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성인의 말명료도에 대한 조음정확도의 예측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심도 이상의 청력손실이 있는 청각장애인의 경우 소리를 듣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청각을 이용해 말소리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전달받지 못하여 말 산출에 어려움을 나타낸다. 이러한 ...

심도 이상의 청력손실이 있는 청각장애인의 경우 소리를 듣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청각을 이용해 말소리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전달받지 못하여 말 산출에 어려움을 나타낸다. 이러한 말 산출의 어려움으로 인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의사소통 문제로는 낮은 말명료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문제를 일으키는 낮은 말명료도는 조음능력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말명료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인으로 보고되는 조음정확도와 말명료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조음정확도의 예측력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음정확도는 모음정확도와 자음정확도로 나누었으며, 자음정확도는 다시 조음방법과 조음위치에 따라 자음을 분류하여 산출하였다. 자음을 조음방법과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이유는 이들 각각이 명료도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청각장애인의 명료도 향상을 위한 언어치료 목표 설정 시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언어발달 이전에 청력손실이 발생한 심도 이상의 청각장애 성인 29명으로, 이들에게 문장과 단어를 읽게 하여 녹음을 한 후, 숙련된 언어임상가가 녹음 자료를 듣고 명료도와 조음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조음정확도의 예측력은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모음정확도는 말명료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F= 18.71, p〈0.01), 자음정확도 또한 말명료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F=58.31 p〈0.01). 모음정확도의 설명력은 40%였고, 자음정확도의 설명력은 68% 였다. 둘째, 조음방법과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된 자음부류의 조음정확도가 말명료도에 주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조음방법에 따라 분류한 자음부류 중 파열음이 말명료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2=.50). 조음위치에 따른 자음부류에서는 치경음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R2=.59).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음정확도와 자음정확도는 모두 청각장애인의 말명료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므로, 말명료도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언어치료 시 치료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음 중 조음방법에 따라서는 파열음이, 조음위치에 따라서는 치경음이 말명료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조음치료의 목표 설정 시 파열음과 치경음이 우선 목표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인이 가장 오류를 많이 보이는 자음부류는 조음방법에서는 마찰음, 조음위치에서는 구개음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도 마찰음과 구개음은 조음정확도가 낮은 자음부류였다. 그러나 말명료도와의 관계에서는 이들 자음부류보다 파열음과 치경음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에서 파열음과 치경음의 빈도가 다른 자음부류보다 높기 때문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Adults with hearing-impairment demonstrate troubles of speech production. Their speech intelligibility scores are very low from this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correct articulation and speech intelligibili...

Adults with hearing-impairment demonstrate troubles of speech production. Their speech intelligibility scores are very low from this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correct articulation and speech intelligibility. Correct articulation was ed as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on speech intelligibility of deaf. Correct articulation was measured by percentage of vowel correct and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Consona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manner and place of articula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9 prelingual deafened adults. Experienced speech language pathalogists evaluated speech intelligibility and correctness scores of consonants and vowels of participant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predictive powers of segmental correctness on speech intelligibility.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percentage of vowels correct could predict speech intelligibility statistically significantly(F=18.71, P<0.01), and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ppeared also significantly predicting variable on speech intelligibility(F=58.31, P<0.01). Explanation power of percentage of vowel correct was 40%, and explanation power of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was 68%.
Second, in consonant classes divided by manners and places of articulation, the percentages of consonants correct of plosives and alveolar sounds were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s in each groups. Their explanation powers were 50% and 59%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study results, importance of segmental correctness on speech intelligibility of adults with speech intelligibility was confirmed. Also correctness of plosive sounds in manner and alveolar sounds in place were important to speech intelligibility. These two groups of consonants are known as the highest frequency consonants in Korean language. Therefore this result could be explained by frequency effect on speech intelligibility.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