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 we analyzed how the irony had been conducted in the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drew up a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rony.
In the first chapter, we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irony to learners who stud...
In this , we analyzed how the irony had been conducted in the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drew up a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rony.
In the first chapter, we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irony to learners who study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ecause the irony is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anguage and plays various linguistic roles, it should be discussed in the education program of Korean.
In the chapter 2, we defined the irony and discussed its roles and realization aspects. We categorized roles of the irony into intentional expression and customary expression in terms of the way to use the irony, a speaker intentionally uses it with specific objectives or customarily uses it as a everyday language.
Intentional expression has six different roles such as emphasis, sarcasm and sneer, retort, rebuke, admonition, doubt and conjecture, justification and reason. There are three roles of customary expression such as request for consent, proposal and praise. And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each roles.
Realization aspects of the irony can be classified into phonological level, inflectional level, vocabulary level, syntactic layer, and pragmatic level. The irony which is realized in the syntactic level has shown the greatest productivity.
In the chapter 3, we analyzed the irony which can be found in the teaching materials textbooks for Korean education program. Five text books which are published by institutes for Korean education were used as the level from elementary to professional. We checked out the irony found in the each textbook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Most of the irony played roles as the intentional expression, especially emphasis and retort, in these text books. However, sarcasm and sneer, and request for consent, proposal and praise can be found in the few textbooks.
We could not find the irony in the phonological level and pragmatic level. The irony realized in the inflectional level could be found in the all over the textbooks. But the irony realized in vocabulary level and syntactic level was differently presented in the each textbook.
In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five problems for the irony in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First, there are great differences of vocabulary, infection and syntax to realize the irony among different textbooks. Second, several textbooks only gave illustrative sentences without detailed explanation for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rony. Third, although the irony has similar syntactic structure, it was separated into different grammar sections. Fourth, textbooks are not able to reflect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ony. Fifth, the irony realized in the pragmatic level was not reflected in the textbook.
In the chapter 4, we gave the list of the irony for each stages from elementary to professional level. In addition, we presented application methodologie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practical situations, reading materials and audio-visual materials to teach the irony and class models for the each methodology. These methodologies and class models must be practically helpful to teach the irony.
이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반어법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반어법의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도 ...
이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반어법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반어법의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도 반어법이 교육되어야 한다는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반어법은 실제 언어생활에서 빈번히 쓰이며 다양한 언어 기능을 하므로 한국어 교육에서도 반드시 논의되어야 한다.
2장에서는 반어법을 정의하고, 그 기능 및 실현 양상을 논의하였다. 반어법의 기능은 화자가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사용하는 것인지, 일반 언어생활에서 굳어져서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것인지에 따라 의도적 표현과 관습적 표현으로 나누었다. 의도적 표현은 강조, 비꼼 및 비웃음, 반박, 질책, 훈계, 의심 및 추측, 당위 및 이유 등 6가지 기능으로 나누었고, 관습적 표현은 동의를 구함, 제안, 칭찬 등 3가지 기능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기능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반어법의 실현 양상은 음운적 층위, 굴곡적 층위, 어휘적 층위, 통사적 층위, 화용적 층위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는데, 이 가운데 통사적 층위에서 실현되는 반어법이 가장 생산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나는 반어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출판되어 사용하고 있는 5개 교재를 초급부터 고급까지 분석 대상으로 하여, 각 교재에 나타난 반어법을 확인하고 교재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들 교재에서 반어법의 기능은 주로 의도적 표현으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강조, 반박 기능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비꼼이나 비웃음의 기능과 관습적 표현인 동의를 구함, 제안, 칭찬 등은 일부 교재에서만 나타났다. 실현 양상으로는 음운적 층위나 화용적 층위에서는 반어법이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굴곡적 층위에서 실현되는 반어법은 한국어 교재에서 고루 나타났지만, 어휘적 층위나 통사적 층위에서 실현되는 반어법은 교재마다 다르게 제시되어 있었다.
교재 분석 결과, 한국어의 반어법 교육에서 5가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반어법을 실현하는 어휘, 굴곡, 통사 등의 항목이 교재별로 크게 차이가 있다. 둘째, 한국어 교재에서 반어법 항목의 각 기능과 특징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고, 예문만으로 제시된 경우가 많다. 셋째, 한국어 교재에서 비슷한 통사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도 별개의 문법으로 나누어 다른 단원에서 제시하고 있다. 넷째, 한국어 교재에 반어법의 음운적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화용적 층위에서 실현되는 반어법이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4장에서는 초급부터 고급까지 단계별 반어법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반어법을 교육하기 위한 활용 방안을 상황 제시를 통한 교육, 읽기 자료를 활용한 교육,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교육 등으로 나누고, 각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실제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반어법을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