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 능력과의 관계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다문화가어머니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한국능력유아언어 능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의 언어 능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어떠한가?
1-1.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출신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한국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취업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4.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능력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언어 능력은 어머니의 출신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언어 능력은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유아의 언어 능력은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4. 유아의 언어 능력은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 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 소재의 유치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 유아 157명 중에서 어머니가 외국인이고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하여 참여 의사를 밝힌 가정의 만 3세 유아 20명(남아: 12명, 여아: 8명), 만 4세 유아 26명(남아: 9명, 여아: 17명), 만 5세 유아 25명(남아: 9명, 여아: 16명), 총 71명(남아: 30명, 여아: 41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71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들의 한국어 수준을 측정하는 ‘한국어 레벨테스트(Language PLUS, 2006)'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언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2003)이 개발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 능력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의 언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 변량분석과 t-검정을 하였으며, 어머니 한국어 능력과 유아의 언어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평균 539.15점으로 일상적인 회화가 가능한 3급 정도이고, 어머니의 한국어 점수는 조선족, 일본인, 기타민족, 필리핀인 순으로 출신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출신국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일본인과 조선족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거주기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한국어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취업여부와 학력에 따른 한국어 능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능력은 만 3세 경에는 생활연령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생활연령과 언어발달연령간의 차이가 점점 벌어져서 언어 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능력은 어머니의 출신국과 거주기간, 취업여부,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읽기, 듣기 점수는 유아의 수용언어, 표현언어 점수와 약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mother's Korean ability and her children's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s background factors in multi-cultural family, and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mother's Korean ability and her children's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s background factors in multi-cultural family, and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Korean ability and her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ow is the Koran ability of the mother of a multi-cultural family?
1-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s Korean ability according to her native country?
1-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s Korean ability according to her residential period?
1-3. Is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s Korean ability according to her employment?
1-4. Is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s Korean ability according to her educational background?
2. How is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2-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there mother's native country?
2-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there mother's residential period?
2-3.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there mother's employment?
2-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ther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Korean ability and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71 children, 20 of three-year-old children (12 boys and 8 girls), 26 of 4-year-old children (9 boys and 17 girls) and 25 of five-year-old children (9 boys and 16 girls), and there mothers in the number of 71, who agre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tudy, out of the 157 kindergartener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whose mothers were foreigners in Chungcheongbukdo.
Method of the study to test the Korean ability level of the mothe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as 'Korean Level Test'(Language PLUS, 2006) that tests the Korean ability level of someone who uses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r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test, the method was a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developed by Kim Young-Tae , Seong Tae-Jea , Lee Yun-Kyung (2003).
The standard and average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data processing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mother's Korean ability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y, one-way ANOVA and t-test was used to find out mother's Korean ability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s measur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Korean ability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Korean ability of the mothers with multi-cultural family was 539.15(category three) which means the one who correspond with the score can daily conversation, and the Korean score of the mothers were different among Chinese Joseon Tribe, Japanese, the other nation, and Filipino, in order. Every native country has some differences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Joseon Tribe.
Korean proficiency of the mothers with multi-cultural famil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re residential period, and the score was higher when the period was longer.
The employment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mothers with multi-cultural family, however, was no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were similar with there chronological age when they were three, but the gap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developmental age is became more and more broaden when they grow older, and their language abilities became lower. However, the language ability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s not significantly varied when it comes to comparing their mother's native country, residential period, employment,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Korean ability and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resulted in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reading and listening score and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