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조건표현 「なら」의 의미·용법 고찰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일본어의 조건을 나타내는 형식에는 「たら, と, ば, なら」가 있다. 이들은 각각 고유의 의미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사한 용법으로 사용 되고 있어 일본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혼돈...

일본어의 조건을 나타내는 형식에는 「たら, と, ば, なら」가 있다. 이들은 각각 고유의 의미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사한 용법으로 사용 되고 있어 일본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혼돈을 주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이 네 가지 조건표현을 한국어의 「~면」에 대응시킴으로써 학습자에게 있어서 일본어의 조건표현은 매우 혼란스러운 학습항목의 하나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なら」조건형은 상대방의 발언이나 상황 등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는, 「たら, と, ば」구문과는 다른 용법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なら」만의 고유용법에 초점을 맞추어 「なら」의 중심의미를 밝히고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なら」의 접속형태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고, 3장에서는 가정조건문과 반사실 조건문을 중심으로 「なら」의 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여기에서는 「なら」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적격문이 되지만, 다른 조건표현 「たら, と, ば」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비문이 되는 경우를 통해 「なら」만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なら」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살펴봄으로써 「なら」의 제약에 대해 살펴보았다.

1) 「なら」는 동사, イ형용사, ナ형용사, 「명사/だ」, 격조사의 「ル형」과 「タ형」에 각각 접속이 가능하다. 단, ナ형용사, 「명사/だ」의 「ル형」에 「なら」가 접속할 경우에는 ナ형용사의 어간에 접속하며, 「명사/だ」에서는 조동사 だ를 생략하고 접속한다. 또한 「なら」에 「タ형」이 접속하는 형태는 「たら, と, ば」조건문에서는 볼 수 없는 「なら」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 「なら」의 의미 용법에 있어서, 「なら」는 「たら, と, ば」와 같은 조건문이지만, 상대의 발언 혹은 상대의 모습이나 상황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사항 등의 청자측 정보를 조건으로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반사실 조건문은 현실과 반대가 되는 사항을 전건으로 하여, 후건에 유감, 후회, 원망 등을 나타낸다. 그러나 「なら」는 사실인 사항을 전건으로 하는 반사실 조건문을 나타낼 수 있었다. 전건이 사실인 반사실 조건문은 「たら, と, ば」 구문에는 없는 「なら」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3) 시간적 특징에 있어서 「なら」는 전건과 후건의 시간적 관계가 비교적 자유롭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たら, と, ば」구문은 항상「전건 → 후건」의 시간관계를 나타내지만, 「なら」는 「전건 → 후건」 뿐만 아니라, 「후건 → 전건」의 시간관계도 나타낼 수 있다.
4) 「なら」의 고유용법과 제약에 있어서, 「なら」는 후건이 전건에 선행하는 조건문과 전건이 사실인 반사실 조건문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건의 동사가 동작을 나타내고 시간관계가 「후건 → 전건」이며, 후건의 의미가 명령일 경우 「なら」를 「たら, と, ば」로 바꾸어 쓰면 비문이 되거나, 원래의 의미와 달라진다. 「どうせ~なら」의 구문에서 「なら」대신 「たら, と, ば」를 쓰면 비문이 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일반적으로 성립하는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일반조건문과 전건·후건 모두 과거에 한 번 일어난 사실을 나타내는 사실 조건문에서 「なら」를 사용하면 비문이 된다.

There are 「たら, と, ば, なら」in the forms of showing conditions in Japanese language. These have the semantic characteristic peculiar to each, and is simultaneously used with similar usage, thereby giving confusion to learners of Japanese l...

There are 「たら, と, ば, なら」in the forms of showing conditions in Japanese language. These have the semantic characteristic peculiar to each, and is simultaneously used with similar usage, thereby giving confusion to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Also, in case of the majority, four of these conditional expressions are corresponded to 「~myeon」, thus learners have regarded the conditional expressions in Japanese language as one of very confused learning item.
However, the conditional type 「なら」has different usage from the sentence structure「たら, と, ば」, which can be said to be able to allow the counterpart's utterance or situation to be con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usage peculiar to this 「なら」, clarified the central meaning in 「なら」, and examined about its characteristics.
For this,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s of conjunctional form in 「なら」 were examined. In Chapter 3, the usage of 「なら」was examined centering on a subjunctive conditional and a counter-factual conditional. Particularly, here, when using「なら」, it becomes the well-formed sentence. However, when using「たら, と, ば」in other conditional expressions, it becomes the ungrammatical sentence.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nly in 「なら」were considered. And, in Chapter 4, by examining a case of being unable to use 「なら」, the restrictions in 「なら」were examined.
1) 「なら」is available for conjunction each in verb, adjective イ, adjective ナ, 「noun/だ」, 「ル form」and 「タ form」in case markers. Still, when 「なら」is connected to adjective ナ and「ル form」in「noun/だ」, it is connected to the stem in adjective ナ. And, it connects to 「noun/だ」with omitting the auxiliary verb だ. Also, the form that 「タ form」connects to 「なら」can be said to be characteristic peculiar to 「なら」, which can not be seen in a conditional sentence of 「たら, と, ば」.
2) In the semantic usage in 「なら」, 「なら」is a conditional sentence like 「たら, と, ば」. However, it had the characteristic that can have condition as the information on the side of listener such as a matter of being able to predict through the counterpart's utterance or the counterpart's looks or situation. Also, the general counter-factual conditional has the modus as a matter contrary to reality, thereby indicating regret, repentance, and resentment in consequent. However, 「なら」could indicate the counter-factual conditional that has modus as a matter, which is a fact. The counter-factual conditional, in which modus is a fact, can be said to be characteristic peculiar to 「なら」, which doesn't exist in the sentence structure of 「たら, と, ば」.
3) As for the characteristic in time, 「なら」could be known a fact that the relationship of time between modus and consequent is relatively free. The sentence structure of 「たら, と, ば」always indicates the relationship of time in「modus → consequent」. However, 「なら」can indicate even the relationship of time in 「consequent → modus」as well as 「modus → consequent」.
4) As for the peculiar usage and restrictions to 「なら」, 「なら」can be used in the conditional that consequent precedes modus, and in the counter-factual conditional that modus is a fact. Also, the verb in modus indicates movement, and the relationship of time is 「consequent → modus」. When the meaning of consequent is imperative, it becomes the ungrammatical sentence, or the original meaning becomes different given using by changing 「なら」into 「たら, と, ば」. In the sentence structure of 「どうせ~なら」, it becomes the ungrammatical sentence given using 「たら, と, ば」 instead of 「なら」.
However, contrary to this, it becomes the ungrammatical sentence when using 「なら」 in the general conditional, which shows causality of being generally established, and in the factual conditional, which shows a fact of having happened once in the past both for modus and consequent.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