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아동보육 및 교육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눈덩이 표집방식(...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아동보육 및 교육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눈덩이 표집방식(snowball sampling)을 이용하여 2015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약 2개월간 대전, 공주, 부여에 거주하고 있는 만2세부터 6세까지의 유아가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 중에서 총 219부가 회수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부모와 유아의 인구학적 특성과 각 변수들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와 유아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유아의 기질,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 부모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를 분석한 결과, 부모가 대학원졸업 이상, 전문직인 경우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기기 의존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다만,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 수준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에 대한 하위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통제적이고 거부적인 양육태도는 다른 변수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유아의 기질 변수에서는 전환성이 부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이 밖에 변수들은 정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이 스마트기기 의존도에 미치는 인과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 중 긍정적인 태도인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부정적인 태도인 거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양육태도 중 자율적 태도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를 대폭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기질 중 대인관계적응성과 규칙성 요인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를 감소시켰다. 끝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와의 관계에서 유아의 기질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대부분 일치하고, 유아의 기질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쳐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에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의 보육 및 교육에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맞벌이 가족형태와 부모의 스마트기기 과다 허용이 유아의 스마트기기의 의존도를 높이는 상황에서 유아의 정상적인 행동발달을 위해서는 부모의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가 요구되었다. 대인관계적응성과 규칙성 기질이 높은 유아일수록 스마트기기 의존도가 낮아지기에 유아의 기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유아의 주변 환경에서의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부모들은 자녀들이 친구, 보육시설, 유치원 등에서 대인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도하고 규칙적인 생활패턴을 유지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를 보육, 교육하는 담당자들은 유아의 연령에 맞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놀이개발 및 놀이제공을 통하여 또래간의 놀이의 관심과 호기심을 자극할 필요가 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유아들이 부모들과 이용할 수 있는 연령별 놀이행사, 주말문화프로그램, 퇴근 후에 참여할 수 있는 행사 등을 폭넓게 제공하는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 research about effects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on smart device dependency, and aims at providing right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methodology to solve dependency on smart devises by young children having been e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