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기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박 승 재
지도교수 : 우 인 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능력시험에 말하기 평가 도입...
웹 기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박 승 재
지도교수 : 우 인 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능력시험에 말하기 평가 도입을 위한 새로운 평가 방법으로 웹 기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언어 학습의 목적은 의사소통에 있다고 할 것이다. 즉, 상대방의 의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자신이 의도한 바를 바르게 표현하기 위해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다. 상대방의 의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읽기와 듣기 능력이 요구되고 자신이 의도한 바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쓰기와 말하기 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올바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의 네 가지 능력을 균형 있게 발전시켜야 하며 또한 정확하게 평가하여야 한다.
현행 한국어능력시험(TOPIK : Test Of Proficiency In Korea)의 평가 영역은 어휘․문법, 쓰기, 듣기, 읽기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의사소통의 중요 수단인 말하기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말하기 평가의 도입과 필요성에 대하여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부분에 있어서 말하기 평가 도입의 문제점과 시행 상의 어려움 또한 커다란 과제로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러 연구에서 제기하고 있는 말하기 평가 도입의 문제점을 정리하여 보면 실시의 어려움과 평가자 확보의 문제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수험자와 평가자가 일정한 시기에 일정한 장소에서 실시하는 면 대 면 평가 방식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 면 대 면 평가 방식이 아닌 새로운 평가 방식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문제점은 상존할 수밖에 없고 말하기 평가의 도입은 요원한 일이 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말하기 평가 방식으로서, 면 대 면 평가 방식이 아닌 웹 기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웹 기반 말하기 능력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 평가의 관점에서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가 가지고 있는 제한점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말하기 능력 평가란 무엇인지, 무엇을 평가할 것인지,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그리고 웹은 무엇인지 등 웹 기반 말하기 능력 평가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점검하였다.
3장에서는 웹 기반 영어 말하기 평가 도구인 ACTFL OPIc, TOEFL iBT Speaking, TOEIC Speaking, 그리고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인 KPE 말하기의 평가 내용, 평가 유형, 실제 평가의 예를 분석해보았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웹 기반 말하기 평가 방안을 마련해보았다.
5장에서는 4장에서의 결과를 이용하여 초급 단계 웹 기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의 예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6장에서는 본 논문의 논의와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본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A Study of Korean Oral Proficiency Test
Based on Web
Park, Seung-Jae
Major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 Moon University
Adviser : Professor Woo, In-Hy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we...
A Study of Korean Oral Proficiency Test
Based on Web
Park, Seung-Jae
Major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 Moon University
Adviser : Professor Woo, In-Hy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web-based Korean oral proficiency test using a new testing method for an oral test introduction to Test Of Proficiency In Korea (TOPIK).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its purpose is to be able to help a language learner express his/ her ideas accurately by understanding his/ her thought patterns while he/she is learning a language. A person’s reading and listening abilities are necessary factors to understanding his/her thought patterns while writing and speaking abilities are key elements to expressing what a person intends to say. Therefore, in terms of oral communication, these four abilities of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should be improved. Furthermore, there should be an effective evaluation method to be able to interpret the findings gathered in the data.
At the moment, the evaluation methods used for TOPIK consist of the following areas: vocabulary, grammar,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There has not been, as of the present time, an oral proficiency test or an evaluation method used to assess a person’s communication/ speaking skills. Several previous researchers point out the need for such a test considering that many of the problems encountered by language learners stem from the area of speaking the language being acquired. However, problems arise with the introduction of an oral proficiency test mainly in terms of its practicality and its administration.
The problems presented by several of the researchers regarding the initiation of an oral proficiency test can be summarized into 2 ways: (1) the difficulty of holding the said examination if the aforementioned test requires a face-to-face interview with the evaluator and (2) the problem of choosing competent and credible evaluators who could give not only an accurate but also an impartial assessment of a person’s language skills.
These problems are seen to be temporary and are viewed to be present only at the first stages of the introduction of the oral proficiency test. Not employing an oral proficiency test will compound already existing problems and will result in further setbacks in the implementation of TOPIK.
For these reasons, this research presents a web-based Korean oral proficiency test, not a face-to-face oral proficiency test, as the new evalua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skills.
The first chapter of this research cites the need for a web-based Korean oral proficiency test, its purposes and its contents. It also examines the limitations found in previous researche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 Korean oral test as a communication evaluation method.
The second chapter of the research details the nature of a web-based oral proficiency test, the factors that it evaluates, the methods used in the assessment, and so on.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online English materials used for oral proficiency tests. These materials include ACTFL OPIc, TOEFL iBT Speaking, TOEIC Speaking. It also examines the materials used in Korean oral proficiency tests. Examples of these are the contents, types and practical tests found in KPE Speaking.
The fourth chapter is a preparation of an effective oral proficiency test method using the results gathered in the third chapter.
The fifth chapter shows examples of a web-based Korean oral proficiency test for the beginners’ level. The test to be used will have bee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data gathered in the fourth chapter.
Finally, the sixth chapter is an arrangement of the discussion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also an analysis of the limitations of the said study.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