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ositions are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s of English Grammar, and also students have difficulties learn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frequency of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on learning the prepositions by a...
Prepositions are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s of English Grammar, and also students have difficulties learn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frequency of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on learning the prepositions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 have also tried to find better ways to teach prepositions to middle school students, so they can take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The study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of all, I analyzed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with the reference to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ose English textbooks were published by thirty-four different publishers according to 7th curriculum. As examining them, I could reveal the frequency of the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in those textbooks. Moreover, by using the KWIC Concordance program, the prepositions that show a place in space fell into high-frequency prepositions and low-frequency prepositions in the corpus data.
Next, I chose 100 students from 9th graders. I made a close test which was constructed by choosing 5 high frequency prepositions and 5 low frequency prepositions from the sentences based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 selected. Furthermore, by using SPSS 11.5 for windows program, I ve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
The research findings in analyzing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only five prepositions that showed high-frequency accounted for about 72.56 % among twenty-five prepositio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esides, certain prepositions were never presented in some publisher's textbooks. Second, I found that it is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 It means that Students score better with the test when they solve the high frequency preposition problems than low.
In conclusion, I discovered that frequency of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were unbalanced proportio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frequency of some spatial prepositions was low in English textbooks, but this do not mean that those prepositions are not important part of learning prepositions, Also, it implies that it is possible for some learners to lose chance to learn certain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in their textbooks. Therefore, English teachers should consider this fact when they teach English preposition.
Moreover, English textbook developers should keep in mind about it, so I suggested two ways to be helpful for English teachers. Above all, when teachers teaching the use of English prepositions, they might be effective to show students pictures of English prepositions related to the appropriate usage of the words. In addition, the methods, using corpus data and concordance program, were suggested, particularly putting emphasis on prepositions.
Generally prepositions are thought of as the small part of grammar, and also they are difficult items of many other parts of speech. However, English prepositions should not be ignored when they are taught. Additionally,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element when English materials developed by educators. When good-quality materials are provided for learners, they can be qualified with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For these reasons, the usage of prepositions a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should be considerably reflected.
기존의 문법과 읽기위주의 영어 교육에서 전치사 학습은 단순히 해석을 하거나 문법 문제의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상황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 사람이 가장 ...
기존의 문법과 읽기위주의 영어 교육에서 전치사 학습은 단순히 해석을 하거나 문법 문제의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상황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 사람이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 중에 하나이다. 또한 실제로 글쓰기 할 때 가장 많이 틀린다. 그 이유로는 전치사가 한국어에 문법 구조에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 종류와 하나의 전치사가 가지는 의미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치사 습득 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따르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전치사하나에 따라 말하는 사람의 의도나 문맥의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영어 학습에서 전치사 학습은 절대 소홀히 다루어져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특히, 의사소통이 중요해진 요즘,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전치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Hofmann(1993)의 전치사의 의미구분에서는 시간적 의미와 인과적 의미는 공간적 의미에서 은유적으로 확장되어 나온 것인데다가 추상적이기 때문에 공간적 의미보다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이 되고 의미적으로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인 공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공간 전치사(Spatial prepositions)에 초점을 두고, 공간 전치사의 학습의 정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가설을 ‘교과서내 공간전치사의 노출빈도가 공간 전치사 학습에 영향을 준다.’라고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간 전치사의 빈도수와 학습효과의 관계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공간 전치사 빈도분석을 하기위하여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육부 검정을 마친 중학교 1,2,3학년 영어교과서 34종을 연구 자료로 선택하였다. KWIC Concorda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학교 과정에서 제시된 25개의 공간전치사를 조사하였다. 빈도 검색결과를 바탕으로 다빈도 전치사와 저빈도 전치사를 평균빈도수를 기준으로 구분한 다음 각 전치사들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였다. 두 번째로, 첫 번째 빈도 분석결과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지를 제작하여 다빈도 전치사와 저빈도 전치사를 문맥에 맞게 판단하도록 구성 하였다. 평가지의 대상은 중학교 3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공간 전치사의 빈도수와 평가 문항지의 정답률을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1.5 for windows의 Paired T-test와 상관 분석을 하였다.
두 가지 연구 과정을 거쳐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빈도와 저빈도 전치사를 나누어본 결과, 특정 5개의 전치사 빈도수가 전체 72.56%를 차지했다. 둘째, T-test를 이용한 검증과정에서는 다빈도 전치사 문항의 점수가 저빈도보다 약 2배정도 높았음이 밝혀졌다. 또한, 상관 분석을 통하여 각 전치사의 정답률의 비율도 높은지를 알아본 결과 노출빈도가 높은 전치사의 정답률이 낮은 전치사에 비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거의 일치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단순히 예문이나 제시어 속에서만 학습하면서 정답률에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를 통해 빈번한 노출빈도가 전치사를 습득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어 교육에 있어 전치사 학습이 하나의 새로운 의미범주를 익히는 것이라고 여겨질 때, 전치사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학습 지도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둘째, 영어 교육 현장에서 전치사 빈도수를 고려해서 가르칠 필요가 있다. 정답률과 전치사 빈도수에서 보인 상관분석에서 저빈도 전치사의 정답률은 낮았다. 그러나 저빈도 전치사라고 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교사들의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교사는 전치사 학습에서 영어교사는 코퍼스 분석을 통해 얻어진 빈도분석을 바탕으로 저빈도 전치사들의 의미가 다빈도 전치사와 함께 골고루 학습될 수 있도록 교재 개발이나 수업 구성에 신중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과를 통해 그동안 영어 교육 현장에서 소홀하게 다루어 졌던 전치사에 대해 그 중요성을 되새기고 그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필요하겠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