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학습유형별 활동이 음소 듣기, 음소 읽기,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he Use of Activities Suitable for
Learners' Learning Styles on ...
국문초록
학습유형별 활동이 음소 듣기, 음소 읽기,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he Use of Activities Suitable for
Learners' Learning Styles on Phoneme Listening,
Phoneme Reading, and Spelling
- Focusing on the 6th grade -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유 미 경
지도교수 박미애
본 연구는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학습유형별 활동이 음소 듣기, 음소 읽기,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 학습을 시작하였지만 6학년에 되어도 영어의 음소를 어떻게 분별해야 하는지, 읽어야 하는지, 혹은 철자로 써야 하는지 모르는 학생들을 본 연구자는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 음소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맞는 활동이 영어 음소 중, 자음을 중점으로 음소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주제는, 학습유형별 활동이 음소 듣기, 음소 읽기, 철자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6학년 3개 반 총 90명으로 비교반과 실험1반, 실험2반으로 나누었다. 비교반은 학습유형과 상관없는 모둠별로 음소 학습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실험1반은 학습유형별로 음소 학습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실험2반은 근운동형 활동으로만 음소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 주제를 실행하기 위해서 먼저,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학습유형 선호도를 조사하여 교실상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유형인 시각형, 청각형, 근운동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실험 단원의 학습 내용에서 본문의 주요 대화 내용에서 분절음 지도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여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하였으며 셋째, 음소 지도를 위한 학습유형별 활동을 구안하여 단원의 2차시와 3차시에 집단별로 다르게 처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내 사전 사후 검사 양적 분석 결과를 비교해 보면, 실험1반과 실험2반에서는 사전 사후 음소 듣기, 음소 읽기, 철자쓰기 검사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비교반, 즉 학습유형과 무관하게 활동을 전개한 반의 듣기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 결과로 보아 집단 내 사전 사후 검사의 유의한 결과들은 음소 읽기와 철자쓰기에 있어서는 실험 처치에 의한 결과라기보다는 세 집단 모두에서 음소 학습을 실시한 효과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음소 듣기의 경우는 학습유형별로 수업한 실험1반과 근운동형 활동으로만 학습을 전개한 실험2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난 것으로 보아 음소 읽기와 철자쓰기에 비해 처치의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후 집단 간 비교 양적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반, 실험1반, 실험2반 세 집단 간의 사후 음소 인식 평가에 있어서 사후 음소 듣기 평가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왔으며 사후 음소 읽기 평가와 사후 철자쓰기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 음소 듣기 평가 결과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두 집단은 비교반과 실험2반으로, 학습유형과 무관하게 음소 학습을 전개한 비교반과 근운동형 활동만으로 음소 학습을 실시한 실험2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질적 분석 방법으로써 학습유형별 학생들의 음소 인식에 대한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정답을 한 학생 수를 비교하여 분석해 보았다. 먼저 음소 듣기에서는, 비교반이나 실험1반에서 정답을 한 학생 수가 적게 나타난 음소가 /g/, /b/, /l/ 의 구별, /f/, /b/, /k/의 구별, /b/와 /ð/의 구별인 것에 비해, 실험2반은 단어를 듣고 음소를 맞게 구별한 학생 수가 적은 문항이 나타나지 않았다. 음소 읽기에서는, 학습유형별로 학습을 전개한 실험1반에서만 단어의 첫소리를 잘 읽은 학생이 적은 문항이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철자쓰기에 서는, 단어를 듣고 첫소리를 맞게 쓴 학생이 적은 문항이 비교반의 경우 /ɵ/ 음소에서 나타났으나, 실험1반과 실험2반에서는 한 문항도 나타나지 않았다. 음소 듣기와 철자쓰기에서는 실험2반에서, 음소 읽기에서는 실험1반에서 음소 인식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검사 결과로, 먼저 음소 학습의 참여도에 대한 결과는 실험1반과 실험2반이 비교반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소 학습에 대한 흥미도의 변화는 실험1반에서만 흥미도가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소 학습 활동에 대한 느낌에서도 실험1반에서만 ‘나의 학습유형과 맞았다’에 응답한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유형별로 활동을 구안하여 지도하는 방법과 근운동형 학습유형 활동으로 지도하는 방법으로 음소 학습을 전개하는 것이 음소 듣기, 음소 읽기, 철자쓰기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음소 학습 지도와 관련하여 학습유형별 활동의 구안 적용은 학생들의 개인적인 성향에 맞출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음소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일 뿐 만 아니라 음소 인식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두 가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새 가지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들의 학습유형별로 모둠을 편성할 때에는 여러 번 영어수업을 전개해 본 후 학습유형 검사지를 이용하여 편성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학습유형별 활동을 단원별로 다양하게 전개해 보고자 하였는데, 5-6개 정도의 활동으로 좀 더 단순하게 전개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음소 학습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활동 중심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