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requent spelling errors of the children of the immigrant family especially the Mongolia school students through dictation tasks and to suggest a more efficient and strategic way of teaching Korean spell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requent spelling errors of the children of the immigrant family especially the Mongolia school students through dictation tasks and to suggest a more efficient and strategic way of teaching Korean spelling.
The present study to date is not enough to analysis Mongolia school students' Korean skills as a second language. Most of them want to go to Korean School, but if they do, they will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when they have to write in Korean. Since the Mongolia school students do not get to practice Korean spelling enough, it is more focused on teaching Korean spelling rules. If any spelling error raised in the first stage of language learning is not corrected, it w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following to the higher grade. In this regards, it explained the necessity of the study for the children of the immigrant family such on Korean spelling and then presented this study questions in Chapter 1.
In Chapter 2, it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what is the principle of dictation test and why it should be taken as the tool for the analyzing spelling errors. It also dealt with the pattern of Korean spelling error and error analysis standards.
In Chapter 3, survey group, procedure, and information about survey tools were described. The Mongolia students took a basic survey for their specific information, a multiple choice test and a dictation test for the experiment. The target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classes;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based on the result of the test. The reason why they took two types of test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result between a multiple choice test and a dictation test.
In Chapter 4, the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SPSS for Windows (version 12.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procedure applied includes descriptive statistics, a cross-tabs, t-test, one-way ANOVA and Excel for the frequency and rate. The results and sugges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about how many errors the Mongolia school students had shown between the optional factors. The multiple choice test marked lower error rates than the dictation test. This is because the multiple choice test was given the forms of listened words. The upper group who has a higher proficiency level had shown the higher score on the dictation test. The error rates within the group tended to be lower as the test was consist of easy words, which means the difficulty of the words also have something do with the result.
Second is about errors the Mongolia school students be shown. There are different patterns of error between the multiple choice test and the dictation test. Most of students make mistakes about the words that spelled differently from how it was pronounced. And each group had shown the similar error patterns on the dictation task.
Third is about that how the Mongolia school students are mistaken between optional factors. It was to find out what error strategy been shown.
Chapter 5 suggested the more efficient methods and strategic way of teaching Korean spelling.
First, the Korean spelling lesson should be tak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econd is that teachers should take advantage of different types of the tasks. It will be more efficient if they have their students done multiple choice tasks as an error distinguish practice along with other tasks.
Third, there are steps to educate the Korean spelling.
Fourth, the words are presented according to priority from easy combination words to conjugated words.
Fifth, the words they studied should be fossilized in a positive way. The purpose of educating the spelling system is to help them to output correct words. If they store them correctly into their memory, the less chance they will have to make errors.
Chapter 6, it was concluded with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limitation of non-experiment group has. In order to complement that, it came up with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on the various groups and teaching methodology for Korean spelling skills.
본 연구는 이주민 자녀들의 국어 정서법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주민 자녀들로 이루어진 재한몽골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받아쓰기 과제에서 ...
