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재외 한글학교의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쓰기 활동을 활용한 통합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논하고 선...
본고에서는 재외 한글학교의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쓰기 활동을 활용한 통합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논하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글학교의 특성을 제시하여 한글학교를 위한 표준화된 교육 방안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교육 방안 연구들이 부진할 수밖에 없는 한글학교의 특성을 논하고 한글학교 학생들의 특징을 살폈다. 또한 한글학교의 한국문화교육의 문제점을 교재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한글학교에 필요한 문화교육 방향을 언급하였다.
3장에서는 문화교육 실천의 첫 단계로 문화교육의 설계 방안을 문화의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내적 요인을 ‘한민족 정체성’ 외적 요인을 ‘문화 공동체로서의 소통’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문화교육과 쓰기의 관련성을 설명하고 통합 방안을 구안하였다.
4장에서 문화교육과 쓰기 활동을 통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3장의 설계 방안을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였다. 처음 ‘한민족 정체성’은 영상콘텐츠의 내용 요소와 결합하여 내용을 생성 할 수 있도록 쓰기 활동을 구성하였다. 다음 ‘문화 공동체로서의 소통’은 텍스트 유형을 활용한 글쓰기를 제시하여 쓰기를 위한 문화 내용을 생성하고 이와 더불어 한글로 소통할 수 외적 요인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 문화와의 연결 고리를 인터넷으로 하여 다양한 전자 글쓰기가 한국 사회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 교육을 한글학교에서 실제 교육 할 수 있도록 교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재외 한글학교에 사용되고 있는 교재들과 교육 내용들이 한글학교에서 요구하는 문화교육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인지하였다. 그러나 연구 과정에서 문화 체계에 대한 이론이 부족하여 문화 교수요목을 확정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교육 방법론만을 제시한 점이 아쉽다.
한글학교 학생들은 한국 사회와 세계의 각 국가를 언어·문화로 연결하는 국가적 인재이다. 그러므로 한글학교를 위한 교육 방안을 지금까지의 형태인 한국어 교육에 기댄 현상에서 벗어나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재외 한글학교 학습자들이 한국문화 기재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재외 한글학교의 교육이 한국인의 중핵문화와 한글을 통한 전인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교육을 할 수 있는 과정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런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발상이 한글학교를 위한 교육에 활용되길 기대하며 지금보다 활발히 한글학교를 위한 교육 방안이 연구되길 바란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