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ural area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ural area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condition of childcare environm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rural areas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condition of childcare environm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childcare teachers(institution type, teacher’s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 of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rience of training)? Research questions 2. In what extent are the perceptions of the childcare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rural areas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of the childcare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childcare teachers(institution type, teacher’s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 of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rience of trai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5 childcare teachers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tool is a 5 - point Likert scale consisting of 21 items including the actual situation of multicultural childcare environment, the necessity and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est centers, conflict with family. Chi-square,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test were us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were examined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rural area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to avoid stereotypes and biases. There is no difference i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The support system is linked to community organizations. These variables had no differences by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but by the institutional types. Second,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rural areas, the teachers are highly sympathetic to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y are satisfied with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They are interested in improvement of curriculum and teacher training rather than facilities improvement in order to improv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They have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guiding children and parents from the families of multiculture. These variables had some differences by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and the institutional types. In other words, institution type and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were effective variables but teaching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were not.
글로벌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구이동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도 직업군과 계층의 다양성에 의해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2014년 출... 글로벌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구이동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도 직업군과 계층의 다양성에 의해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2014년 출입국 외국인 정책본부에서 밝힌 조사에 의하면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175만 여명으로 이는 혼인귀화자 10만 여명을 제외한 숫자이다. 이러한 현상 가운데 주목해야할 점은 결혼을 목적으로 한 여성 이주민의 증가현상이다. 이렇게 결혼이주여성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이들 가정의 자녀수도 증가하게 되었다. 경기도는 거주하는 외국인주민과 다문화 가정 영유아 수가 전국 17개시도 중 가장 많은 지역이다. 그 중에서도 화성시는 경기도 내 다른 시에 비해 다문화가정 영유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2015, 김미정). 이런 통계를 통해서 볼 때 화성시는 태어날 때부터 한국인 주민과 다양한 국가에서 온 이민자가 함께 거주하는 공간이 되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아기에는 다른 형태의 편견에 비해 ‘인종’에 대한 편견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 만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서도 92.8%의 유아가 ‘인종적 차이’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동일 인종인 황인종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장영희, 이숙재, 김혜실, 김정희, 1999; 서현, 2009 재인용). 이런 결과는 결국 다문화가정의 유아들이 보육기관에서 부터 일찍이 차별과 편견을 경험하고 있고 이로 인해 인지적· 사회적 부적응과 부정적 정체감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의 영유아들의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다문화가정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농촌지역의 다문화보육환경 실태와 보육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보육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경력, 학력, 다문화교육 지도경험, 연수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을 위한 보육환경실태의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보육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경력, 학력, 다문화교육 지도경험, 연수경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285명으로 국공립 20개소, 민간 30개소, 가정50개소를 임의 선정하였다. 연구 설문 조사를 위해 선정된 어린이집에 연구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다음 400부의 질문지를 우편으로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306부이며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8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는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환경 실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 흥미영역, 가정과의 갈등 등 총 21문항이며, 5점 Likert 척도이다.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한 통계방법으로는 ²(Chi-square)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다문화교육 교육환경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교육 목표, 교육환경 및 지지체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 목표는 편견과 고정관념 탈피이며, 농촌지역 어린이집의 보육환경도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일반적 환경과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또한 지지체계는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이다.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교사의 개인변인보다는 기관 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농촌지역 다문화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면, 농촌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있다. 다문화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시설보다는 프로그램과 교재교구 등 교육과정과 연수활동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다문화 가정 유아와 부모와의 지도에 대해 갈등과 어려움을 갖고 있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즉 기관 유형과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지도경험과 연수경험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로는 일반가정의 유아들의 다문화가정 유아들에게 갖는 인식과 편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다문화 교육의 대상은 다문화 가정의 유아뿐 아니라 일반 가정의 유아들까지 포함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육현장에 있는 교사들의 인식이 확대를 위한 연구로 발달의 가소성이 큰 유아기에 바람직한 다문화적 경험을 갖게 하여 인종적, 문화적 편견을 줄이고, 다문화 가정의 유아들이 당면하게 될 부정적 문제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또한 보육교사들도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전국적으로 보육교사를 위한 다문화 전문교육과정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