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드라마 담화 상황을 통해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의존 구성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한국어 교재는 모든 의사소통의 상황을 담아낼 수 없기 때문에...
본 논문은 드라마 담화 상황을 통해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의존 구성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한국어 교재는 모든 의사소통의 상황을 담아낼 수 없기 때문에 의존 용언의 기본 의미와 형태 제약을 주로 다룬다. 본고에서는 중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의존 용언의 기본 의미에서 더 나아가 실제 담화 속에서 어떠한 화자의 의도를 실현시키는 지에 대해 가르쳐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의존 용언은 실제 담화 맥락 속에서는 다양한 의미 차이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재에서는 지나치게 광범위한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어 한국어 학습자들이 수업시간에는 의존 용언의 개념을 이해하였으나 실제 발화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거나 어색하게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기능과 의존 구성의 교육 현황을 한국어 교재 분석, 학습자 설문, 한국어 교사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의존 용언이 어떠한 결합구성을 통해 화자의 의도를 실현하는 지 드라마 출현 빈도와 예문을 통해 확인한 후, 수준별 학습 단계와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담화 기능 중심의 수업과 교재 활동 중심의 수업의 실험 비교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intended to seek for a 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with special focus on discourse function through a particular scene from the drama.
Materials used fo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annot convey all the possible si...
This dissertation is intended to seek for a 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with special focus on discourse function through a particular scene from the drama.
Materials used fo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annot convey all the possible situations in conversation. Therefore, a basic meaning and restriction on a form of dependent construction were covered. This dissertation placed a special focus on instruction to be proceede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intermediate level or above to apply an intention of a character in specific situations of discourse beyond to educate the basic meaning of dependent construction. Dependent construction indicated various types of disparity in the context of real discourse. However,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suggested the concept of dependent construction in too broad scope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not able to or poorly apply them in a real discourse even though they understood the concept at the class.
This dissertation has identified a current status of function and organization based on dependent construction i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n Korean language materials, questionnaire with learners, and a survey with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hen, it has been identified how dependent construction realized an intention of a character with what type of combination through frequency shown in the drama and an example followed by preparation for learning stage based on academic level and a specific measure of education. Lastly, an effect of it has been verified through comparison of instruction based on discourse function with textbook activity-oriented cours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