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morality between Christian and non-religion middle school students. By def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moral judgements and moral behavior and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morality between Christian and non-religion middle school students. By def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moral judgements and moral behavior and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research will reveal the methods needed to improve the degree of mora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are the topics of this research.
First, how do Christian and non-religion students judge moral issues?
Second, how is moral behavior of Christian students different to that of non-religion students?
Third, what are the relations of moral judgement and moral behavior between Christian students and non-religion students?
The simple Korean version of DIT was used to test moral judgement.
To test moral behavior, another test was used, one which was created by Yi Hoon-gu in 1970 for the study of national evaluations of educational improvement in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ata from 351 female students (out of 500) in three different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oyang city.
The data was examined by performing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x2-test, F-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15.0 Program Packag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fter comparing the degree of moral judgement. That is, the degree of moral judgement in Christian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non-religion students.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fter comparing moral behavior in Christian and non-religion students. That 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behavior between Christian and non-religion students.
Third, the two groups showed a different degree of correlation in moral behavior and moral judgement. The significance level was low in moral behavior and moral judgement with non-Christian students whi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ral behavior and moral judgement in Christian students.
In conclusion, being a Christian has influence on moral judgement in adolescents. It shows us that the study on being involved in religion in adolescence needs to be continued as a way of improving the degree of mora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ral behavior and moral judgement wi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ether they follow a religion or not. But since there is no consistency in researches on correlation between moral behavior and moral judgement, a reliable study needs to be done.
본 연구는 기독교인과 무종교 중학생 집단의 도덕 판단과 도덕 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기독교인과 무종교인 간의 도덕성의 차이를 밝혀내고, 중학생 집...
본 연구는 기독교인과 무종교 중학생 집단의 도덕 판단과 도덕 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기독교인과 무종교인 간의 도덕성의 차이를 밝혀내고, 중학생 집단의 도덕성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와 무종교 중학생 간의 도덕 판단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기독교와 무종교 중학생 간의 도덕 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기독교와 무종교 중학생 간의 도덕 판단과 도덕 행동 간의 상관의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도덕 판단 검사를 위해 Rest(1979)의 DIT 한국어판 간편형을 사용하였고, 도덕 행동 검사는 1970년 미국에서 교육 발전의 전국적 평가 연구를 이용해서 이훈구가 제작한 것을 저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고양시에 소재하는 3개 중학교 여학생 500명 중 351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15.0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t 검정, 검정과 F 검정,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무종교 중학생 간의 도덕 판단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기독교 학생들의 도덕 판단 수준이 무종교 학생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 무종교 중학생 간의 도덕 행동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기독교 학생들과 무종교 학생들 간에 도덕 행동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기독교․ 무종교 중학생 간의 도덕 판단과 도덕행동 간의 상관 정도가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기독교 학생들의 도덕 판단과 도덕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무종교 학생들의 도덕 판단과 도덕 행동은 상관의 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중학생 시기의 기독교는 도덕성 중에서도 특히 도덕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학생 집단의 도덕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청소년 시기의 종교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함을 입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종교 유무에 관계없이 전체 중학생 집단의 도덕 판단과 도덕 행동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제까지의 도덕 판단수준과 도덕 행동수준 간의 관련성이 없다는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앞으로 도덕 판단과 도덕 행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겠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