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원읍은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구역으로 홍익대학교와 고려대학교를 비롯하여 3개 대학이 위치하여 있고 이런 특성상 대학생 유동인구가 많다. 하지만 조치원 중심지역에서의 학생들의... 조치원읍은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구역으로 홍익대학교와 고려대학교를 비롯하여 3개 대학이 위치하여 있고 이런 특성상 대학생 유동인구가 많다. 하지만 조치원 중심지역에서의 학생들의 활동은 매우 제한적이며 주로 대학과 학생들의 집을 오가는 환승지로 이용되고 있다. 대학생들이 조치원 중심지역에 잘 가지 않는 이유를 조사하면서 조치원의 도시공간에 관한 연구가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세종시 조치원읍 중심지역의 도시공간구조와 보행자 도심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추후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도심이용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스마트솔루션과 연계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구조에서 보행 특성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요소들과 보행자 행동패턴 분류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도시의 물리적 요소와 보행자의 도심이용패턴을 조사하였다. 보행자의 도심이용패턴조사는 직접관찰을 통한 보행자 행동 패턴 관찰과 홍익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도시의 물리적 요소를 조사하였다. 물리적 요소조사로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구조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한 건축물 용도현황 및 보행가로 입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구조의 관점에서 조치원 중심지역의 중심가로는 중심지역 내 큰 도로인 반면, 대상지 내 상업시설은 주로 블록 안쪽의 작은 도로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건축물 입면을 조사한 결과 상업이 주로 분포된 거리는 전이공간과 보행자가 머무를 공간이 부족하며, 거리시설물을 이용하기 힘든 거리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상지 내 주거 밀집 구역의 경우 가로등과 방범시설이 미비하며, 대상지 내부도로는 대부분 보차혼용도로로 이루어져 있었다. 둘째, 보행자 도심이용패턴 조사결과로는 조치원 중심지역 보행자가 주간에는 세종전통시장, 야간에는 음식점이 밀집된 가로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보행자 행위 패턴은 총 8가지로 주로 필수적인 행위에 해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대학 학생들은 조치원 중심지역에서 주로 버스·기차의 승차시간 대기를 하며, 문화시설과 공원시설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치원 중심지역의 보행자 도심이용패턴과 보행환경에 대한 특성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보행자분포는 건축물용도분포에 영향을 받으며, 보행자의 시간대별 분포는 상업시설의 특성과 연관성을 갖는다. 둘째, 보행자는 필수적 행위를 주로 보인다. 셋째, 조치원 중심지역 내 보행 안전도는 다소 떨어진다. 조치원 도심이용자가 겪는 도심지 이용에 관한 문제점은 용도분리에 따른 보행자 분포 불균형, 여유공간 부족에 따라 한정된 보행자 행동패턴, 보행자 보행안전성 하락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스마트솔루션으로 용도혼합 및 IT기술을 활용한 도시안내서비스, 녹지축의 조성(ET), 방범시설구축, 보행자 전용거리운영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 조치원 중심지역의 보행자 행위를 살펴보고 분석한 것이므로 대상지역의 일반적인 보행자의 특징이라는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조사된 내용은 조치원 중심지역의 이용도를 높이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jong City, Jochiwon encompasses three universities, among them Hongik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and thus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activities of students around Jochiwon...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jong City, Jochiwon encompasses three universities, among them Hongik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and thus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activities of students around Jochiwon’s central area are limited; it is mostly used as a transit point to commute between home to university. While looking for reasons for this pattern, it became evident that there is very little existing research regarding the urban spaces of Jochiwon. In order to fill this gap in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f the physical structure and pedestrian urban use patterns of Jochiwon. In particular, this study lin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th ‘smart solutions’.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literature study is conducted on pedestrian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urban spatial structure, classifications of pedestrian behavior patterns, among others. Second,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physical elements of the city and pedestrian urban use-patterns are examined. Pedestrian urban use patterns are analyzed by observing direct pedestrian behavior pattern and conducting a survey of Hongik University students. Lastly, physical elements of the city are scrutinized through city structure analysis using space syntax, field study of current building usage and crosswalk façad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city space perspective, most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of the target area are distributed around smaller roads within the block, and not around the major road which is the central crosswalk in Jochiwon’s central area. The study of the façades shows that the smaller commercial streets lack transition spaces and places where people can linger. In addition, the street environment discourages the use of street furniture. Furthermore, dense residential areas shows inadequate street lighting and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long with a lack of adequate separation between pedestrians and cars in the inner roads. Secondly, pedestrian urban use pattern analysis shows that pedestrians traffic is concentrated around Sejong Traditional Market during the day and the inner restaurant street at night. Also, a total of eight pedestrian behavior patterns, mostly falling under ‘necessary activity’, are observed.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remain close to bus and train boarding areas in Jochiwon town center as there is a lack of cultural and recreational destinations. With this information,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Jochiwon central area’s pedestrian pattern and pedestrian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pedestrian distribution corresponds with the building-use distribution, and the time pattern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acilities. Second, pedestrians mostly show ‘necessary activities’. Third, Jochiwon’s central area is relatively unsafe for pedestrians. In other words, issues related to urban use, as experienced by Jochiwon’s urban user, include unbalanced pedestrian distribution according to use-separation, restricted pedestrian behavior due to a lack of available space, and drop in pedestrian safety. In order to tackle such issues, ‘smart solutions’, such as city information services applying mixed-use and IT technology, composition of green space (ET), construc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pedestrian-only streets, are propos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lies in the fact that observation and analysis of pedestrian pattern is confined to a part of Jochiwon’s central area, and cannot be generalized as being applicable to the entire Jochiwon center. However, the these research findings can serve as valuable background data in understanding the spatial structure of Jochiwon town center and its pedestrian movement pattern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