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유형에 따른 조사 습득 연구 : 재한몽골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지금까지 이주민 자녀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사회 복지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이주민 자녀 대상 한국어교육은 성인 학습자 대상 교재를 사용하고, 교과과정을 참고하는 등 학습자 ...

지금까지 이주민 자녀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사회 복지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이주민 자녀 대상 한국어교육은 성인 학습자 대상 교재를 사용하고, 교과과정을 참고하는 등 학습자 상황이 고려되지 않은 채 교사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성인과 아이는 인지 능력과 학습 경험 등의 차이로 인한 학습 속도 및 학습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주민 자녀 대상 한국어교육이 효과적으로 행해지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의 언어를 관찰·연구하여 내적 체계를 살피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과과정 설계 및 교재 개발,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언어 관찰을 바탕으로 이주민 자녀 대상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한몽골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제 유형따른 조사 습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사는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서 체언과 다른 단어와의 관계를 나타내주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면 의미전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사는 생략과 축약이 자주 일어날 뿐만 아니라 그 수도 많고 한 개의 조사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기 때문에 습득하기 어려운 문법항목이다.
이주민 자녀의 조사 습득 양상은 과제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말하기, 문법, 쓰기의 세 과제를 제시하여 TLU 방식으로 정확률을 구한 결과, 주의집중도가 가장 낮은 말하기에서 정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 주의집중도가 높은 과제에서 정확률이 높다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과제 유형에 따라 습득 순서와 습득한 조사의 수에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빈도를 통해 조사의 기능보다는 형태를 먼저 습득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사 별 습득 발달 양상을 살펴본 결과 재구조화로 인해 집단별 정확률도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교적 늦게 습득되고 혼동되는 조사가 존재하는 조사에서 U자형 곡선이 나타났다.
이주민 자녀 집단은 학습 전에 한국어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한국어를 습득하는 기관 학습자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읽기, 쓰기의 학습 환경보다는 말하기, 듣기의 구어적 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문어보다는 구어에 익숙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은 성인 이주민과는 달리 한국에서 학습 활동을 해야 하므로 구어 능력 못지 않게 문어 능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주민 자녀 집단 대상 한국어교육은 이들의 문어 능력을 키워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이주민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수 순서와 교수 내용 선정 혹은 교재 개발 시 참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ost of the researches on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have focused o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o far;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textbooks on Korean for them at present. Therefore, the textbooks for adult learners have been used for the ch...

Most of the researches on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have focused o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o far;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textbooks on Korean for them at present. Therefore, the textbooks for adult learners have been used for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in teaching them Korean language and the circumstances of learners such as referring to educational curriculum have not been considered and the education has solely depended upon the experiences and intuition of teachers in many cases. However, adults and children may have differences in learning speed and amount of learning due to their recognition ability and learning experiences. In this regard, in order for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for children of migrant workers to be performed efficiently,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observe and study their native tongues and examine their internal system and devise specific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 and evaluate subsequent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Korean educational fields for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based on the keen observation of learners' langua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quisition of auxiliary words by the children group of migrant workers depending on the types of tasks. As one of the most noticeabl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uxiliary words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nflected words and other words so that the speakers or writers may have difficulty in transmitting what they want to mention if they are used incorrectly. Despite such importance, the auxiliary words tend to be omitted and contracted so often and there are quite a lot in number and an auxiliary word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is reason, it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grammar parts for foreigners to master.
The aspects of acquiring auxiliary words by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asks. After suggesting three tasks of speaking, grammar and writing and obtaining the accuracy by the TLU(Target-like Use) method, it has been found that the accuracy rate was the highest in speaking that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attention. Therefore, it was different from the precedent researches, in which the accuracy rate had been high in the tasks with high concentration of attention.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order of acquisition and the number of auxiliary words acquired. Furthermore, after investigating them in terms of frequency,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y acquired the form of auxiliary words earlier than their function and it has been noted that there was a U-shaped behavior in the auxiliary words that were acquired relatively late and confusing after examining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acquisition by auxiliary word.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has been in many cases exposed to the Korean-speaking environments before learning the language; therefore, it has been assumed that these children had different aspects from the learne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ho tended to acquire Korean through systematic learning. Especially,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have been always exposed to the colloquial environments such as speaking and listening rather than the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so that it seemed that they were more familiar to spoken language than to written language. However, unlike adult migrant workers, their children have to conduct learning activities in Korea;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ability to communicate in written language no less than an ability to do in spoken language. Therefore,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or them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their written language abilit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electing the order of teaching and teaching content and in developing textbooks in actual Korean educational fields for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