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 사동문의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에서는 한국사동 표현과 중국사동 표현의 대응에 관한 대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어 사동 표현은 제1사동문, 제2사동문, 제3사동문으로 나눌 수 있다. 각기 부사격 조사와 연결...

본고에서는 한국어 사동 표현과 중국어 사동 표현의 대응에 관한 대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어 사동 표현은 제1사동문, 제2사동문, 제3사동문으로 나눌 수 있다. 각기 부사격 조사와 연결어미의 형식에 따른 여러 문장 형식을 가지는데, 이러한 한국어 사동 표현의 형식들이 중국어 사동의 표현과 어떻게 대응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우선 한국어와 중국어의 사동 표현의 독립된 분류에 따라 각종 문장 형식과 문장 서술어의 제약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사동 표현의 구문 형식들을 구분하는 일은 비교적 쉬웠지만, 중국어 사동 표현을 이루어질 때는 각 표현 형식의 차이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고, 문장 서술어에 있어서 다양한 제약도 있다는 것을 밝혔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한국어의 제1사동문, 제2사동문, 제3사동문의 각 형식은 중국어의 어휘적 사동이나 통사적 사동과 다양하게 대응된다.둘째, 제1사동문의 격구조를 중심으로 볼 때, ‘대상’(Theme)을 가지는 사동문은 중국어의 ‘무표지’ 사동문, ‘합성어’ 사동문, ‘給’ 사동문과 자연스럽게 대응되고, ‘把’ 사동문, ‘使’ 사동문, ‘叫’ 사동문, ‘讓’ 사동문과는 대응되지 않는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목표’(Goal)와 ‘처소’(Location)는 여러 가지 종류의 ‘전치사’ 사동문과 대응된다. 그리고 ‘무표지’ 사동문이나 ‘합성어’ 사동문과는 대응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목적’(Purpose)은 주로 ‘把’ 사동문, ‘給’ 사동문과 대응되는 경향이 있다. 또 ‘시원’(Source)은 ‘叫’ 사동문, ‘讓’ 사동문과 대응되는 경향이 있다. 제2사동문은 ‘使’ 사동문, ‘叫’ 사동문, ‘讓’ 사동문으로 대응시킬 수 있으나, ‘합성어’ 사동문이나 ‘給’ 사동문과는 대응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한국어의 제3사동문은, ‘使, 叫, 讓’의 표지로 된 ‘전치사’ 사동문으로 대응될 수 있다. ‘使’ 사동문, ‘叫’ 사동문, ‘讓’ 사동문의 사동 표현은 그 중심 서술어가 반드시 동작 동사로 나타나야만 사동문에서 사용될 수 있고, ‘합성어’ 사동문과 ‘把’ 사동문은 잘 대응되지 않는다.셋째, 제1사동문은 중국어 사동의 특정한 통사적 사동 구문과 대응되기보다는 사동 의미를 가지는 어휘에 의한 ‘무표지’ 사동문과 대응되는 일이 흔하다. 그 원인으로는 두 언어의 어휘 의미 표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들었다.

This thesis researches on whether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Chinese can correspond.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s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ones. These causative constructions combining with Case markers and co...

This thesis researches on whether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Chinese can correspond.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s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ones. These causative constructions combining with Case markers and conjunction endings form various constructions. How these constructions correspond to Chinese ones is researched. First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Korean and Chinese respectively, each construction and its constraints on predicates are exemplified. Then a contrastive study on these examples is made.The conclusions are drawn as below:First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correspond to various lexical and syntactic ones in Chinese.Secondly, in the first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which are mainly distributed by Case markers, the ones with a Theme object can correspond to 'no marker', 'compound verb', and gei ones in Chinese while fail to correspond to ba, shi, jiao, and rang ones. The ones with Goal and Location objects can correspond to 'preposition' causative constructions and hardly to 'no marker' and 'compound' ones. Causative constructions with a Purpose in Korean mainly correspond to ba and gei ones in Chinese. The ones with a Source object can only correspond to jiao and rang ones. The second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mainly correspond to shi, jiao, and rang ones in Chinese. However, they cannot correspond to 'compound verb' and gei causative constructions in Chinese. The third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can only correspond to shi, jiao, and rang ones in Chinese. Additionally, the predicate of Chinese corresponding constructions has to be an action verb. The third ones in Korean can rarely correspond to 'compound verb' and ba ones in Chinese.Finally, the correspondence of the first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preposition' ones in Chinese is semantically unnatural. Nevertheless, the first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 correspond to 'no marker' ones in Chinese, which is attributed to the semantic differences of two languages.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