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피(Artist Fee) 도입을 통한 예술인 복지 증진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research investigated South Korean artists’ perception on introduction of Artist Fee System, a tool for promoting artist welfare, and the introduction direction and political alternatives. In 2014,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int...

This research investigated South Korean artists’ perception on introduction of Artist Fee System, a tool for promoting artist welfare, and the introduction direction and political alternatives. In 2014,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introduction of Artist Fee System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ontracts in the visual art field for creativity safety net for South Korean artists through ‘Mid and Long-term Art Plans(2014-2018).’ Lat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nducted research for implementing Artist Fee System. In 2016, it revealed a simulation plan for Artist Fee during a discussion for developing ‘Art Promotion Act (tentative name).’ During this process, however, the government seemed to satisfy with having announced its plan for implementing the Artist Fee System rather than trying to actually realizing the system. Moreover, South Korean artists kept a passive attitude, showing unclear directions toward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As such,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erception, direction, political alternatives for the introduction of Artist Fee System in the future through interviews with South Korean artists and people involved in the art industry. In particular, cases of other countries that have already implemented Artist Fee System for a long time were studied to find out proper artist fee types for South Korea. Moreover, the concept and scope of artist fee suitable for South Korea were explored through the salary status of South Korean artists so far.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and overseas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artist fee suitable for the status of South Korean art was the net expense except for transport, insurance and installation costs; the important criteria for setting the fee was revealed to be differential rates by career rather than the entire type or period of exhibition. Also, the number of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and the circumstance of the exhibition (exhibition budget) can be considered.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South Korean art industry on the introduction of Artist Fee System was low because of long-lasted art industry practices. Although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improve the status of artists and assure their right,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 art industry with opportunities to exchange opinions and discuss among generations before implementing the system. Third, a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b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simulation before introducing the system in 2020 and lay the groundwork for dialogue and discussion to establish standard and scope that various stakeholders in the art industry can accept. By doing so, the practices of the South Korean art industry and conflicts among generations can be eased, and ultimately welfare for South Korean artists can be enhanced.

연구예술복지 증진 방안의 하나로써 아티스트 피 제도 도입에 대한 국내 예술인의 인식과 도입방향 및 정책적 대안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014년 정부는 ‘미술중장기계획(2014-2...

연구는 예술인 복지 증진 방안의 하나로써 아티스트 피 제도 도입에 대한 국내 예술인의 인식과 도입방향 및 정책적 대안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014년 정부는 ‘미술중장기계획(2014-2018)’을 통해 국내 예술인 창작안전망을 위한 시각예술 분야 표준계약서 개발과 함께 아티스트 피 제도 도입을 발표하였다. 이후 문화체육관광부는 아티스트 피 제도도입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16년 ‘미술진흥법(가칭)’ 추진을 위한 토론회를 통해 향후 아티스트 피에 대한 시뮬레이션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정부는 아티스트 피 제도 실현보다도 이러한 제도 도입 계획을 발표하였다는 것만으로도 만족하는 등의 태도를 취하였으며, 또한 국내 예술인은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등 아티스트 피 제도 도입에 대한 방향이 불분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예술인과 미술 관계자의 인터뷰를 통해 앞으로 아티스트 피 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과 방향, 정책적 대안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특히 이미 오래전부터 아티스트 피 제도를 실행하고 있는 해외사례를 통해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아티스트 피의 유형을 알아보고, 그동안 국내 예술인의 보수 실태를 통해 국내에 적용 가능한 아티스트 피의 개념과 범위를 살펴보았다. 인터뷰와 해외사례를 통해 살펴본 결과 첫째, 국내 미술현황에 적합한 아티스트 피의 개념은 전시를 위한 운송료, 보험료, 설치비 등을 제외한 순수한 비용으로 책정에 있어 중요한 기준은 전시의 전체적인 유형이나 기간보다도 예술인 개인의 경력에 따른 차등지급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전시에 참여하는 예술인의 수와 전시의 상황(전시예산)을 고려하여 책정할 수 있다. 둘째, 국내 미술계의 아티스트 피 제도에 대한 인식은 오랜 미술계의 관행으로 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도 도입의 목적은 예술인의 지위향상과 권리 보장 등에 있지만 현실적인 제도 실현에 앞서 제도 도입 과정을 통해 미술계 내 세대 간의 교류와 충분한 논의의 장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이에 정부가 발표한 것과 같이 앞으로 2020년 제도 도입에 앞서 시뮬레이션 진행과 함께 미술계 내 다양한 이해관계가 수용할 수 있는 기준과 범위를 찾아갈 수 있도록 대화와 논의의 장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국내 미술계의 관행과 세대 간의 갈등이 완화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국내 예술인의 복지가 증진 될 수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