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실문법적 특징을 문법성 판단능력과 오류수정 능력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장의 오류를 탐지하는 메타언어...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실문법적 특징을 문법성 판단능력과 오류수정 능력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장의 오류를 탐지하는 메타언어인식능력을 조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좌측 대뇌손상을 입은 브로카 실어증 환자 15명과, 비교집단으로는 교육년수와 성별 및 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성인 1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검사과제는 주격조사 ‘가’, 처소격조사 ‘에’, 목적격조사 ‘을’, 도구격조사 ‘로’의 네 가지 조사를 포함한 문장 48개로, 정문 24문장과 비문 24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장을 들려주고 오류의 유·무를 판단하게 하고 오류가 있는 경우 수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은 정상 성인에 비해 조사를 중심으로 한 문법성 판단능력에서 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우연 수준(chance level) 이상의 수행능력을 보였다.
둘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은 정상 성인에 비해 비문법적 문장에 대한 오류 수정 능력에서 우연수준(chance level)의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 집단 내 오류 탐지 빈도와 오류 수정 시도 빈도와 오류 수정 성공 빈도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조사별 오류 탐지 횟수는 주격조사 ‘가’에서 가장 높고, 처소격 조사 ‘에’, 도구격 조사 ‘로’, 목적격 조사‘을’ 순으로 오류 탐지빈도가 낮아졌는데, 이는 정상 성인과 비슷한 반응양상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은 조사를 중심으로 문법성 판단능력과 오류수정 능력을 살펴보았을 때 결함이 있으나, 문법성 판단능력이 오류 수정 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이 문법형태소를 활용하여 문장을 이해하는 능력보다 문법형태소를 산출하는 능력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법성 판단능력은 정상성인에 비해 낮지만 정상성인과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과제는 일부러 틀린 조사를 삽입하여 비문법적으로 만든 문장의 오류를 탐지해내고 이를 수정하도록 하는 메타언어인식(metalinguistic awareness) 과제이다. 즉 의도적이고 분석적으로 상위 언어처리과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은 이러한 메타언어인식 처리 능력이 정상성인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을 진단하고 중재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문법적 메타언어인식 처리 능력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the investigate the grammatical judgmental ability and error correction of Broca's aphasia.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and 15 normal adults match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the investigate the grammatical judgmental ability and error correction of Broca's aphasia.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and 15 normal adults match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and ag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the grammatical correctness of 48 short sentences, half of which were ungrammatical sentences containing incorrect case-markers while the other half were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Four types of case-markers including nominative "i/ga", accusative "ul/lul", locative "e," and instrumental "ro" were systematically changed to generate the ungrammatical sent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were indicated to be inferior in grammatical judgment centering on case-markers compared to normal adults, but showed performance ability in more than a chance level.
Second,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showed a low performance ability in a chance level in error correction ability of ungrammatical sentences, compared to normal adults. Within groups in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a correlation was indicated among error-detection frequency, error-correction attempt frequency, and error-correction success frequency.
Third, the error-detection ability in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was the highest with nominative "i/ga." The error-detection frequency was then lower in order of locative "e," instrumental "ro," and accusative "ul/lul." Thus, a similar reaction aspect to normal adults was indica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were indicated to have a defect in grammatical judgmental ability and error correction centering on case-markers. Also, through research, the grammatical judgmental ability in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was understood to be relatively preserved compared to the error correction. This implies that the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show a much greater difficulty in ability to grammatical morphemes production than in the ability to understand sentences by utilizing grammatical morphemes. Also, even if lower than a normal adult, the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were confirmed to show a similar reaction aspect in error detection by case-markers.
This study is a task of metalinguistic awareness that detects error and corrects this in sentences made to be ungrammatical by deliberately inserting incorrect case-markers. In other words, it requires intentional and analytic language processing.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are known to be lacking in this metalinguistic awareness processing ability compared to normal adults. Accordingly,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necessity of an approach that considers grammatical metalinguistic awareness processing ability in these people in the process of diagnosis and treatment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