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생태유아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경험과 의미 이 정 아 유아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 국 문 초 록 생태유아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경험과 의미 이 정 아 유아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경험을 탐색해보고 그 경험이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유치원생활을 통해 이루어지는 생태유아교육활동에 유아들과 함께 참여하며 생태유아교육활동이 일어나는 장면과 유아 주변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창의적 경험과 의미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생태유아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경험은 어떠한가? 2. 생태유아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H시 소재 S분교장병설유치원 새싹 반 유아들 만 3세 2명, 만 4세 4명, 총 6명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졌다. 연구기간은 2015년 3월 7일부터 11월 10일까지 약 8개월간 진행하였으며 S분교장병설유치원 새싹 반과 텃밭, 학교 주변 인근 산책로에서 이루어졌다. 주 2~4회 총 56회 참여관찰, 10회 면담, 12회 오디오 녹음, 68회 동영상 및 사진 촬영, 문서 수집을 통해 연구자는 현장 약기와 떠오르는 생각과 연결된 상황 등에 대해 메모하였고, 동영상 및 관찰과 면담에 대한 전사본을 만들었고 부호화, 범주화하여 분석했다. 주로 참여관찰이 이루어질 때 동영상 촬영을 함께 하여 관찰자로서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문서 수집은 학기 초 학부모님께 받은 개별유아 기초 실태 조사서, 1학기 나의 유치원생활 관찰 기록, S분교장병설유치원 새싹 반 학급교육과정, 연간교육계획안, 주간교육계획안, 학부모 안내문, 학부모 참관 및 참여수업 평가서, 새싹 반 밴드에 올린 학부모님들의 메시지 글, 개별유아 작품, 교사의 반성적 저널 일지 등 형식적·비형식적 문서 등을 수집하여 의미를 찾았다. 수집한 자료들은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동영상 및 녹음 자료를 전사하고 분석을 하였고, 수시로 문화기술적연구 관련 서적을 탐독해가면서 본 연구과정에 충실하려고 노력하였다. 2016년 7월부터 11월까지 수집한 자료에서 의미 있는 자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태유아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경험은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경험, 창의적 성향을 느끼는 경험. 창의적 동기를 자극하는 경험, 창의적 사고와 성향 및 동기를 함께 자극하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첫째,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경험으로 ‘눈에 보이지 않지만 대상을 그려낼 수 있었어요’, ‘함께 이야기하며 떠오른 새로운 생각을 작품으로 만들었어요’, ‘나 또는 우리만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어요’, ‘복잡하지만 관련된 것들을 알아낼 수 있어요’, ‘여러 가지 내용에서 원하는 것을 가려낼 수 있어요’ 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성향을 느끼는 경험으로 ‘내가 해내고 싶은 것을 해결책이 나올 때까지 참고 견뎌냈어요’,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었어요’, ‘오감을 통해 섬세하게 느낄 수 있어요’,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할 수 있어요’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동기를 자극하는 경험으로 ‘즐거운 놀이 속으로 빠져 들어요’, ‘끝이 없이 궁금해요’로 나타났다. 넷째, 창의적 사고, 성향, 동기를 함께 자극하는 경험으로 ‘다양한 생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어요’, ‘비슷한 것을 찾아내고 그 안에서 다름을 알아낼 수 있었어요’ 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창의적 경험의 의미를 ‘여유로움이 묻어나는 행복함 느끼기’, ‘다 같이 어우러지는 함께함 느끼기’, ‘자존감이 느껴지는 기발함 가지기’, ‘사랑으로 엮어가는 감사함 가지기’로 보았다. 첫째, ‘여유로움이 묻어나는 행복함 느끼기’는 유아들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마음껏 뛰어놀고 실컷 재잘거리며 그들의 궁금함을 이야기하고 알아보면서 다른 곳에서 경험했던 조급함과 불안감을 떨쳐 버릴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그들의 삶이 곧 앎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행복이었다. 둘째, ‘다 같이 어우러지는 함께함 느끼기’는 무엇을 하든 함께 하는 아이들의 모습에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공동체 의식을 내면화 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예전의 인지적 측면의 발달을 강조하던 창의성 교육에서 인성교육과 통합·융합되는 창의·인성교육과 맥락을 같이하며 현장에서 실천되어 가는 모습이었다. 셋째, ‘자존감이 느껴지는 기발함 가지기’는 유아들이 자신이 인정받고 지원받고 지지받는다고 느낄 때 자신감과 자존감이 극대화되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긍정의 마인드를 계속 불어 넣어주면서 유아들의 이야기에 귀기울여주고 그들의 행동을 격려해줌으로써 새롭고 신선한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쏟아져 나왔다. 넷째, ‘사랑으로 엮어가는 감사함 가지기’는 생태유아교육활동이 유치원의 하루하루 일과 활동과 가정에서의 생활이 연계되어 이어지면서 아이들은 서로 사랑하는 마음을 나누게 되었다. 친구들과 서로 사랑하고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작은 곤충과 채소 열매 등 자연물을 보고 감사하는 마음을 싹틔우고 더 나아가 사랑과 감사하는 마음을 더욱 키워가는 모습 속에서 창의적 경험의 의미를 보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