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근로자 참여형 건설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현행 건설 안전 정책은 대형 건설재해가 발생할 때 마다 법적 수단을 강화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장에서의 안전관리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하기보다는 시공사를 중심으로 획일적...

현행 건설 안전 정책은 대형 건설재해가 발생할 때 마다 법적 수단을 강화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장에서의 안전관리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하기보다는 시공사를 중심으로 획일적인 계획아래 시행되고 있는 체계이다. 또한, 발생된 재해사례를 기본으로 한 공종별 위험성 평가 항목이나 체크리스트 상의 위험요소들은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수한 상황까지 포함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즉, 원도급자의 역할만으로는 안전관리의 효과를 달성하기 힘들며, 따라서, 현장의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현장 근로자가 안전관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인리히 법칙에서 90% 이상을 차지하는 무재해사고인 아차사고 정보를 활용하여 현장의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현장 근로자 참여형 안전관리 방안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근로자가 참여할 필요가 있는 주요 안전관리 활동 및 아차사고 선행연구에 대해 고찰하여, 아차사고의 활용 필요성과 활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아차사고 발굴활동은 일부 기업에서 자율안전 활동으로 활용하여 상당한 성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차사고를 어떻게 수집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안전관리 업무에 적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실제 현장의 아차사고 사례를 수집하여, 이를 분류할 수 있는 체계를 산업재해 기록·분류에 관한 지침의 내용을 준용하여 제안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현재 안전관리 지침, 위험성 평가 매뉴얼 등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정보보다 아차사고 사례에 포함된 내용이 더 상세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아차사고 사례가 안전관리 활동에 효율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아차사고를 현장 안전관리 활동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 근로자가 적극적으로 안전관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아차사고 보고체계와 보고된 아차사고가 시공과정 중 안전관리 업무 프로세스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근로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아차사고를 자유롭게 보고할 수 있는 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즉, 아차사고 발굴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장 근로자에게 유해 위험을 발굴하고 시정을 요구할 권리를 부여하여야 하며, 이를 장려하기 위한 보상 등의 추가적인 환경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policy stance of construction safety focuses on enforcing legal regulations every time a serious accident occurs.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management plans is contractor centered under a standardized plan rather than reflecting opinion...

The current policy stance of construction safety focuses on enforcing legal regulations every time a serious accident occurs.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management plans is contractor centered under a standardized plan rather than reflecting opinions and experiences of site worker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risk factors listed on risk assessment templates or checklists do not include specific work conditions because they are made on the basis of fatality cases.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of safety management solely through the role of the safety manager or main contra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field workers directly exposed to the risk on site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afety management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afety management process which site workers can join in by using near-miss accidents, which are incidents whereby no injuries are sustained and no property damage is incurred. In this study, firstly, majo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literatures which workers need to participate in are reviewed to analyze the necessity and applicability of near-miss accident information. Some companies have proved that near-miss ing program is an effective management tool and can lead to reduction in accid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collect near miss accidents and how to apply them to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econdly, the near-miss case collection template has been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industrial accident record and classification to analyze near-miss cases. As a result of the near-miss cas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ails included in the case of near-miss accidents were more detailed than the gener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risk assessment manual, and it was confirmed that cases of near-miss accidents need to be effectively reflected i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inally, this has proposed a site worker centered safety management approach to collect and utilize near-miss accident data through the project life-cy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meaningful that the field work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the direction of how they can be used in the safety management work proces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However, a culture should be created to freely near miss accidents because voluntary participation of workers is essential for this.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omote the discovery of a near miss accident, the field worker should be given the right to identify risks, and additionally, an environment which encourages risk identification and ing through worker incentives and compensation should be provided.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