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regard of the phonological processing in reading Korean Hangul, letter-to-sound mapping shows irregular phonological chan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angul based on syllabic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pho...
In regard of the phonological processing in reading Korean Hangul, letter-to-sound mapping shows irregular phonological chan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angul based on syllabic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phonological changes in reading Korean through 8 phonological rules; tensification after obstruent, tensification after /d, s, and j/ after /l/, liaison, nasalization of obstruent, nasalization of liquid, nasalization of obstruent / nasalization of liquid, aspiration, and lateralization and to explore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and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grades. 41 elementary students in 2nd grades and 41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ook part in this study. The reading exercises consisted of the lists of 2 syllables nouns applied to 8 phonological rules and the lists had meaningful words and non-meaningful words. The lis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eaningful words followed by non-meaningful words and non-meaningful words followed by meaningful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orders of meaningful words in the lists for the reading assignment, (2) compare the differences in each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grades and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3) compare the differences total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grades and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4)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grades and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inc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were observed in 2nd grade students according to the orders of meaningful words on the lists, carry-over effect appear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5th grade students.
Second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were observed in students in all grades according to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in each rule. Considering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grades, a higher level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in aspiration rules among meaningful words was observed in 5th grade students than in 2nd grade students. A higher level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in the rules of aspiration, fortis after /d, s, and j/ after /l/, tensification after obstruent,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of liquid among non-meaningful words was observed in 5th grade students than in 2nd grade students.
Thirdly, the total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of non-meaningful wor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5th grade students than 2nd grade students in reading assignments.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of meaningful word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grades. According to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meaningful words showed a higher level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than non-meaningful words.
Lastly, a significant low level of applicability in meaningful words was observed in lateralization rules in comparison with other rules. A low level of applicability in non-meaningful words was observed in lateralization rules. A low level of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 in lateralization observed in both 2nd and 5th grade students in comparison with other phonological rules and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was seen in the rules of nasalization of obstru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orders of phonological rules that should be learned according to grades and the types of phonological rules that distinguish lower grades and higher grades while conducting the assessment of word recognition and intervention in reading Korea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although they are same phonological rules. Furthermore, since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level of phonological rules in the same grades and meanings of word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llows to consider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in phonological rules when establishing intervention plans.
읽기는 단어 재인(word recognition)과 읽기 이해(comprehension)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읽기 발달에서 단어 재인과 읽기 이해에 시간적인 위계가 있다면 단어 재인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은 읽기 이...
읽기는 단어 재인(word recognition)과 읽기 이해(comprehension)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읽기 발달에서 단어 재인과 읽기 이해에 시간적인 위계가 있다면 단어 재인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은 읽기 이해에도 필연적으로 어려움을 갖게 되므로, 단어 재인은 읽기의 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단어 재인에 관한 선행 연구는 음운 인식에 대한 연구와 음운 변동에 대한 연구로 크게 나뉘어질 수 있다. 음운 인식은 철자와 소리와의 대응 관계에 대한 지식이므로 초기 단어 재인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되어 왔으며(Catts & Kamhi, 2005)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한글의 단어 재인에서는 음절 문자로 기능하는 한글의 특성상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불규칙적인 음변화가 많이 일어난다. 따라서 한글 단어 재인에서는 음운 인식에 관한 지식과 더불어 음운 변동에 대한 지식이 또한 요구된다. 한글의 음운 변동에 관한 연구는 주로 발화에서의 변동에 대한 것이었으며 음운 규칙이 아닌 오류 유형(생략, 대치, 반복, 삽입 등)으로서의 음운 변화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연구의 대상은 학령 전기 아동에 집중되었으므로 읽기 발달이 학습에 중요한 과업이 되는 학령기 아동의 음운 변동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글 단어 읽기에서의 음운 변동을,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한국어 음운 규칙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단어의 의미 여부와 학년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를 고찰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학령기 아동 중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을 대표하는 2학년과 5학년 아동을 각각 41명을 선정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단어 읽기 과제는 8개 음운 규칙(장애음 뒤 경음화, ㄹ 뒤의 ㄷ,ㅅ,ㅈ 경음화, 연음화, 장애음의 비음화, 유음의 비음화, 장애음의 비음화 / 유음의 비음화, 격음화, 유음화)이 적용되는 2음절 명사형 단어 목록이었다. 단어 목록은 유의미 단어 목록과 무의미 단어 목록으로 나뉘며 8개의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 단어를 의미 여부별로 6개씩 선정하였으므로 총 96개의 단어가 제시되었다. 단어 목록의 의미 제시 순서는 선(先) 무의미-후(後) 유의미 목록 순서와 선(先) 유의미-후(後) 무의미 목록 순서로 양분되었다.
