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양성 교사교육자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의미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examines in depth childcare teacher educator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with a goal of improving ‘a good class,’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his sen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le...

This study examines in depth childcare teacher educator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with a goal of improving ‘a good class,’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his sen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lected. First, what types of experiences childcare teacher educators have in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Second, what kinds of meanings childcare teacher educators find in their experience in a learning community? The participants are teacher educators working in S childcare teacher institute for more than five years on average. In order to understand teacher educator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and its meaning in depth, this study used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he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had been conducted ten times in total from August, 2015 to January, 2016.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from Colaizzi(1978). In the analysis, by utilizing Nvivo 11 program, the sentence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were categorized into six categories, 19 themes, and eight subcategor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hile sharing the difficulties in leading the class, teacher educators realized that their concerns are common to each one of them, not limited to a teacher educator himself. This developed a bond of sympathy among teacher educators. And in order to practice the mutual goal, which is to improve ‘a good class,’ they kept communicating with their colleagues. This allowed them to share diverse clas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al context of S institute and to develop new ideas by helping each other. However, teacher educators complained that they had to be punctual on the meeting in teacher educators’ learning community, which was the limitation in reality. Also, there was a conflict when teacher educators met each other, and some educators rather got to have a negative stereotype on S institute after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Nevertheless, teacher educators overcame these difficulties and found themselves growing by themselves as teacher educators. Teacher educators practiced enthusiastically what they learned in a learning community, and they got confident on applying new teaching method by reflecting the classes constantly. The meaning of teacher educators’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is that this experience gave the driving force to them to take bold challenges, away from the familiar teaching by the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colleagues. Furthermore, in a recreational boundary that offers joy through the collaboration among teacher educators in a learning community, they got new, holistic ideas by collecting pers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intimacy in an area like shelter, which allows the emotional sharing with the colleagues. This study shows that a learning community consisting of teacher educators in child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e plays a role in building experience of making collaborative culture with the colleagues by guiding the educators to practise the sharing and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urrent issues of developing teacher educators’ specialty and the educational reality of childcar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양성기관 교사교육자들이 ‘좋은 수업’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그리고 그 경험의미는 무엇인지를 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양성기관 교사교육자들이 ‘좋은 수업’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그리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양성 교사교육자들의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보육교사양성 교사교육자들에게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S보육교사양성기관의 교사교육자들로서 이 기관에서 평균 5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자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그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2015년 8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총10회의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결과 분석 과정에서 Nvivo 11프로그램을 활용하면서 연구주제와 관련이 깊은 문장들을 주제로 묶었으며, 총 6개 범주, 19개 주제묶음, 8개의 하위주제가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수업 진행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이러한 고민들이 나만의 고민이 아니라 우리의 공통적인 고민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좋은 수업’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실천하기 위하여 동료들과 지속적인 대화를 나누었다. 이 과정을 통해 교사교육자들은 S기관의 교육적 맥락과 연계하여 다양한 수업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였고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교사교육자들은 학습공동체 모임을 위해 자신의 시간을 할애하고 정해진 시간에 모여야 하는 현실적인 한계도 감수해야 하는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또한 교사교육자들과의 만남 속에서 발생하는 갈등 상황도 경험하였고, 학습공동체 참여 후 오히려 S기관의 학습자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도 갖게 되는 현상도 경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흐르면서 교사교육자들은 이러한 난점을 점차 극복해 나가면서 교사교육자로서 스스로 성장해 나가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교육자들은 학습공동체에서 학습한 것을 열정적으로 수업에 실천해 보기도 하였고, 자신의 수업을 끊임없이 되돌아보면서 새로운 수업 방식을 적용하는 것에도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교사교육자들이 학습공동체 참여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면, 학습공동체 참여는 동료들과 함께 나눈 공동의 대화를 통해 익숙한 수업을 탈피하고 과감한 도전을 시도하도록 만드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학습공동체 안에서 동료 교사교육자 간에 이루어졌던 협력을 통해 교사들은 나눔의 기쁨을 제공하는 유희의 공간 안에서 개인의 지식들이 모여 총체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탄생시켰고 동료들과의 정서적인 공유가 함께 하는 쉼터 같은 공간 속에서 친밀함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양성기관 교사교육자들로 구성된 학습공동체는 나눔과 배움을 실천하는 학습의 시간이 되어 동료들과 협력의 문화를 만들어 가는 경험의 장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보육교사양성과정의 교육 현실과 교사교육자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