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디자인에 나타난 모빌리티 패러다임 연구 : 1960년대 이후 실험적 주거 디자인 작품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의 목적은 ‘모빌리티’의 전개 과정을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1960년대 이후 현대 건축 디자인에 타난 모빌리티 패러다임(Mobility Paradigm)의 흐름과 동시대 건축디자...

본 논문의 목적은 ‘모빌리티’의 전개 과정을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1960년대 이후 현대 건축 디자인에 타난 모빌리티 패러다임(Mobility Paradigm)의 흐름과 동시대 건축디자인에 나타나는 실험적 대안 주거 모색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우선 현대 소비사회를 특징짓는 일회용 사회(Throwaway Society) 안에서 건축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매개체로서의 ‘모빌리티(Mobility)’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에 ‘이동’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19세기 모빌리티의 촉발부터, 모빌리티 확산의 전거인 ‘소모성의 미학(Aesthetics of Expendability)’과 ‘진부화(Obsolescence)’, ‘노마디즘(Nomadism)’개념을 연결지어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현대의 모빌리티를 보여주는 모바일 홈(mobile home)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기위해, 움직이는 도시를 상상한 아키그램(Archigram) 그룹의 개방형 메가스트럭처(megastructure)와 페이퍼 아키텍처( architecture) 작업과 확장하는 건축적 가구를 선보인 《이탈리아의 새로운 주거 풍경: 이탈리아 디자인의 성취와 문제점(Italy: The New Domestic Landscap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Italian Design)》전시의 ‘모바일 환경(Mobile Environments)’ 작품을 통해 1960-70년대의 건축가와 디자이너들이 꿈꿨던 새로운 주거 환경에 대해 중점적으로 탐구해보았다. 그리고 동시대의 모빌리티를 조망하기 위해, 모빌리티를 적용한 실험적 대안 주거 실험을 하는 안드레아 지텔(Andrea Zittel)과 새로운 주거 방식을 모색한 국내외 건축 디자인 전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다층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작품들은 현재 현실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측면보다도 더 개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건축 디자인에 대한 모빌리티 개념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 살펴볼 동시대의 건축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모빌리티는 ‘마이크로토피아(Microtopia)’를 향한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가 당면한 에너지 고갈, 환경오염, 공간 부족의 문제들은 미래를 위한 새로운 디자인 가치를 필요로 한다. 이에 실제의 삶에서 우리가 정말로 필요한 공간, 제품과 함께 요구되는 편안함은 얼마일지 실험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함께 살펴본 전시《리빙 인 모션: 유동적 주거를 위한 디자인과 건축(Living in Motion: Design and Architecture for Flexible Dwelling)》(2002),《주택 보급: 현대 주택 제작(Home Delivery: Fabricating the Modern Dwelling)》(2008) 그리고《협력적 주거 공동체(Co-Living Scenarios)》(2014)의 작품들 역시 마이크로토피아와 맞닿는다. 마이크로토피아를 향한 동시대의 실험적 대안 주거 모색 사례와 같이, 본 논문을 통해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흐름을 담은 건축 디자인이 미래 사회에 가져다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하였다. 모빌리티 패러다임은 지속적으로 발현되어, 시리아 난민 이동과 같은 동시대의 주거 문제부터 가상현실에서의 이동까지 다층적으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또한 사회 재난 문제 이외에도 1인 가구와 임대주거 문화의 확산, 비정규직의 증가, 휴대용 정보기기의 급증 등 동시대 사회문화적 변동과 시대적 요구가 반영되면서, 모바일 주거 디자인의 지평도 넓어지고 있다. 일시성, 유연성, 이동성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진 ‘모빌리티’는 일회성 실험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주거 건축 디자인의 한 유형으로 인정받고 발전해나가고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를 구성하고 이끌어나가는 키워드인 모빌리티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욱 확장되어 지속될 가치가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bility” theoretically and it analyzes from flow of mobility paradigm in architectural design since 1960s to contemporary alternative living desig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considers how the c...

This thesis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bility” theoretically and it analyzes from flow of mobility paradigm in architectural design since 1960s to contemporary alternative living desig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considers how the concept of mobility is characterized as a medium that changes the architectural design continuously in the throwaway societ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mobility paradigm, this research states the mobility as the starting point of “movement”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and links it to discourse of "aesthetics of expendability”, "obsolescence” and "nomadism.” In order to analyze "mobile home” design cases that show the modern mobility, This thesis explores "megastructure” and " architecture” of Archigram group(active 1961-74) which imagined the moving and walking cities. Also, it researches new housing environment that architects and designers dreamed of in 1960s and 1970s by analyzing the exhibition Italy: The New Domestic Landscap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Italian Design(1972) at the Museum of Modern Art. Next, to see the contemporary mobility, this thesis examines mobile living unit works of Andrea Zittel(1962-). Zittel provides an alternative residential design experiment with mobility. And this study analyzes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chitectural design exhibition that sought a new way of living. It is worth noting that the mobility paradigm is expanding in multiple layers of meaning. The works which are examined in this thesis show the concept of mobility for architectural design, which has a more conceptual and symbolic meaning than the practical aspects applicable to the current reality. The mobil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design to be discussed in this can be regarded as a movement toward "microtopia.” The issues of energy deple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pace shortages that modern society faces are requiring new design values ​​for the future. So we are experimenting with what we really need in real life, the space we need and the comfort we need with the product. In this regard, exhibitions Living in Motion: Design and Architecture for Flexible Dwelling(2002), Home Delivery: Fabricating the Modern Dwelling(2008) and Co-Living Scenarios(2014) are also related to "microtopia.” This study provides a momentum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architectural design, which represents the flow of mobility paradigm on the future society, as in the case of contemporary experimental alternative housing for microtopia. The mobility paradigm is constantly being developed and the dicourse is being developed from the contemporary housing problems such as Syrian refugee crisis to the mobility in virtual reality. In addition, the horizon of mobile residential design has been widening due to the contemporary sociocultural changes like the spread of one-person households and rental-housing culture, the increase of non-regular workers. Mobility, which has various meanings such as temporality and flexibility, will be acknowledged and developed as a type of residential architecture design rather than a simple one-time project. Therefore, the research on mobility, which is the keyword that constitutes and leads the contemporary society, is worthy of being developed.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