이 연구의 질문은, (1) 단어 읽기 과제에서 단어 목록의 의미 제시 순서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2) 학년과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별 적용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3) 학년과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 총 적용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4) 동일 학년과 단어의 동일 의미 여부에서 음운 규칙 간 적용도에 차이를 보이는 지에 관해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어 목록의 의미 제시 순서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 비교 단어 목록의 의미 제시 순서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는 2학년 아동에게서 유의미하였으나 5학년에게서는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2학년 아동은 먼저 제시한 단어의 목록이 유의미일 경우 후에 읽은 무의미 단어의 음운 규칙 적용도가 높아졌으며 먼저 제시한 단어의 목록이 무의미일 경우는 후에 읽은 유의미 단어의 음운 규칙 적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2. 학년과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별 적용도의 차이 비교 학년 내에서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별 적용도는 모든 학년에서 음운 규칙별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는 유의미 단어에서 격음화의 규칙만 5학년이 2학년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음운 규칙 적용도를 보이는 차이가 나타났다.
무의미 단어에서는 격음화 , ㄹ뒤의 ㄷ,ㅅ,ㅈ 경음화, 장애음 뒤의 경음화, 유음화, 연음화, 장애음의 비음화의 규칙 모두에서 5학년이 2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음운 규칙 적용도를 보였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 장애음의 비음화 / 유음의 비음화에서는 학년 간 적용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3. 학년과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른 총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 비교
단어 읽기 과제에서 무의미 단어의 총 음운 규칙 적용도는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의미 단어를 읽을 때 5학년 아동이 2학년 아동보다 음운 규칙을 더 높게 적용하였다. 반면 유의미 단어의 총 음운 규칙 적용도는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라 2, 5학년 모두에서 총 음운 규칙 적용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학년, 5학년 모두에서 유의미 단어의 총 음운 규칙 적용도가 무의미 단어의 총 음운 규칙 적용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4. 음운 규칙간 적용도의 차이 비교
유의미 단어에서는 2학년 아동과 5학년 아동 모두 유음화 규칙이 다른 규칙들과 비교해 유의하게 낮은 적용도를 보였다. 무의미 단어에서는 2학년 아동과 5학년 아동 모두 다른 음운 규칙들과 비교해 유음화 규칙의 적용정도가 낮았으며 장애음의 비음화 규칙은 높은 적용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운 규칙의 적용도에 있어서 단어의 의미 제시 순서에 따라 저학년 아동과 고학년 아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학년과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라서도 음운 규칙 적용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일 학년과 동일 단어의 의미 여부 내에서도 음운 규칙들 간에 적용도의 차이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읽기에서 단어 재인의 평가 및 중재 시, 학년에 따라 우선되어야 하는 음운 규칙의 순서를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음운 규칙 적용도에 있어서 저학년과 고학년을 구별해주는 음운 규칙의 종류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음운 규칙이라 하더라도 의미 여부를 달리하여 단어 조건 자극을 만들 때,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를 고려해야함을 밝히고 있다. 또한 동일 학년과 동일 단어의 의미 내에서도 음운 규칙간 적용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학습 및 중재 계획을 수립할 때 적용 정도가 높은 음운 규칙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