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features of direction giving dialog in the Korean language to find features of foreigner talk and to evaluate authenticity of dialogues of Korean materials. The subjects were 200 adult pedestrians who walked at Shinchon street, Seo... This study examined features of direction giving dialog in the Korean language to find features of foreigner talk and to evaluate authenticity of dialogues of Korean materials. The subjects were 200 adult pedestrians who walked at Shinchon street, Seoul. Four of the Korean investigators as well as foreign investigators collected and analyzed voice material of the subjects. Seven volumes of korean materials of linguistic educational institutions at local colleges were selected to be korean materials. The study made correction of analysis framework of foreign direction giving discourse based on actual dialogue material to make analysis standards. The analysis framework compared NS Korean conversation with foreigner talk, and investigated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variable of gender. The analysis framework also investigated dialogs of material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investigated how much material dialogs reflected NS Korean conversation as well as foreigner talk, and what features each material ha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actual conversation result showed that direction givers gave not only NNS but also NS a lot of questions regarding B type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it often skipped closing. However, direction giving of NNS had characteristics of foreigner talk such as repetition, use of English, and confirmatory questions, etc. Secondly, actual convers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variable of gender. The meeting with NS had not much difference of the variable of gender, and the guide's gender had much influence upon the meeting with NNS. The women guides tended to show instant surprise and to make use of various types and to explain in detail and concretely more than the men guides did. Thirdly, sample conversation sentences were made to express features of direction giving dialogs that made appearance at conversation between NNS as well as foreigner talk the most frequently. The sample of the most typical conversation of actual conversation was suggested. Fourthly, the conversation sentences of korean materials at each stage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m with actual conversation. The conversation sentence of Korean material did not express characteristics of actual conversation perfectly to reflect it to a certain degree. And, the conversation sentence was similar to foreigner talk rather than NS Korean conversation. This study supplied material that would help produce teaching material in the future, and evaluated authenticity of teaching material. And, foreigner talk features of the Korean language that were not discussed at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were disclosed by using actual material. The study, however, had limitation not to investigate various facts of FT features such as vocabularies, grammar structure, length of sentences, sound and intonation, etc. The author hopes that other researches would supplement the stud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실제 한국어 길 안내 대화의 특성을 분석하여 외국인 대상어의 특징을 살피고, 한국어 교재의 길 안내 지문의 진정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실제 대화는 한국인과 외국인 자료 수집... 본 연구는 실제 한국어 길 안내 대화의 특성을 분석하여 외국인 대상어의 특징을 살피고, 한국어 교재의 길 안내 지문의 진정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실제 대화는 한국인과 외국인 자료 수집자 4명이 서울 신촌 지하철역 2번 출구 근처 거리를 지나는 성인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길을 물어보는 음성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재는 국내 대학 언어 교육 기관의 교재 7권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실제 대화 자료를 토대로 국외의 길 안내 대화 분석틀을 수정하여 분석의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틀을 통해 모국인간의 대화와 외국인 대상어를 비교하였고, 또한 성별 변인이 미치는 영향에 의해 차이가 생기는지 살펴보았다. 교재의 대화문도 동일한 분석틀을 통해 분석하여,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교재의 대화문이 실제 대화와 외국인 대상어를 얼마나 반영하였으며, 교재별로 반영된 특징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대화를 분석한 결과 길 안내자들은 한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B유형인 “이화여대요?” 라고 장소에 대해 되묻는 질문을 많이 하고, 안내 후 단계를 생략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안내를 할 때에는 반복과 영어 사용, 확인 질문 등과 같은 외국인 대상어의 특징이 나타나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실제 대화에서 성별 변인에 따라 안내하는 말의 유형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을 대할 때 성별 변인의 차가 크지 않은 편이지만, 외국인을 대할 때 안내자의 성별이 미치는 영향이 현저했다. 여성 길 안내자가 남성 길 안내자보다 즉각적인 놀람이나, 다양한 유형을 사용하는 점,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거듭 설명해주려는 경향이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인 대상어와 외국인 대상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길 안내 대화의 특징을 살펴 이러한 특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예시 대화문을 구성해보았다. 이것을 통해 실제 대화의 가장 전형적인 대화문을 예시로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넷째,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의 각 단계를 분석하였고, 이를 실제 대화와 대조하였다.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은 실제 대화의 특성을 완벽히 드러내지 못하지만 아주 동떨어진 것도 아니었다. 또한 모국인간의 대화보다는 외국인 대상어로서의 자료와 더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한국어 교재의 제작에 도움이 될 자료를 제공하며, 교재의 진정성 평가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아직 한국어 교육에서 논의된 바 없는 한국어에서의 외국인 대상어 특징을 실제적인 자료를 통해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국인 대상어의 특징을 어휘, 문법구조, 문장의 길이, 소리, 억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지 못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앞으로 있을 이 분야의 연구들에서 본 연구의 미흡한 점이 보완될 것이라 기대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