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번안 노래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외국어 학습은 학습자들이 학습대상언어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1990년 중반 이후의 한국교육 역시도 한국교육을 통해서 이러한...

외국어 학습은 학습자들이 학습대상언어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1990년 중반 이후의 한국어 교육 역시도 한국어 교육을 통해서 이러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단순히 교사의 말이나 녹음 자료를 듣고 따라하는 반복적인 연습에서 벗어나 한국어로 유의미한 의사소통 활동을 하게 할 수 있는 의사소통식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CLT), Communicative Approach(CA))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아직도 수업 현장에서는 실제성이 부족한 교재를 수업의 주 자료 사용하고 있어 실제적인 자료를 통한 의사소통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실제적인 자료 중의 하나인 노래이용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중국번안 노래를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는 강한 한류(韓流, Korean Cultural Wave)의 영향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음악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 음악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에 커다란 동기로 작용되어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정의적 · 인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어 번안 노래를 통해 아는 멜로디와 기억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예비실험과 실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결과를 토대로 중국어 번안 노래를 이용한 한국어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수업 모형을 실제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적용을 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노래의 가사를 단지 읽기 자료로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보다 학습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업 후 성취도 평가, 학습 효과 지속성 평가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실험 종료 후에 실시한 설문에서도 중국어 번안 노래를 이용하여 수업을 한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한 흥미도나 참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문법이나 어휘 등 언어 학습 요소에 대한 만족감은 두 집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노래를 이용해 수업을 한 집단이 수업 후 성취도 평가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점을 고려할 때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참여가 학습 효과를 제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노래를 이용하여 수업을 한 학습자의 학습 효과가 그렇지 않은 학습자보다 오랫동안 지속되었는데 이것도 노래가 갖는 특성(예들 들어, 흥얼거림 등)으로 인해 오랫동안 스스로 학습이 이루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50명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단시간 내에 실험을 실시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번안 노래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용성을 밝히고,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참여가 장·단기적인 학습효과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여 주었다.

Primary purpos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make learners achieve ability for fluent communication in the target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mid 1990s, have also had its goal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Korean l...

Primary purpos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make learners achieve ability for fluent communication in the target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mid 1990s, have also had its goal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us, the main stream of the education wer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CLT) or Communicative Approach(CA) to make the learners have meaningful communication in Korean, escaping from simple repeating training after teachers or recorded materials. But, in the field of the education, the use of educational materials with poor virtuality prevents them from active communication with practical data.
Thus, this thesis was designed to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songs, a kind of various practical materials, especially translated songs into Chinese, because many Chinese learners are interested in Korean song by strong effect of Korean Cultural Wave. This interest of Chinese about Korean song became a great motive for them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it was regarded that it would be positive effect emotionally and cognitively.
For it, above all, a questionnaire was done for pre-experiment and experiment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memory and known melody through the translated songs. After that, on the basis of the result,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l was suggested using the translated songs into Chinese language. This education model showed better result than of the control group which had their education which used the words of the songs as data of just simple reading. In other words, it showed higher effect in the evaluation after education and in the continuity of education effect. And, in the questionnaire, as well, which was done after the experiment, the learners with translated songs, showed higher result of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the education. But, what is interesting is that both groups showed similar satisfaction for language education factors such as grammar, vocabulary, etc. It means, when we regard that the group with songs got higher score for the evaluation after education, that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take important roles to improve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effect of the learners with songs lasted longer than of control group. It might be the education was done by themselves for a long time by the property of songs(such as crooning or humming).
But, this study has its limit that this experiment was done for a short time with only 50 Chinese Korean learners language. In spite of that, this study shows the effectiv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ranslated songs, and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the education of the learner has close relation with long/short term of the educational effect.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