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시각 환경의 변화로 인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소통적 콘텐츠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환경은 스마트시계, 스마트 TV,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 현대 사회의 시각 환경의 변화로 인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소통적 콘텐츠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환경은 스마트시계, 스마트 TV,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강 현실 등으로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오고 있다. 대표적인 시각 매체인 ‘방송’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하드웨어적 매체로 인식되어 미래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제기되었지만, 디지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한 소프트웨어적 변모로 인해 공공성과 대중적인 성격을 가진 교육 콘텐츠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선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 감상교육으로 다각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시각 콘텐츠를 주체적으로 소통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자에게 함양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장에서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이해와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의 개념과 종류 및 이용행태를 살펴보았고, 현황조사를 위해 현직 중학교 미술 교사와 경기도 부천시와 평택시 및 인천광역시 소재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교육 현황 및 프로그램 적용 결과를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변화되는 시각 콘텐츠 환경의 대응과 방송 콘텐츠를 통한 자기 주도적 감상 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3장에서는 이론적 개념과 현황 분석 내용을 토대로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맥락적 이해를 위한 교양 콘텐츠 활용 미술 감상 프로그램은 미틀러의 비평단계를 수업모형으로 설정하고 객관적인 교양 콘텐츠를 활용하여 시대적 배경과 함께 가우디의 건축을 이해하고 감상하여 맥락적인 이해 능력을 향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둘째, 분석적 사고를 위한 드라마 콘텐츠 활용 미술 감상 프로그램은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단계를 활용하였으며 허구적 설정의 드라마를 활용하여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을 비교·감상하여 분석적인 사고를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셋째, 비판적 사고를 위한 예능 콘텐츠 활용 미술 감상 프로그램은 미틀러의 비평단계를 활용하여 적용하였으며, 흥미로운 전개의 예능 콘텐츠를 활용하고 각기 다른 명화와 콘텐츠를 함께 감상하여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어려움을 느꼈던 미술사조와 작품 감상에 대하여 흥미로운 태도를 보였으며 적극적인 감상 활동을 끌어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후 얻은 교육적 효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작품에 연계된 역사 및 문화에 대한 흥미도가 향상하였다. 둘째, 비판적 사고 및 시각적 문해력이 증진되었다. 셋째, 주체적 판단을 통한 감상 태도가 함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수업 시수 및 콘텐츠 지원 부족으로 인하여 방송 콘텐츠를 활용한 감상교육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의 진로를 탐구하고 적성을 찾기 위해 미술 진로교육 및 자유학기제와 연계해야 할 것이다. 둘째, 방송 콘텐츠의 다양성을 활용하여 통합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접근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영상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전문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및 시설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청소년 문화 생태환경에 적합한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비평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감상교육이 시각 콘텐츠를 논리적으로 분석하며 주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미술교육의 발전에 큰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Due to change of digital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easily accessible contents are being commercialized. User-centered digital environment is permeating to our ordinary lives with smart watch, smart TV, AI,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etc.... |