pose some supporting systems for their children. For the purpose, 108 wive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Jenbuk Province were sampled and interviewed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current conditions of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husbands, and wishes on the government's support for a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eorie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like world system theory and various culture theories of cultural impact and conflict, and previous studies on current condition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42 items.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frequency, ANOVA,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e important facts about the current conditions of educational environm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ttitudes towar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very low. The level of their incomes and properties were low, and the husbands have poo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jobs.
Second, most of the multi cultural families have two and more children, and they are students of kindergartens, prim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Third, most preschool children are being cared in edu-care centers, and their fees are above 240 thousand wons. This means the fees of edu-care centers are a big burden to the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children of some families do not go to edu-care centers. The reasons are both economic burdens and low reliance on the quality of edu-care services.
Fifth, some families have difficulties to help their children's assignments because of language problems.
Sixth, som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experienced bullying, alienating from their classmates, so-called ‘Wangdda.’ And most families have economic difficulty by private education fees, care costs and etc.
Seventh, most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sh that the government support educational costs of their children, and living costs of low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urvey suggest several policy alternatives of welfare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give economic supports to low clas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to get the educational services of Korean languages. Third, the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know how to avoid their children’s bullying, and easily get professional family counselling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의 자녀교육 실태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교육복지 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문...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의 자녀교육 실태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교육복지 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문화가족의 개념과 결혼이주 관련 이론, 문화적 동화 관련 이론 등을 검토하였으며,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의 외국인 아내를 대상으로 준비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편이다. 월 평균소득이 200만원이 채 안 되고, 재산 역시 평균 8천만원에도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결혼이주여성에 비해 남편의 교육수준도 상당히 낮다. 남편의 직업적 지위도 높은 편이라 할 수 없다.
둘째, 동거 자녀수는 평균 2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의 자녀들 대부분이 유치원생, 초등학생, 중학생 등 학령기 자녀에 해당하였다.
셋째, 미취학 자녀의 경우 대부분 보육시설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데, 보육비용이 평균 24만원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가정의 월 평균 소득이 200만원도 채 안 되는 상황에서 이 정도의 보육비를 지출하고 있는 것은 가정경제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자녀를 보육시설에 보내지 않는 경우 그 주된 이유가 비용부담과 같은 경제적 이유뿐만 아니라 보육서비스의 질에 대한 의구심이나 안심할 수 있는 시설이 없다는 등 보육서비스 자체에 대한 신뢰부족이 중요 이유가 되고 있다.
다섯째, 자녀와의 대화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 같다. 거의 매일 대화한다는 비율이 절반이 넘고, 일주일에 두세 차례 하는 경우도 20%를 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자녀와의 대화는 충분한 것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듯하다. 그러나 자녀의 숙제를 거의 도와주지 못하는 경우도 20%를 넘는데, 다소 문제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자녀 숙제를 도와주는 데 상당수 결혼이주여성들이 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가 언어 문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숙제를 도와주지 못 하는 이유도 여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어습득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다문화가족 자녀 중 17% 정도가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 연구와 거의 같은 수치이다. 집단따돌림의 이유는 다른 외모와 엄마가 외국인이어서 등 외형적인 차이 때문인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인종차별의 가능성을 읽을 수 있는데, 다소 우려되는 대목이다.
일곱째, 다문화가족의 어머니 입장에서 자녀 양육 시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으며, 사교육비 및 양육비용과 같은 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크게 호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자녀관계 만족도와 부부관계 만족도는 큰 틀에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혼이주여성 스스로 자녀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편과의 만족도는 남편이 신뢰하는 정도에 대한 만족도, 부부사이의 친밀감에 대한 만족도, 부부의 성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부부가 함께 하는 문화생활 정도에 대한 만족도와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 가족의 전통적인 가부장주의가 다문화가족에 온존하고 있음을 읽을 수 있다.
아홉째,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부지원의 경우 자녀의 학자금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빈곤가정에 대한 생계비 지원이었다. 예시된 모든 지원책에 대해 그 필요성을 강하게 인지하고 있었는데, 그 만큼 정부지원을 절실하게 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생계비 지원이나 자녀 학자금 지원과 같은 경제적 지원을 요구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조사결과가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을 지원하는 데 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자녀 보육ㆍ교육비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술한 대로 다문화가족의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도 안 된다. 그러나 보육비용은 20만원을 상회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다문화가족이 평균 2명 정도의 유치원생과 초등학생 자녀를 두고 있다. 보육비용이나 교육비용이 드는 자녀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가족이 바라는 정부지원 방안 중 자녀의 학자금 비원이 우선순위 두 번째에 해당할 정도로 보육ㆍ교육비용에 대한 지원 희망은 절실하다. 충분치 못한 수입에 상당한 부담이 되는 자녀 보육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이들을 지원하는 일은 매우 긴요하다.
둘째,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교육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다. 결혼을 통해 이주한 이주여성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주로 언어와 문화적 차이이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어를 완벽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사회가 돕는 일은 이들을 사회문화적으로 통합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최근 들어 지역사회복지센터와 건전가정지원센터 등 지역사회기관이 다문화가족을 위한 한국어 반을 운영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한국어 반을 개설하는 데 그치지 말고 한국어 교육의 질을 일정 수준 이상 담보하도록 기관 스스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집단따돌림에 대처하는 방법을 인지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전술한 대로 다문화가족 자녀의 약 2할 가량이 집단따돌림을 경험하였고, 그 이유는 한국인과 다른 외모와 같은 인종차별적인 데 있다. 자녀와의 관계 형성에서 갖는 어머니로서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자녀와의 정서적인 교류이다. 다문화가족 자녀가 어머니의 외모 또는 자신의 외모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집단따돌림을 받거나 이를 의식하고 있다면 어머니와의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집단따돌림 문제는 다문화교육을 통해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다문화교육은 문화 간의 차이인식과 존중을 넘어서 다문화 공동체 사회형성을 지향해야 한다.
넷째, 전문적인 가족상담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와 남편과의 관계에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서로 다른 가족문화, 자녀양육문화, 의사소통문화로 인해 가시적ㆍ비가시적 애로와 장애를 경험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문화와 가치관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확한 이해에 기반을 둔 가족상담 기법이 필요하다. 가족치료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가족상담 기술을 가진 사회복지사를 다문화가족지원 지역사회복지기관에 배치하거나 충원해 이들을 도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