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은 1990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한 이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4년부터 국가 교육과정에 해당되는 문서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3번이나 국가 교육과정이 개발... 몽골은 1990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한 이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4년부터 국가 교육과정에 해당되는 문서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3번이나 국가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실행 중인데도 불구하고 오늘날 아직도 몽골의 국가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현황, 특징과 개선 방향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한 바가 없다. 국가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을 이끌어가는 계획의 기준이며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교육 목표, 내용, 교수학습, 평가의 기본적인 토대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전국의 모든 학교 교육활동의 토대와 기준이 되는 국가 교육과정이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그리고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국가 교육과정이 1990년대 이후로 어떻게 도입되고 개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교육과정의 변천과 특징을 역사·사회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고, 앞으로 개선해 나아가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구성과 문서 체제, 운영과 실행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분석 틀을 만들어서 몽골의 국가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의 국가 교육과정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개발되어 왔는가? 둘째, 몽골의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구성은 어떠한가? 셋째, 몽골의 국가 교육과정은 어떻게 운영·적용하였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문헌 연구를 하였고 필요한 내용을 보충하기 위해 면담 조사(전문가그룹면담(FGI)과 개인 면담)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의 국가 교육과정은 사회 변화와 교육 요구에 따라 도입되고 발전되어 왔다. 즉, 1990년대 이후 몽골은 2004년 교육표준(1차) 2008년 국가 교육과정(2차), 2014년부터는 중핵 교육과정(3차)을 개발하여 실행 중이다.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방향은 표준화에서 자율화로 가고 있으며 앞으로 이 두 가지 방향의 균형과 절충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개발 방식은 먼저 개발하고 그 다음에 실험하여 운영하는 방식에서 개발과 동시에 실험하고 개선해 나아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즉, 교육과정 실행을 교육과정 개발의 일부로 보아 좀 더 종합적으로 접근하면서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방식이 개선되었고 참여 범위도 확대되었다. 둘째, 각 시기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조는 비슷했으나 문서 각 부분의 범위와 내용이 확대되었다. 교육표준은 내용 중심으로 진술되었다면, 중핵 교육과정은 성취 능력을 중심으로 제시되었고, 교과 내용이 통합되는 경향이 있다. 중핵 교육과정 문서에는 도입 부분과 부록 부분의 내용이 많아졌으며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교과외 활동이 추가되었다. 기존의 교육과정은 학년별, 교과별로 발간되었다면 중핵 교육과정은 학교급별로 하나의 책으로 발행되었다. 교육과정 문서의 디자인이 좋아지고 용어와 표현은 이해하기 쉽게 진술되어 가독성,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온라인으로도 접근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아졌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실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존의 교육과정은 실행적인 측면을 소홀히 한 반면에 중핵 교육과정은 실행에 각별한 관심을 가졌다. 교육과정 실행 문제를 교사전문성개발원이란 전문 기관이 담당하여 보급과 전파를 위한 교육과 자문 서비스를 실시하였고 교육문화과학부는 다양한 홍보 활동과 후속 조치를 취했다. 특히 초등학교 중핵 교육과정은 실행적인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고 교사와 학생, 교수학습, 학교 운영에 실제적인 변화가 일어났으며 학교 현장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기존의 국가 교육과정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국가 교육과정 개발 이념을 분명히 하고 , 표준화와 자율화의 균형을 맞추고, 내용 중심의 제시 방식과 능력 중심의 제시 방식을 절충하는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앞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과정의 이론적인 측면과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