본 연구는 이주민 자녀들의 국어 정서법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주민 자녀들로 이루어진 재한몽골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받아쓰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오류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 정서법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쓰기 기능 영역이 후행 과제로 제시되면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쓰기 학습영역에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켰음을 밝히고 이주민 자녀들의 문어적 환경에서의 적응을 위한 국어 정서법 학습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주민 자녀들의 한국어 문법 관련 교육과 한글 맞춤법 지도에 대한 교육 필요성을 선행 연구를 통해 검토한 후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실험 과제로서 제시될 받아쓰기의 원리와 효용성을 살피고 국어 정서법 운용 원리와 오류 분석의 기준을 밝힐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이로서 실험을 통해 살펴보아야 할 국어 정서법 오류의 기준과 분석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의 실제로서 실험 대상과 절차, 도구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였다. 실험은 재한몽골학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숙달도별 집단 비교를 위해 초․중․고급 단계로 나누었다. 실험 도구는 4지선다형 평가와 받아쓰기 평가를 함께 실시하였으며 평가 시 제공되는 어휘는 각 집단이 한 학기동안 학습한 교재에서 선정하였다. 어휘 선정 기준은 형태소에 따른 이원분류표에 따라 선정하였고 Ⅱ장에서 밝힌 국어 정서법 어휘 계열을 충분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실시한 예비실험의 구성과 보완점을 밝혀 본 실험에 반영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문항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Cronbach α), 대응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é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문항 유형과 집단 간 숙달도, 집단 내 어휘 난이도에 따른 오류율 차이를 살피는 것이다. 문항 유형의 차이는 전체 오류율에 영향을 끼친다. 4지선다형 평가는 받아쓰기 평가보다 오류율이 적게 나타났다. 집단 간 숙달도 또한 오류율에 영향을 끼치는데 숙달도가 높을수록 오류율이 적게 나타났다. 집단 내 어휘 난이도가 낮을수록 오류율이 적게 나타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항 유형과 집단 간 숙달도, 집단 내 어휘 난이도에 따른 오류 유형 차이를 살피는 것이다. 오류 유형은 어휘 계열화 기준에 맞추어 세분화하였다. 문항 유형에 따른 오류 유형은 음소대치 유형에는 차이가 없으나 음운 변동 유형에서는 4지선다형 평가보다 받아쓰기 평가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발음과 표기의 상이성이 나타나는 어휘들을 출력할 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면 도움이 된다는 것을 말한다. 집단 간 숙달도와 집단 내 어휘 난이도에 따른 오류 유형은 유사한 구조로 나타났는데 모두 발음과 표기의 상이성을 보이는 오류 유형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셋째, 문항 유형과 집단 간 숙달도, 집단 내 어휘 난이도에 따른 오류 전략 차이를 살피는 것이다. 오류 전략은 어휘 추출과정에서 기능하는 인지와 비기능화 인지 능력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눈 후, 이를 더욱 세분화하여 회피, 누락, 비한국어 구사, 음절화, 첨가, 잘못된 표기, 음운변동, 음소대치, 어휘대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4지선다형 평가에서는 음소 대치의 오류 유형이 나타나고 받아쓰기에서는 회피와 비한국어 전략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집단 간 숙달도와 집단 내 어휘 난이도에 따른 오류 전략에서도 변인들 간의 유사한 형태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재한 몽골 학교 재학생들의 국어 정서법 오류 양상을 분석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국어 정서법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어 정서법을 위한 물리적 학습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학습 시간과 더불어 국어 정서법을 교육할 수 있는 학습 내용도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국어 정서법 학습을 위해 유리한 학습 과제를 선택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어휘 선택형 평가 방법은 시각적 정보가 제공된다는 점에 있어서 받아쓰기 과제보다 유리하다. 학습자들로 하여금 오류 변별 도구로서 4지선다형 과제를 병행한다면 보다 나은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국어 정서법 학습 층위를 나누어 단계적으로 교육한다. 모국어에는 없는 음소 자질과 발음이 비슷하게 나는 음소 자질들에 대한 변별 능력을 먼저 기르고 이를 구분하여 기억하는 음소 기억 능력, 음운 변동 규칙 이해를 기준으로 어휘를 구조화할 수 있는 음운 구조 능력, 동음이의어나 흔히 잘못 쓰고 있는 어휘들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 등의 순으로 학습이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국어 정서법 교육 시, 어휘 계열을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활용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하는 용언보다 체언을 앞서 제시한다.
다섯째, 학습된 어휘들이 기억 속에 긍정적인 화석화 현상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강조한다. 정서법 교육의 목표는 어휘의 정확한 출력이므로 긍정적인 화석화는 출력 시 발생하는 오류 요인들을 제거하는 기능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여 종합적으로 논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국어 정서법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피실험자 집단이 갖는 한계점을 밝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로서 다양한 집단에서의 국어 정서법 오류 양상 연구와 발전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