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채용하여 학교현장에 활용하는 EPIK 프로그램이 시행되어 온지 10여년이 지났다.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와 접촉이 잦아지면서 영어 활용에 있어 학습자들은 심리적 안...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채용하여 학교현장에 활용하는 EPIK 프로그램이 시행되어 온지 10여년이 지났다.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와 접촉이 잦아지면서 영어 활용에 있어 학습자들은 심리적 안정감이 높아지고 정의적 여과가 낮아지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의사소통의 측면에서도 듣고 말하기 능력이 신장되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과거에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라는 개념 자체가 모호하였고, 이들은 소수학교에 한정 배치되었다. 결과적으로 외국인에 대한 호기심 해소, 외국인 교사에 의한 수업 진행의 참신함, 색다른 수업 방식 등 수업외향적인 면에 강조점이 주어졌다. 그러나 현재 우리 영어교육에 있어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는 영어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실례로, 2006년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내 상당수의 초, 중, 고등학교에 원어민 보조교사가 배치되어 있고, 평균 배치비율은 전체학교의 61%에 이르고 있다.
EPIK프로그램 시행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고 있고, 많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이 학교에 배치되고 있는 상황에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이 효과적으로 학교현장에 기여할 수 있을까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에 실제 현장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의 의견을 고려함으로써 영어교육 발전을 위한 실제적인 개선점과 대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내에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우리 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현황에 대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의 인식에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을 모색함으로써 우리 학교영어 교육이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실제적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개략적인 내용을 설문 중심으로 살펴보자. 설문지에 다뤄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로 채용 된 후 참여하는 오리엔테이션에서 제공받는 각종 정보들은 학교 현장 적응에 유용한 도움이 되는지를 물어 보았다. 둘째,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실제적이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셋째, 현재 담당하고 있는 학급의 규모, 시수 및 수업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넷째,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및 수업태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지를 알아보았다. 다섯째, 협동수업에 대한 견해와 실시 여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여섯째, 제주 영어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한 그들의 생각은 어떠한 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교현장에 배치되기 전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오리엔테이션 기간은 현행보다 연장하여 실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학교 현장 적응시간을 단축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는 일반적이고 개략적인 게 아니고 실제적이고 자세하며 개인별 맞춤형 정보로 채워져야 한다는 설문결과도 나왔다.
학교현장 적응에 대해서는 수업목표, 학생 관련 정보, 수업 운영 방식, 수업 운영 과정, 수업 평가, 학교 행사 참여 범위, 학교와 마을의 지리적․역사적 정보 등에 관하여 명쾌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학교자체 또는 교육청 주관의 워크샵 운영이 요청되었다. 특히, 수업운영과 관련하여 한국인 영어교사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간에 이루어지는 협동수업 실시 방안에 관한 서로 간의 의견 차이를 좁히는 것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학교적응 및 수업운영에 있어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이 또 하나의 문제로 제기되었다.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은 단지 개인적인 차원에서 벗어나 수업운영 전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앞서 한국어 강좌, 한국 문화 강좌 개설 등 우리 문화 관련 충분한 정보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밖에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및 수업태도, 수업운영 전반에 관한 의견 및 우리 영어교육 발전에 참고할 만한 적극적인 의견이 개진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 영어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을 ‘보조교사’라고만 인식하지 말고 교육의 핵심으로 인정하는 의식전환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교육정책에 반영한다면 우리 영어교육이 한 층 나아질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